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교육과정재구성 담론의 재구성

Reconstruction of Discourse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6, 2018년, pp.9 - 16  

김대영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  우옥희 (대정고등학교)

초록

본 연구는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담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대안적 담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기존 교육과정 재구성 담론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통한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이라는 큰 틀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밝히고 이러한 논의가 교육내용 선정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 논문은 학습자 흥미를 교육과정 재구성 담론에 포함시킴으로써 그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Dewey의 성장, 습관, 흥미의 개념이 어떻게 교육과정 재구성 담론과 연계될 수 있는지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재구성 논의를 풍부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실제 학교 수업에서 교사가 학습자의 흥미를 바탕으로 교육내용을 어떻게 선정하고 조직해야 할지를 제안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limitation of previous studies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finds that previous studies quiet over the direction about selecting as well as organizing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Tyack과 Cuban[3]이 충고하는 있는 것처럼, 개혁을 통해 변화시켜야 할 대상으로 설정한 『학교와 학교구성원이 개혁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라는 질문을 바탕으로 변화를 달성하기 가장 힘들면서, 가장 중요한 곳인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하는 곳에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현실적으로 학교현장에서 가지고 있는 교과서의 위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교과서에서 탈피하여 교육과정 중심으로 수업을 운영하기 위한 방향성을 점검해 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방향성을 고려함은 물론이고, 교육과정의 3대 원천으로 불리는 학습자, 사회, 지식의 요구들을 반영한 교육과정 재구성이 어떻게 진행 되어야 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논의의 편의를 위해 학교의 목적은 사회문제의 해결과 보다 나은 사회의 건설이 되어야 한다는 John Dewey의 사상을 차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Dewey는 학습자의 흥미는 그들이 성장해 가면서 지식을 알게 되어 보다 충만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민주주의 사회의 일원으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의 목적이 설정되어야 함을 강조함과 더불어 교사의 역할을 심리적인 것으로부터 논리적으로 학습자를 옮겨가게 하는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요소들 (교육목표, 학습자, 사회, 교과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방향성을 고려함은 물론이고, 교육과정의 3대 원천으로 불리는 학습자, 사회, 지식의 요구들을 반영한 교육과정 재구성이 어떻게 진행 되어야 하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논의의 편의를 위해 학교의 목적은 사회문제의 해결과 보다 나은 사회의 건설이 되어야 한다는 John Dewey의 사상을 차용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Tyack과 Cuban[3]이 충고하는 있는 것처럼, 개혁을 통해 변화시켜야 할 대상으로 설정한 『학교와 학교구성원이 개혁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라는 질문을 바탕으로 변화를 달성하기 가장 힘들면서, 가장 중요한 곳인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하는 곳에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현실적으로 학교현장에서 가지고 있는 교과서의 위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교과서에서 탈피하여 교육과정 중심으로 수업을 운영하기 위한 방향성을 점검해 보았다.
  •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교육과정 재구성을 놓고 종합적으로 판단해 보았을 때, 급변하는 사회변화 속에서 교육과정의 역할을 다시 한번 고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보다 근본적으론 교육의 방향성을 고민해 보게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어떤 교육을 지향하고 있는가?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이 현실과 가상의 융합(O2O)으로 대변되기에, 새로운 시대를 위한 교육은 융・복합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융・복합 교육에 대한 개념 정리가 필요하며, 이는 최현철[16]의 연구를 통해 상당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Dewey의 사상에서 습관의 두가지 특징은? 첫째, 행동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능력으로 고정된 외적 조건에 우리 자신을 맞추어 넣은 것으로 이 경우 습관은 타성이 되어 적응이 평형을 이루게 된다. 둘째, 환경을 능동적으로 통제하는 능력으로 능동적 습관을 형성하며 지적・정서적 성향을 형성해 주기도 한다[18]. 전자의 고정된 습관인 타성은 성장의 정체를 의미하나 후자인 능동적 습관은 능력을 새로운 목적에 적용하는 사고, 창의성, 자발성 등이 수반된다[19].
4차 산업혁명의 기술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최근 교육학 전반을 아우르는 화두는 아마 4차 산업혁명일 것이다. 교육이 동시대의 요구와 동떨어져 존재할 수 없다는 자명한 사실에 비추어 본다면 4차 산업혁명의 특징, AI, VR, AR, Big Data, O2O, IoT, IoB, 3D 프린트 등을 교육에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 Cuban. (1984). How teachers taught: Constancy and change in American classroom, 1890-1980, New York: Longman. 

  2. J, Dewey. (1902). The child and the curriculum.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 D. Tyack, & L. Cuban.(1995). Tinkering toward utopia. M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4. M. Apple. (1986). Teachers and texts: A political economy of class and gender relations in education, New York: Routledge. 

  5. W. Pinar. (1999). Response: Gracious submission. Educational Researcher, 28(1), 28, 14-15. 

  6. B. M. Jung. (1954). Curriculum. Seoul: pungkukhakwon. 

  7. W. H. Schubert. (1986). Curriculum: Perspective, paradigm, and possibility. New York: Macmillan. 

  8. D. Y. Kim, & O. H. Woo. (2016). Critiques of postmodernism's epistemology in curriculum discourse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2(4), 23-41. 

  9. http://www.nextdaily.co.kr/news/article.html?id20171023800001 (2017,9.25) 

  10. H. Kliebard. (1995). The struggle for the American curriculum: 1893-1958. New York: Routledge. 

  11. K. H. Seo. (2009). Teacher' Experience of reconstructing national curriculu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7(3), 159-189. 

  12. H. K. Kim.(2015). A semantic analysis of the curriculum jaegusung,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29(2), 54-82. 

  13. M. S. Seo.(2011). Critigue on the conceptual ambiguity of curriculum jaegusung,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9(3), 75-91. 

  14. N. J. Paik. (2013). Teachers' interpretations of curriculum documents and curriculum potential,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1(3), 201-225. 

  15. S. E. Lee. (2015). Curriculum reconstruction as Hermeneutic circle,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8(4), 241-265. 

  16. H. C. Choi. (2015). The conceptual analysis of consilience. Material of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44-55. 

  17. G. H. Park. (2012). The idea of general education. The Studies of Humanities, 43, 479-481. 

  18. D. Y. Kim. (2016). The merits and demerits of convergence education. Higher Education, 193, 64-69. 

  19. J. Dewey.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company. 

  20. M. F. D. Young.(2006). Education, knowledge and the role of the state, in A. Moore(ed.). Schooling, society and curriculum. London: Routledge. 

  21. B. Bernstein. (1996). Pedagogy, symbolic control and identity: Theory, research and critique. London: Taylor and Francis. 

  22. J. Dewey. (1938). Experience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company. 

  23. E. Eisner. (1985). The educational imagination: O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school programs. New York: Macmillan. 

  24. H. Kliebard. (1970). The Tyler rationale, The School Review, 78(2), 259-272. 

  25. J. Bruner. (1966). Towards a theory of instruction.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