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중매체에 나타난 패럴림픽에 대한 분석 및 발전방향

Analysi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Paralympics in Mass Media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6, 2018년, pp.235 - 240  

이창희 (한양대학교 스포츠과학부) ,  박범영 (한양대학교 스포츠과학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에서 성공적인 개최를 한 제8회 1988년 서울 패럴림픽 대회부터 다가올 제12회 2018년 평창 동계 패럴림픽 개최를 중심으로 보도되는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텍스트를 분석하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장애의 유형을 분석해 봄으로서 현재의 패럴림픽에 대한 관심도와 패럴림픽의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첫째, 방송/통신 분야가 21%로 제일 많았으며 둘째, 지적장애가 지체장애보다 2배 이상 보도되었다. 이는 단순한 휠체어를 상징하는 신체적 장애인의 참여뿐 아니라 정신적 장애의 장애유형의 참여가 많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대중매체의 양적증가의 흐름을 통해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보도와 분석을 통하여 패럴림픽에 많은 장애인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계기와 장애인들만의 축제가 아닌 대한민국 전체의 축제로 보고 긍정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s of the mass media reported mainly on the hosting of the Seoul Ferrules and the upcoming Pyeongchang Paralympics in Korea, and to present the interest of the current paralympics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paralympics. First, the broadc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만큼 대중매체에서 큰 범위를 차지하는 분야에 노출이 많이 되는 것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에서 성공적인 개최를 한 1988년 제8회 서울 패럴림픽과 다가올 2018 년 제12회 평창 동계 패럴림픽 개최를 중심으로 보도되는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텍스트를 분석하여 과거와 현재 패럴림픽에 대한 대중매체의 관심도의 확산을 살펴보고 패럴림픽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패럴림픽 특성상 참가 종목의 장애유형이 등급 분류화 되어 있어 별도의 장애 유형별 대중매체 경향 분석을 하지 않아 일반적인 관점에서 인식을 분석하였다[11].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장애인스포츠의 초석인 1988년 제8회 서울 패럴림픽을 기점으로 2018년 제12회 평창 동계 패럴림픽 개최 전까지 패럴림픽의 기사를 대상으로 10년 단위 과거와 현재의 패럴림픽의 인식을 살펴보고 패럴림픽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한민국 패럴림픽 자료의 수집결과 총 8,541건의 자료가 본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으며 이에 따른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한민국 패럴림픽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1988년 제8회 서울 패럴림픽을 시작으로 2018년 제12회 평창 동계 패럴림픽의 개최 전까지를 중심으로 보도 되는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텍스트를 분석하여 과거와 현재 패럴림픽에 대해 살펴보고 패럴림픽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중매체에 나타난 패럴림픽에 대한 분석 결과 1988년 제8회 서울 패럴림픽을 기점으로 대중매체의 모든 영역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볼 수 있으며 대중매체가 기존 한정된 영역에서 다양한 영역으로의 확장됨을 알 수 있으며 많은 영역 중 방송, 통신 분야가 두드러지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 또한 패럴림픽 특성상 참가 종목의 장애유형이 등급 분류화 되어 있어 별도의 장애 유형별 대중매체 경향 분석을 하지 않아 일반적인 관점에서 인식을 분석하였다[11]. 본연구에서는 대중매체를 통해 체계적인 패럴림픽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대중매체에 나타난 패럴림픽에 포함된 장애유형으로 나누어 어떠한 유형의 참여가 과거와 현재에 달라지고 있는지 이에 따라 패럴림픽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해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열리는 패럴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대한민국 비장애인들이 패럴림픽을 장애인들만의 축제가 아닌 대한민국 전체의 축제로 보고 긍정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는 기초정보를 제시한다는 점에 그 필요성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럴림픽이 소외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 담론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늘 ‘반짝 관심’속에 열린 패럴림픽은 장애인 그들 만의 체육대회로 인식되었으며[4], 패럴림픽에 국가적으로 투자를 해야 한다는 당위성은 비장애인 엘리트 스포츠에 비해 소외받고 있는 것이 현 패럴림픽에 참가하는 장애인선수의 현재 모습이다[5,6]. 패럴림픽이 장애인 그들만의 ‘소외’라는 체육대회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 담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비장애인들이 패럴림픽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대한 분석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1988년 이후 대한민국의 패럴림픽 선수단 성적 추세는 어떠한가? 1988년 제8회 서울 패럴림픽에서 진행된 최초 성화 봉송이 30년 만에 대한민국 우리 땅에서 다시 불을 밝히게 된 것이다[1]. 현재 대한민국은 1988년 제8회 서울 패럴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계기로 대규모 선수단을 지속적으로 패럴림픽에 파견하고 있으며 1996년 아틀란타 PG 12위, 1998년 서울 PG 7위, 2000년 시드니 PG 9위, 2004년 아테네 PG 16위, 2008년 베이징 PG 13위, 2012년 런던 PG 12위, 2016년 리우 PG 20위, 서울 PG 이후 지속적인 하향 추세를 나타내고 있음에도 좋은 성적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장애인스포츠 우수성을 널리 세계에 알리고 있다[2]. 이로 인해 장애인에 대한 대한민국 국민들의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대되었고 이를 계기로 장애인 엘리트 스포츠가 주축이 되어 꾸준히 패럴림픽으로 지속,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3].
장애인 체육진흥을 위한 방안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그에 따른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대중매체는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적극적인 시각적인 보도와 가사와의 조화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기존의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부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위해 앞장서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우리가 아는 자원봉사활동을 들 수 있 다. 즉, 장애인과 접촉을 하는데 있어 서로 상호작용을할 수 있게 되면 자연스럽게 긍정적 사고의 전환이 될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장애인 협회와 관련 단체는 그들만의 축제가 아닌 패럴림픽을 적극적으로 국민들에게 홍보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중매체와 연계하여 장애인스포츠 전문채널을 신설함으로써 대중매체를 통하여 장애인들에게 장애인스포츠 활동을 널리 보급하여 미래의 장애인선수를 발굴하는 것이다. 넷째, 장애인 스포츠클럽의 신규 결성 및 확대로더 많은 장애유형을 가진 장애인들이 스포츠 활동을 쉽게 접하도록 하여 장애인의 장애 내용이나 정도를 고려한 새로운 게임이나 스포츠를 개발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ports Today. (2017). 2018 Pyeongchang Winter Paralympics Competition Torch, next March 2 Fire will emerge. http://sports.news.naver.com 

