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압요법이 시설거주노인의 근골격계 통증, 우울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Musculoskeletal Pain, Depression and Sleep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9 no.2, 2018년, pp.133 - 142  

장은경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  박희옥 (계명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evaluate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musculoskeletal pain, depression and sleep of the elderly who are institutionalized in long-term care facilities.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non-synch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시설거주노인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통증, 우울, 수면을 개선하기 위해 이압요법을 양이(兩耳)의 총 9개 반응점인 신문(神門), 교감(交感), 피질하(皮質下), 내분비(內分泌), 신상선(腎上腺), 심장(心), 신장(腎), 침점(寢点), 근골격계 통증 부위에 교대로 첩압 하여 그 적용 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적용하고자 하고, 이압요법을 6주 동안 적용하여 처치효과 측정시점을 처치 3주, 6주, 2회에 걸쳐 측정함으로써 이압요법의 회기가 증가될수록 그에 따른 효과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압요법이 향후 시설거주노인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통증, 우울, 수면을 개선하고자 하는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시설거주노인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통증, 우울, 수면을 개선하기 위해 이압요법을 양이(兩耳)의 총 9개 반응점인 신문(神門), 교감(交感), 피질하(皮質下), 내분비(內分泌), 신상선(腎上腺), 심장(心), 신장(腎), 침점(寢点), 근골격계 통증 부위에 교대로 첩압 하여 그 적용 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적용하고자 하고, 이압요법을 6주 동안 적용하여 처치효과 측정시점을 처치 3주, 6주, 2회에 걸쳐 측정함으로써 이압요법의 회기가 증가될수록 그에 따른 효과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압요법이 향후 시설거주노인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통증, 우울, 수면을 개선하고자 하는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6주간의 이압요법이 시설거주노인의 근골격계 통증, 우울, 수면에 처치의 회기가 증가 될수록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한의학에 근간을 둔 이압요법은 그 적용범위가 넓어 간호사들이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하기 적합하나[16] 시설거주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한 사례가 없어 시설거주노인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통증, 우울, 수면에 이압요법을 적용하여 간호중재 효과를 확인하고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시설거주노인을 대상으로 이압요법을 적용하여 근골격계 통증, 우울 및 수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군은 신문(神門), 교감(交感), 내분비(內分泌), 피질하(皮質下), 신상선(腎上腺), 심장(心), 신장(腎), 침점(寢点) 등의 반응점에 게르마늄석을 첩압 한 이압요법을 6주간(6회기) 적용하였고, 대조군에게는 동일기간 처치 없이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시설거주노인을 대상으로 이압요법을 적용하여 근골격계 통증, 우울, 수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e-synchronized design)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압요법이 시설거주노인의 근골격계 통증, 우울, 수면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연구책임자가 대구 ․ 경북 소재의 규모가 비슷한 60 여병상의 법인 노인요양시설 15개소를 대상으로 전화와 방문 등을 통해 간호부서장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들 중 방문을 허락한 3곳을 대상으로 연구책임자가 직접 방문하여 간호부장이 추천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이들 중 연구참여를 허락한 노인을 대상으로 서면 동의서를 받은 후 자료수집을 시작하였다.
  • 본 연구는 6주간의 이압요법이 시설거주노인의 근골격계 통증, 우울, 수면에 처치의 회기가 증가 될수록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한의학에 근간을 둔 이압요법은 그 적용범위가 넓어 간호사들이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하기 적합하나[16] 시설거주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한 사례가 없어 시설거주노인을 대상으로 근골격계 통증, 우울, 수면에 이압요법을 적용하여 간호중재 효과를 확인하고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압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이압요법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처치의 회기가 증가 될수록 근골격계 통증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
  • “이압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이압요법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처치의 회기가 증가 될수록 수면 정도가 증가할 것이다.
  • “이압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이압요법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처치의 회기가 증가 될수록 우울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국내 시설거주노인의 몇퍼센트 정도가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가? 노인의 우울은 보편적인 정서문제로 시설거주노인의 경우 38.7~68.5%, 재가노인의 경우 33.1~48.
시설거주노인을 위한 보완 ․ 대체요법으로는 무엇이 있나? 이처럼 시설거주노인의 근골격계 통증, 우울, 수면 장애는 각 요인이 상호작용하고 복합적으로 발생하나 노인의 경우 증상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에 제한이 있기에 보완 ․ 대체요법을 병용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14]. 이들 보완 ․ 대체요법 중 특히 한의학의 이침(耳針)에 그 근간을 둔 이압요법(耳壓療法)은 귀에서 각종 질환의 반응점을 찾아 침으로 찌르거나 누르는 등의 자극을 주는 것으로[15], 귀의 경락혈을 찾아 물리적 압박을 가하여 침을 적용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주어 부작용 및 통증이 적고 효과가 신속하여 그 적용 범위가 넓으므로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하기 적합한 방법이다[15,16].
시설거주노인의 우울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시설거주노인은 재가노인과 비교하여 경제적으로 열악한 경우가 많고, 지각된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못하며,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낮은 경우가 많아 높은 우울 증상을 호소한다[8]. 또한, 시설거주노인의 우울은 진단받은 만성질환의 수, 혼돈증상, 불면증, 시력 장애 등에 영향을 받는다[5]. 게다가 시설거주노인들은 생활환경의 변화와 함께 지적, 신체적 활동양이 매우 적어 가정에서 생활하는 경우보다 불안, 우울, 수면장애로 인한 건강문제가 일반 노인보다 더 야기된다고 볼 수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urrent statu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2017. [internet]. Sejong: MOHW; 2017 [cited 2018 Jan 25].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1&CONT_SEQ340241&page1 

