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은행잎 추출물 유래 Ginkgetin 및 Isoginkgetin의 융복합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kgetin and Isoginkgetin extracted from Ginko leav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6, 2018년, pp.89 - 98  

민경남 (건국대학교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은행잎의 Biflavonoid인 ginkgetin과 isoginkgetin을 화장품 소재로 이용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를 분리하여 화학 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음건한 은행나무 단풍잎 1 kg을 순차적으로 ethanol, n-hexane, ethylacetate 및 normal butyl alcohol로 분획 추출하여 최종 ginkgetin과 isoginkgetin을 확보하였다. 두 화합물은 모두 HPLC를 통해 99% 이상 고 순도로 나타났고 MS spectrum을 통한 분자량은 566, 분자식$C_{32}H_{22}O_{10}$로 동일한 이성질체적 구조를 나타냈다. UV spectrum으로 flavonoid의 골격과 NMR로 aromatic proton의 존재와 탄소 수 및 구성비를 측정한 결과 문헌에 보고된 flavonoid 화합물의 정보와 일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onfirm the feasibility as raw materials for cosmetic formulation, ethanol, n-hexane, ethylacetate and normal butyl alcohol were extracted from 1kg of Ginko leaves. Ultimately, investigated chemical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inkgetin and isoginkgetin. The purity of those two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은행잎의 Ginkgetin 과 isoginkgetin을 화장품 소재로 이용 가능성 여부를 연구하기 위해 은행잎에서 Ginkgetin과 isoginkgetin을 분리 정제하여 그 화학 구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lavonoid는 무엇인가? 은행잎의 주성분은 flavonoid계, terpene계, polyphenol계, polysaccharide계[2-7] 등으로 분류되고, 이 중 flavonoid계 화합물은 은행잎 추출물의 50%를 차지하는 주요 성분이다. Flavonoid는 polyphenol에 속하는 수용성 식물색소로 주로 밝은 노란색을 나타내고 15개 탄소 골격의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천연 항산화제로 활성산소 제거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노화 예방 및 지연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항염증, 항혈전 및 항알러지 등의 약리적 작용으로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8-10], 다수의 식물에서 추출하여 총 함량 분석 및 활성산소 소거능을 시험하고 정제방법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1-12].
은행잎의 주성분은 어떤 것들로 나뉘어지는가? 은행잎의 주성분은 flavonoid계, terpene계, polyphenol계, polysaccharide계[2-7] 등으로 분류되고, 이 중 flavonoid계 화합물은 은행잎 추출물의 50%를 차지하는 주요 성분이다. Flavonoid는 polyphenol에 속하는 수용성 식물색소로 주로 밝은 노란색을 나타내고 15개 탄소 골격의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천연 항산화제로 활성산소 제거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노화 예방 및 지연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Flavonoid의 노화 방지 외에 약리적 효능은 무엇인가? Flavonoid는 polyphenol에 속하는 수용성 식물색소로 주로 밝은 노란색을 나타내고 15개 탄소 골격의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천연 항산화제로 활성산소 제거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노화 예방 및 지연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항염증, 항혈전 및 항알러지 등의 약리적 작용으로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8-10], 다수의 식물에서 추출하여 총 함량 분석 및 활성산소 소거능을 시험하고 정제방법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J. Nam,, K. U. Kim, D. H. Shin, & S. J, Hwang. (1997). Identification of bioloigically active substances from Ginkgo biloba L. Kor J, Weed Sci, 17(4), 421-430. 

  2. Tang, C., X. Wei, & Y. Chunhua. (2003). Analysis of ginkgolides and bilobalide in Ginkgo biloba L, extract injectio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Journal of Pha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33, 811-817. DOI : 10.1016/s0731-7085(03)00309-1 

  3. Deng, F. & S. W. Zito.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as chromatographic-mass spectrometric method for simultaneous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maker compounds including bilobalide, ginkgolides and flavonoids in Ginkgo biloba L. extract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J. Chromatography A. 986, 121-127. DOI : 10.1016/j.phytochem.2004.08.026 

  4. Jaracz, S., S. Malik, & K. Nakanishi. (2004). Isolation of ginkgolides A, B, C, J and bilobalide from G. biloba extracts. Phytochemistry 65, 2897-2902. DOI : 10.1016/j.phytochem.2004.08.026 

  5. Lee, W. K., Y. W. Ryu, S. Y. Byun, & H. G. Chun. (1993). Effect of nutrients and culture conditions on the cell growth and the flavonol glycosides production in cell culture of Ginkgo biloba. korean J. Biotechnol. Bioeng. 8, 55-61. 

