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웃음치료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메타분석
Convergence Study of Laughter Therapy's Effect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6, 2018년, pp.347 - 355  

도은나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조선희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김선경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웃음치료의 융합적 메타분석을 통해, 노인우울 감소 효과크기를 확인하고, 노인의 우울감소를 위한 웃음치료의 중재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된 융합적 연구이다. 10개의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확인한 486개 문헌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20문헌을 최종 선정하였다. SIGN의 도구를 이용하여 문헌의 질평가를 시행하였으며 CMA 3.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노인우울에 대한 웃음치료의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크기로 나타났으며 (SMD=-0.57, 95% CI: -0.70~-0.44, p<.001), 작은 크기의 이질성을 보였다($I^2=18%$). 하위그룹 분석에서 재가노인, 통합군, 4-6주 중재군, 집단중재군의 효과가 더 컸다. 본 융합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효과적인 웃음치료 프로그램 구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며, 추후 노인요양시설 노인을 대상으로 한 반복연구와 무작위배정 실험연구가 더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nvergenc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effect size,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laughter therapies on depression for Korean older adults. Of the 486 studies searched in 10 databases, 20 studies in the inclusion criteria were selected. The risk of bias was assessed by SIG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감소를 위한 웃음 치료의 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고 효과크기를 확인함으로써 효과적인 노인우울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웃음치료가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된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웃음치료가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선행연구에서 적용한 웃음치료는 웃음을 치료적으로 활용한 활동요법이라는 공통점 외에는 전체 회기 수, 한 회기 운영시간, 참여자의 특성 등이 다양하여 웃음치료가 노인 우울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융합적 메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된 웃음치료가 노인의 우울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노인 우울 중재의 효과크기와 효과적인 중재의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보건의료인이 웃음치료를 활용할 때 실무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웃음치료의 장점으로 무엇이 언급되는가?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노인의 우울을 완화시키기위한 다양한 중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10,11], 그 중 웃음치료는 다른 중재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특별한 준비과정이나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점, 둘째,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는다는 점, 셋째, 약간의 훈련을 통해 모든 간호사들이 간호현장에서 사용가능 하다는 점이다[12].
노인 우울이 심해질 경우 어떤 대처가 필요한가? 노인의 우울은 자살생각과도 높은 관련성이 있다[4,5]. 노인 우울이 심해지면 절망감을 느끼게 되고 노인의 건강과 심리적 안녕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6] 노인의 우울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중재가 절실하다[7-9].
선행연구에서 노인의 우울중재 기간은 어떻다고 결론나는가? 8주 이상의 효과크기는 4-6주의 효과크기와 유의한 차이는 없었는데, 이는 4-6주 정도만의 중재로도 우울감소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우울 감소를 위해 웃음치료를 활용함에 적어도 4주 이상의 중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마음, 표정, 생각이 바뀌어 웃음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견해[31]를 지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L. C. M. MacDonald. (2004). A Chuckle a Day Keeps the Doctor Away: Therapeutic Humor & Laughter.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and Mental Health Services, 42(3), 18-25. DOI : 10.3928/02793695-20040301-05 

  2. http://www.aath.org/ 

  3. M. S. Song, N. C. Kim & D. H. Lee. (2008).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Elder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0(1), 20-26. 

  4. Y. J. Oh & H. D. Kim. (2018).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Elderly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1-7. DOI : 10.22156/SMB.2018.8.2.001 

  5. M. Y. Chang. (2014).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i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6), 501-508. DOI : 10.14400/JDC.2014.12.6.501 

  6. J. H. Lee. (2001). The Effect of Group Music Program on Depression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Society, 3(1), 42-52. 