  2. Ferrell BA. The management of pain in long-term care. The Clinical Journal of Pain. 2004;20(4):240-243. https://doi.org/10.1097/00002508-200407000-00005 

  3. Jung KH, Oh YH, Kang EN, Kim JH, Sun WD, Oh MA, et al. 2014 Actual condition survey of elderly. Policy Report. Sejong Cit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December. Report No.: 11-1352000-001426-12 

  4. Lee YM. Influence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n pain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2016;11(1):107-116. https://doi.org/10.21097/ksw.2016.02.11.1.107 

  5. Moon SH, Hong Son GR.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5;17(2):65-75. https://doi.org/10.17079/jkgn.2015.17.2.65 

  6. Lee YM. Relationship among pai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11):6728-6738. https://doi.org/10.5762/kais.2014.15.11.6728 

  7. Lee JY, Moon YS. Effects of chronic pain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nd suicide in the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vergence. 2015;13(10):445-458. https://doi.org/10.14400/JDC.2015.13.10.445 

  8. Kim EH, Lee JW. A study on activity of daily living,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of elderly to types of residency (in home and in institu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09;11(1):183-197. 

  9. Kim JI. Health conditions, activities of daily living, depression, sleep and cognitive functions of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and their related facto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1):463-473. https://doi.org/10.5762/KAIS.2016.17.11.463 

  10. Lee DK. Clinical approach to elderly insomnia.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2013;14:1-10. 

  11. Kim R.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in elderl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Geriatric Psychology. 2003;7(1):11-22. 

  12. Yoon SR, Kim TH. Park SW, Yoon BW, Cho E, Park JS. A study on differences of sleep quality among the community-dwelling, long-term care facility, and hospitalized elderly people. Kor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2015;24:149-168. 

  13. Kim JS, Kang S, Mun VN. A comparison of sleep habits and sleep disorder between institutionalize elderly and community dwelling elderly.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7;12(1):129-142. 

  14. Cho HJ, Cho SJ. A study of application of alternative medicine to the care of the aged with chronic diseases: Focusing on the nursing homes for the aged. Intentional Journal of Complementary, Integrative and Alternative Medicine. 2007;3(2):179-193. 

  15. Sok SR. A comparative study on the applied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insomnia in the elderly by Sasangin constitution: Based on Tae Yin In, So Yang In, and So Yin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9;20(3):327-334. 

  16. Moon HJ, Kim KB, Sok SH, Hong KH. A literature review about application of an auricular acupuncture therapy for independent oriental medical nursing intervention development.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99;4(1):66-76. 

  17. Park KS, Ha EH, Kim YN, Kwon SJ, Ru LJ, Song JH, et al. The effect of ear reflexotherapy on back pain of working women in middle ag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0;17(1):14-24. https://doi.org/10.5953/JMJH.2010.17.1.014 

  18. Yeo YM, Chong MS. The effect of auricular reflexology therapy in musculoskeletal diseas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Medical Gi-gong. 2009;11(1):221-235. 

  19. Kim JY.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stress, depression, anxiety in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Korea.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4. 116 p. 

  20. Park YK.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stress and depression in middle age women.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5. 86 p. 

  21. Lee YH, Kim SY.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insomnia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7;10(1):21-28. 

  22. Lee JO, Kwon YS. Effects of auriculotherapy on sleep disorders in the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9;15(1):1-8. 

  23. Cleeland CS, Ryan KM. Pain assessment: Global use of the brief pain inventory. Annals, Academy of Medicine Singapore. 1994;23(2):129-138. 

  24. Yun YH, Mendoza TR, Heo DS, Yoo T, Heo BY, Park HA, et al. Development of a cancer pain assessment tool in Korea: A validation study of a Korean version of the brief pain inventory. Oncology. 2004;66(6):439-444. https://doi.org/10.1159/000079497 

  25. Yesavage JA, Sheikh JI. 9/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1986;5(1-2):165-173. https://doi.org/10.1300/J018v05n01_09 

  26. Kee B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35(2):298-307. 

  27. Snyder-Halpern R, Verran JA. Instrumentation to describe subjective sleep characteristics in healthy subject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87;10(3):155-163. https://doi.org/10.1002/nur.4770100307 

  28. Oh JJ, Song MS, Kim S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3):563-572. 

  29. Cho CS. A healthy society through the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Gyeonggi: Solbooks; 2015. 214 p. 

  30. Kim SJ, Choi MS, Sung KW. Variables affecting competency of nurse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0;12(1):29-3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