$\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안전 용어사전 구축을 위한 미디어별 어휘 사용 양상 비교

Comparing the Usages of Vocabulary by Medias for Disaster Safety Terminology Construction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7 no.6, 2018년, pp.229 - 238  

이정은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김태영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  오효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 의료정보융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난사건의 신속한 대응은 다양한 분야의 재난안전 유관기관들이 유기적으로 관계함으로써 가능하며, 이 때 사용되는 재난용어의 표준화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재난안전 분야의 전문 용어사전 구축은 각 유관기관 간의 의사소통 및 국민에게 명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수반되는 핵심 요소이다. 더불어 효율적인 용어사전 구축을 위해서는 구축 대상 용어의 우선순위 선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용어사전 구축방향의 설정을 위하여 용어 사용 주체로 대표되는 미디어를 각각 용어사전, 뉴스미디어, 소셜미디어로 선정하고 어휘의 사용 양상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각 미디어에서 수집된 어휘 자원을 바탕으로 미디어별 동시 출현 양상 및 빈도 가중치 분석을 통하여 어휘의 분포를 시각화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어휘의 사용 양상에 따라 용어사전의 구축대상이 될 수 있는 어휘의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하고, 구축대상 기준별 용어사전 구축의 우선순위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pid response of disaster accidents can be archived through the organical involvement of various disaster and safety control agencies. To define the terminology of disaster safety is essential for communication between disaster safety agencies and well as announcement for the public. Also, to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 연구방향으로는 본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한 안전뉴스와 트위터의 수집기간이 2016년 3월 이후라는 한계점을 보완하여 보다 다양한 재난 유형이 포함되도록 수집 범위와 기간을 넓히고자 한다. 나아가 구축된 용어사전을 일반 이용자나 실무자가 재난관련기록을 검토할 때 그 의미가 명확히 전달되도록 하는 검색사이트나 플러그인 형태의 설명문 제시 기능 등의 도구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업무 실무자가 참조하는 재난안전 분야 용어사전과 정보제공자가 작성한 뉴스미디어, 일반이용자가 생성하고 소비하는 소셜미디어를 선정하여 다양한 미디어에 나타난 어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진행될 재난안전 분야의 용어 표준화 및 용어사전 구축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뉴스미디어를 통한 재난안전 관련 보도는 재난의 내용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하여 재난의 피해확산 방지 및 방재가 그 목적이다. 따라서 뉴스를 포함한 공적미디어에서 활용되는 재난안전 분야 어휘는 정보이용자가 곧바로 소비하는 어휘로서 정보 전달력이 높아야 한다.
  •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인 재난안전 용어사전 구축을 위하여 재난안전 관련 어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미디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휘의 양상을 분석하고 재난안전용어사전의 구축대상이 되는 어휘를 유형화하였다.
  •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재난안전 분야의 어휘들을 위 4가지로 분류하고 유형에 따른 어휘 활용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정보제공자 및 정보이용자 모두가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재난안전 용어사전 구축 방향을 제안하는데 있다.
  • 어휘 수집결과 통계를 통해 소셜 미디어보다 뉴스미디어에서 재난안전 분야의 어휘를 더 풍부하게 활용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는 각 미디어로부터 추출된 주요 어휘를 대상으로 어휘 특징 도출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 중 재난안전 분야의 용어사전을 구축하는 일은 각 유관기관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국민에게 명확한 재난안전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치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구체적인 용어사전구축방향 설정을 위하여 각 미디어에서 활용되는 어휘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Fig.
  • 재난안전 분야의 용어사전 구축은 재난안전정보의 통합적 관리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각 재난안전 유관기관에 산재되어 있는 재난관련 용어를 표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난안전 용어사전 구축을 위해서는 구축 대상 선정이 우선 되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 용어사전의 기능은 무엇인가? 특정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용어를 분석하고 표준 어휘를 정리한 전문 용어사전은 인접 분야와의 의사소통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1]. 현재행정안전부 (前,국민안전처)와 연계된 재난안전 분야 관련 유관기관은 모두 55개로, 국가적 차원의 재난 관리 및 대응은 다양한 분야의 조직 및 기관들의 긴밀한 협력을 통하여[2] 유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재난안전 분야에 대한 용어 표준화 및 용어사전 구축이 매우 중요한 일인 이유는 무엇인가? 현재행정안전부 (前,국민안전처)와 연계된 재난안전 분야 관련 유관기관은 모두 55개로, 국가적 차원의 재난 관리 및 대응은 다양한 분야의 조직 및 기관들의 긴밀한 협력을 통하여[2] 유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들 기관에서 재난사건에 대한 대응 시, 동일한 개념을 서로 다른 용어로 지칭하거나 잘못된 용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1],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이 짊어지게 된다. 특히, 잘못된 정보의 공유와 확산으로 인하여 일반 국민들이 불안과 공포에 사로잡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한다[3]. 따라서 재난안전 분야에 대한 용어 표준화 및 용어사전 구축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효율적인 용어사전 구축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따라서 재난안전 분야의 전문 용어사전 구축은 각 유관기관 간의 의사소통 및 국민에게 명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수반되는 핵심 요소이다. 더불어 효율적인 용어사전 구축을 위해서는 구축 대상 용어의 우선순위 선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용어사전 구축방향의 설정을 위하여 용어 사용 주체로 대표되는 미디어를 각각 용어사전, 뉴스미디어, 소셜미디어로 선정하고 어휘의 사용 양상을 비교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 Study on the Specialized Terminology," Seoul: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7. 

  2. J. H. Lim, T. Y. Park, and S. J. Kim, "Development of a Facet Classification System for Integrated Management and Shared Use of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Korea Libra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8, No.4, pp.375-399, 2017. 

  3. J. Y. Gang, H. J. Han, Y. Kim, and H. J. Oh, "Empirical Study of Disaster and Safety Record Information Resources Archiving Strategy based on Automatic Acquired Web Records from Related Organizatio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28, No.4, pp.223-246, 2017. 

  4. SafeKorea [Internet], https://www.safekorea.go.kr/idsiSFK/index_web.j. 

  5. C. M. Kim and C. I. Cho, "An Exploration of Issue Attention Cycle of Great Disasters," Seoul Studies, Vol.16, No.4, pp.147-162, 2015. 

  6. J. Y. Park, P. M. Ryu, and H. J. Oh, "A Collecting Model of Public Opinion on Social Disaster in Twitter: A Case Study in 'Humidifier Disinfectant,"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Vol.6, No.4, pp.177-184, 2017. 

  7. H. C. Jeong, T. Y. Kim, Y. Kim, and H. J. Oh, "A Study on the Utilization Plan of Lexical Resources for Disaster andSafety Information Management Based on Current Status Analysis,"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34, No.2, pp.137-158, 2017. 

  8. T. Y. Kim, J. E. Lee, and H. J. Oh, "A Study on th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Lexicon Patterns in Social Medi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7, No.10, pp.85-93, 2017. 

  9.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Disater Yearbook 2015,"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6. 

  10.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Statistical Yearbook of Natural Disaster 2015,"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6. 

  1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Statistical Yearbook of Natural Disaster 2016,"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7. 

  12. GitHub [Internet], https://github.com. 

  13. RHINO morphological analyzer [Interne], https://sourceforge.net/projects/koreananalyzer/. 

  14. R [Internet], https://www.r-project.org/.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