  6. Goh, L. M .L. & P. J. Barlow. (2004). Flavonoid recovery and stability from Ginkgo biloba subjected to a simulated digestion process. Food Chemistry 86, 195-202. DOI : 10.1016/j.foodchem.2003.08.035 

  7. Park, Y. G., S. J. Kim, H. Y. Jung., Y. M. Kang, D. T. Prasad., S. W. Kim, & M. S. Choi. (2004). Variation of Ginkgolides and Bilobalide Contents in leaves and cell cultures of Ginkgo biloba L.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9, 35-40. DOI : 10.1007/bf02949319 

  8. J. W. Kim, J. S. Moon & T. B. Choe. (2014).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Kenaf Extract & its Flavonoids. Kor. J. Aesthet. Cosmetol, 12(2), 203-210. DOI : 10.1016/j.foodchem.2015.06.006 

  9. J. S. Lee, M. H. Lee, C. I.l Park, H. J. Lee, H. D. Hong, B. D. Lee, I. J. Sung, K. J. Chang & C. H. Park. (2016).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 the Antioxidant Activity in Different Origin and Parts of Moringa olerifera Cultivated in Cheorw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e. 28(3), 385-389. DOI : 10.12719/ksia.2016.28.3.385 

  10. B. S Pak, S. H. Han, J. Y. Lee & Y. S Chung. (2016). Evaluation of in vivo Genotoxicity of Plant Flavonoids, Quercetin and Isoquercetin. J. Food Hyg. Saf. 31(5), 356-364. DOI : 10.13103/jfhs.2016.31.5.356 

  11. L. L. Wang, Kwang Soo Roh. (2013). Study of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BTS +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lmond. Korean Journal of Plant Reources. 2013(10). 

  12. S. B. Ko. (2014). A Study on the Technology Evaluation of Development of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iques of Flavonoid in Citru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 243-248. DOI : 10.5762/kais.2014.15.1.243 

  13. Kubota Y 1, Tanaka N, Kagota S, Nakamura K, Kunitomo M, Umegaki K, Shinozuka K. (2006). Effects of Ginkgo biloba extract on blood pressure and vascular endothelial response by acetylcholin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Pharm Pharmacol. 58(2) : 243-9. DOI : 10.1211/jpp.58.2.0012 

  14. Zhi Y., Pan J, Shen W, He P, Zheng J. , Zhou X., Lu G, Chen Z. & Zhou Z. 243-9. (2016). Ginkgolide B Inhibits Human Bladder Cancer Cell Migration and Invasion Through MicroRNA-223-3p. Cell Physiol Biochem, 39 : 1787-1794. DOI : 10.1159/000447878 

  15. H. Y. Kwon, K. J. Chung & K.. J. Cheong. (2015). Suppressive effects of Th2 cytokines expression and the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 in MC/9 mast cells by flavonol derived from Ginkgo biloba leav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8), 503-514. DOI : 10.14400/jdc.2015.13.8.503 

  16. Vivek K. Bajpai, Ajay Sharma, Kwang-Hyun Baek. (2015). Antibacterial mode of action of Ginkgo biloba leaf essential oil: Effect on morphology and membrane permeability. Bangladesh Journal of Pharmacology, 10(2). DOI : 10.3329/bjp.v10i2.22546 

  17. Y. W. Lee, C. Y. Choi, J. H. Bae & J. M. Kim. (2014). The Effect of Anthocyanoside and Ginkgo Biloba Extract on Normal-Tension Glaucoma According to Presence of Diabetes. Ophthalmological Society, 55(8), 1174-1179. DOI : 10.3341/jkos.2014.55.8.1174 

  18. S. Y. Jang, S. M. Gangk & J. R. Yeom. (1993). Abstracts of the 23rd Annual Convention HPLC Quantitative determina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Biflavones Content from Ginkgo biloba Leaves. Natural Product Sciences, 24(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