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우자의 가족분만 참여범위에 따른 부부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Married Couples' Attitude toward Family-Birth according to the Spouse's Participation Range of Family-Birth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6, 2018년, pp.107 - 116  

이선영 (송원대학교 간호학과) ,  오상은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본 연구는 가족분만에 배우자의 참여정도에 따른 부부의 분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가족분만전체과정에 참여한 27쌍, 가족분만부분과정에 참여한 27쌍 총 108명이었으며 1차 자료는 가족분만 전에 직접수집하였고, 2차 자료는 가족분만 후에 이메일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임산부의 직업(Z=-2.012, p=.044), 가족형태(Z=-2.177, p=.029)에 따라 분만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계획된 임신에 따른 임산부의 가족분만 전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Z=-2.543, p=.011). 배우자의 가족분만 참여범위에 따른 가족분만 전과 후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는 배우자가 가족분만 부분 과정에 참여한 경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Z=2.302, p=.024).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배우자에게 일방적으로 가족분만에 전 과정에 참여할 것을 제안하기보다 가족분만에 대한 배우자의 의견을 존중하여 참여의 범위를 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족분만 관련 산전교육의 기초자료를 개발하여 가족분만 전에 임산부와 배우자에게 가족분만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제공할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married couples' attitude toward family-birth according to the range of spouse's participation in family-birth. Method: Data were obtained by the 54 couples who used to visited in order to participate on family-birth at two teritary women's hospital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족분만에 참여한 임산부와 배우자를 대상으로 가족분만 전과 후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산부의 가족분만 전 태도에서는 직업, 가족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의 가족분만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배우자의 가족분만 참여에 관한 선행연구[8,10,16,24]가 있고, 부부의 가족분만 후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25]는 있었지만 부부의 가족분만 전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 조사와 배우자의 가족분만 참여범위에 따른 부부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는 찾아 볼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의 가족분만 참여범위에 따라 가족분만 참여 전과 후의 부부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가족분만에 참여한 임산부와 배우자를 대상으로 가족분만 전과 후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산부와 배우자를 대상으로 배우자의 가족분만 참여 범위에 따른 부부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가족분만에 참여한 임산부와 배우자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를 가족분만 전과 후 그리고 배우자의 가족분만 참여범위에 따라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임산부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는 직업이 있고 핵가족의 가족형태와 계획된 임신인 경우 가족분만 전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배우자의 가족분만 참여범위에 따른 임산부와 배우자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 가. 임산부와 배우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분만 전과 후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 나. 임산부의 산과적 특성에 따른 가족분만 전과 후의 가족분만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의 분만 참여를 통해 분만을 바라보는 시각은 어떻게 달라졌는가? 가족의 분만 참여는 모든 사회에서 가족 의례화 되면서 분만을 단지 생리적이고 임산부가 받는 산고의 고통으로 당연하게 보는 현상보다는 생리 사회적인 가족 관계가 개입하는 사회문화적인 일로 생각하게 되었다[1]. 그리고 대부분의 문화에서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가 임산부에게 긍정적인 효과들로 나타나 가족분만 동안 배우자의 가족분만 참여는 분만 문화에 있어 보편화가 되어왔다[2].
가족의 분만 참여가 임산부의 배우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가족분만중인 임산부에게 배우자를 포함한 가족의 지지는 분만에 대한 두려움의 상황에서 가족분만에 참여한 배우자와 가족에게 정서적지지[5-7]를 받을 뿐만 아니라 분만 통증[8,9], 상태불안[10], 진통시간과 스트레스 등의 감소[11]와 분만 자신감 강화[12], 모아애착증가[8], 산후우울감소[13], 그리고 신생아의 건강[14]에도 긍적적인 역할을 한다. 동시에 가족분만에 참여하는 배우자에게는 부성애착[15], 부부만족도 상승[16], 부성역할 자신감[17]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도 나타난다. 이와 같이 가족분만참여의 긍정적 결과는 가족의 분만참여가 단순한 참여가 아니라 가족이 함께하여 임산부의 분만과정에 공동으로 대처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10].
임산부에게 배우자를 포함한 가족의 지지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가족분만중인 임산부에게 배우자를 포함한 가족의 지지는 분만에 대한 두려움의 상황에서 가족분만에 참여한 배우자와 가족에게 정서적지지[5-7]를 받을 뿐만 아니라 분만 통증[8,9], 상태불안[10], 진통시간과 스트레스 등의 감소[11]와 분만 자신감 강화[12], 모아애착증가[8], 산후우울감소[13], 그리고 신생아의 건강[14]에도 긍적적인 역할을 한다. 동시에 가족분만에 참여하는 배우자에게는 부성애착[15], 부부만족도 상승[16], 부성역할 자신감[17]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도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 H. Kim. (2007). The culture of childbirth among young urban korean women: The perspective of culture change. Korean Society for Cultural Anthropology, 40(2) 253-286. 