  7. J. W. Lee (2016). Converged Factors Influencing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5), 237-246. DOI : 10.15207/JKCS.2016.7.50237 

  8. J. W. Choi (2017).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ctivity Type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431-444. DOI : 10.15207/JKCS.2017.8.12.431 

  9. Y. J. Oh & H. D. Kim. (2018).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Elderly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1-9. DOI : 10.22156/CS4SMB.2018.8.2.001 

  10. M. S. Kim & M. H. Gang. (2017). The Effect of Foot-Reflexology Massage on Sleep, Depression, & Constipa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 15(9), 249-259. DOI : 10.14400/JDC.20174.15.9.249 

  11. H. C. Kim, Y. M. Lee. (2017). The Effect of a 12 Week -Yoga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Flexibility and Gloom in the visually impaired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8(3), 253-263. DOI : 10.15207/JKCS.2017.8.3.253 

  12. C. Burns. (1996). Comparative Analysis of Humor versus Relaxation Training for the Enhancement of Immunocompetence. Doctoral dissertation, Rosemead School of Physiology Biola University, California. 

  13. W. Fry, H. Mindess & J. Turek. (1979). The Study of Humor. Santa Barbara, CA : Antioch University Press. 

  14. H. J. Ko & C. H. Youn. (2011).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Cognition and Sleep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Geriatric Gerontology International, 11(3), 267-274. DOI : 10.1111/j.1447-0594.2010.00680.x 

  15. S. Y. Seo & S. Y. Chang. (2011). Effect of Laughing Therapy on Sleep,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Elderly Women in Senior Home. Journal of Regional Studies, 19(4), 211-225. 

  16. K. I. Lee & Y. Eun. (2011). Effect of Laugher Therapy on Pain, Depression and Sleep with Elderly Patients in Long Term Care Facility.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8(1), 28-38. 

  17. E. O. Park. (2013). Effects of Visiting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and Insomnia among the Vulnerabl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4(2), 205-213. DOI : 10.12799/jkachn.2013.24.2.205 

  18. Y. S. Kim & S. S. Jun. (2009). The Influence of One-Time Laughter Therapy on Stress Respons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3), 269-277. 

  19. S. H. Lee, J. W. Chai, M. Lee & A. R. Sul. (2011). A Guideline for Systematic Reviews. Seoul :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 SIGN. (2012).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50: A Guideline Developer's Handbook. http://www.sign.ac.uk/guidelines/fulltext/50/index.html 

  21. M. Borenstein, L. Hedges, J. Higgins & H. Rothstein. (2015).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3 [Computer software]. Englewood, NJ: Biostat. 

  22. J. P. Higgins, S. G. Thompson, J. J. Deeks & D. G. Altman. (2003). Measuring Inconsistency in Meta-Analysis. British Medical Journal, 327(7414), 557-560. DOI : 10.1136/bmj.327.7414.557 

  23. R. DerSimonian & N. Laird. (1986). Meta-Analysis in Clinical Trials. Controled Clinical Trials, 7(3), 177-188. DOI : 10.1016/0197-2456(86)90046-2 

  24. M. Egger, G. D. Smit, M. Schneider & C. Minder.(1997).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British Medical Journal, 315(7109), 629-634. DOI : 10.1136/bmj.315.7109.629 

  25. S. M. Park. (2011). Meta-Analysis of the Interventions for Caring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the Four Countries: A Comparison of the Total Effectiveness, Short-Term Effectiveness, and Long-Term Effectivenes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3), 553-571. 

  26. F. B. Schuch et al. (2016). Exercise for Depression in Older Adult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Revista Brasileira De Psiquiatria, 38(3), 247-254. DOI : 10.1590/1516-4446-2016-1915 

  27. Y. W. Kim & K. H. Han. (2017).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Exercise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70, 549-560. 

  28. I. S. Kim, H. S. Shin & H. C. Seo. (2015). The Meta-Analysis of the Depression Programs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5(4), 1061-1079. 

  29. S. H. Kim & S. H. Kim. (2014). The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Programs of the Elderly. Journal of Social Science, 40(3), 77-97. 

  30. J. S. Kang. (2017). A Meta-Analysis of Laughter Therapy in Korean Journal.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 489-501. DOI : 10.14257.AFMAHS.2017.01.08 

  31. I. S. Lee. (2011). Healing Body and Mind Laughter Therapy. Seoul : Hanam Publishing. 

  32. M. Garner, A. Collins, S. Dunphy, P. Bullock & D. Wright. (2004). Study Confirms Belief that Laughter is the Medicine (Brief Article).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 Journal, 80(2), 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