  2. Korea Disabled Sports Association. (2012). Paralympic Games. 

  3. J. T. Kim & E. C. Seo. (2015). Content analysis of support system problems perceived by elite athlete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pecial Physical Education, 23(3), 65-81. DOI : 10.17006/kjapa.2015.23.3.65 

  4. H. K. Roh. (2006).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National Sports Games for the Disabled in Newspap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pecial Physical Education. 14(3), 21-36. 

  5. K. Y. Nam. (2012). Discrimin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Participation in Sports Events. Sports and law. 15(3), 75-96. DOI : 10.19051/kasel.2012.15.3.75 

  6. S. G. Lee. (2003).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Sports Support System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Recognition of Disabled Sports Activity. Social Welfare Policy. 17, 133-153.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2014 Survey on the Statu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8. C. F. Silva & P. D. Howe. (2012). The (in)validity of supercrip representation of Paralympian athletes. Journal of Sport & Social Issues. 36(2), 174-194. 

  9. Y. J. Choi & S. H. Kweon. (2014).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Newspaper articles on Big data . Cyber Communications Journal. 31(1), 241-286. 

  10. R. M. Entman (1991). Framing U. S. Coverage of international news: contrasts in narratives of the KAL and iran air incidents. Journal of Commimnication. 41(4), 6-27. 

  11. S. M. Yoon & Ohara. (2012). An Analysis of Korean Newspaper Coverage of the 2012 London Paralympic Gam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1(6), 497-506. 

  12. O. J. Schantz. & K. Gilbert. (2001). An ideal misconstrued: Newspaper coverage of the Atlanta Paralympic Games in France and Germany. Sociology of Sport Journal. 18, 69-94. DOI : 10.1123/ssj.18.1.69 

  13. D. W. Choi & S. M. Yoon. (2012). An Analysis of Korean Newspaper Coverage of the Paralympic Games: Center from 1988 to 2012. Korea Special Physical Education. 20(4), 45-54. DOI : 10.17006/kjapa.2012.20.4.45 

  14. N. Thomas & A. Smith (2003). Preoccupied with able-bodiedness An analysis of the British media coverage of the 2000 Paralympic Games.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20, 166-181. DOI : 10.1123/apaq.20.2.166 

  15. Y. S. Yu. (2005). A Study on the Non-Disability People\'s Recognition on People with Disability-Focused on Non-Disability People in Jejudo. Korea Welfare for the Disabled, 3(3), 141-172.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Registered Disabled Persons. 

  17. S. Y. Baek & B. D. Park. (2012).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he National Sports for the Disabled Persons: Focusing on the 31st National Sports for the Disabled Persons.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20(1), 97-110. DOI : 10.17006/kjapa.2012.20.1.97 

  1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7). 2016 Survey on Participation in Sports for the Disable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