  2. L. Abushaikha & R. Massah. (2013). Perception of barriers to paternal presence and contribution during childbirth: An exploratory study from Syria. Birth, 40(1), 61-66. 

  3. J. H. Yeo. (2001). Attitudinal type on delivery for college women. Korean Nursing Association. 31(6), 1088-1097. 

  4. N. Goutaudier, C. Sejourne, C. Rousset, L. Lami & H. Chabrol. (2012). Neagtive emotions, childbirth perinatal dissociation and self-efficacy as predictors of postpartum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Journal of Reproudective and Infant. Psychology, 30(4), 352-362. 

  5. I. S. Jung. (2017). Effects of husband's help on the mother's postpartum depression and self-efficacy: A pilot stud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6), 45-52. 

  6. Eggermont et al. (2017). Needs of fathers during labour and childbirth: A cross-sectional study. Women and Birth, 30(4), 188 - 197. 

  7. Karlstrom, A., Nystedt, A & Hildingsson, I. (2015). The meaning of a very positive birth experience: focus groups discussions with women. Pregnancy and Childbirth, 15, 251. 

  8. M. R. Park & Y. H. Shin. (2013). Comparison of the leboyer childbirth method with normal vaginal delivery: mothers'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labor pain, newborn's pain response and maternal attachment behavi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17(2), 282-291. 

  9. M. K. Lee & M. H. Hur. (2011). Effects of the spouse's aromatheray massage on labor pain, anxiety and childbirth satisfaction for laboring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3), 195-204. 

  10. M. J. Jang & K. S. Park. (2002). Effect of family participated delivery in a labor delivery room on the childbirth of primipara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3), 371-379. 

  11. M. J. Jang, Y. Y. Hwang, S. G. Yeoum & K. S. Park. (2003). The effect of family-participated delivery in a labor delivery room on the anxiety of primiparas. Nursing Science Research Institute, Chung-Ang University. 6(2), 67-74. 

  12. G. J. Kim. (2013). The effects of doula touch delivery education on self-confidence delivery, knowledge of childbirth, coupl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6), 2880-2886. 

  13. H. S. Shim & G. H. Shin. (2018). The effects of father's family-of- origin experience o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ing participation: focusing on meditating effects of value of childr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 399-408. 

  14. K. H. Park, S. H. Lee, B. K. Jin & J. S. Won, (2011). The effects of labor support behaviors (LSB) one-to-one application and partner's delivery participation on the delivery satisfaction and delivery results among mothers who delivered premature birth and low birth weight infant.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2), 239-250. 

  15. J. W. Yang & I. S. Jung. (2018). Convergence effect of spouse's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primipar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171-180. 

  16. M. S, Choi & G. J. Kim. (2011). Effects of paters' duola touch during labor on the paternal attachment and role confidence to neonate and couple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4), 426-437. 

  17. M. K. Park, Y. S. Ko & E. S. Kim. (2017). Study on the Perceptions of Delivery Experience, Paternal Attachment and Role Confidence to Neonate of Spou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n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0), 755-765. 

  18. E. Ford & S. Ayers. (2011). Support during birth interacts with prior trauma and birth intervention to predict postnatal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Psychology and Health. 26(12) 1553-1570. 

  19. H. Ley. (2011). Fear of childbirth: Understanding the causes, impact and treatment. British Journal of Midwifery, 19(4), 215-220. 

  20. M. H. Jeon & E. K. Oo, (2004). A study on primiparous husband's state anxiety, perceived support and the perception of childbirth experie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1), 51-58. 

  21. Otley H. (2011). Fear of childbirth: Understanding the causes, impact and treatment. British Journal of Midwifery, 19(4), 215-220. 

  22. Y. Parfitt & S. Ayers. (2009). The effect of post-natal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on on the couple's relationship and parent-baby bond.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27(2), 127-142. 

  23. K. Nichollas & S. Ayers. (2007). Childbirth-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ouples: A qualitative study.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4), 491-509. 

  24. K. H. Park, J. S. Choi, J. H. Lee & B. K. Jin. (2008). Effects of doula support in LDR (Labor-Delivery-Recovery) on anxiety, labor pain, and perceived childbirth experience of primipara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 (3), 87-97. 

  25. M. J. Park, H. J. Oh, J. H. Yun, E. S. Kim & Y. H. Yi. (2012). Attitudes of wives and husbands to the husband's presence during labor and deliver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1), 74-85. 

  26. M. Nejad. (2005). Couples' attitudes to the husband's presence in the delivery room during childbirth. Estern Mediterranean Health Journal, 11( 4), 828-834. 

  27. Y. Bakhta & R. Lee. (2010). A survey of Russian women regarding the presence of a companion during labor.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y and Obsterics, 10(9), 201-211. 

  28. H. Longworth. (2006). Should fathers be in the labour room? Yes, for support not intervention. British Journal of Midwifery. 14(5), 288-2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