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매트릭스 작성을 위한 공간정보 특성 고찰
Analysis of Spatial Information Characteristics for Establishing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Matrix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1 no.2, 2018년, pp.44 - 55  

황진후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장래익 (고려대학교 환경GIS) ,  전성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수립과 이행을 위해 온실가스 인벤토리 작성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토지이용 항목과 변화들에 대해 공간 명시적으로 나타낸 Approach 3 수준의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LULUCF) 매트릭스 구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ULUCF 매트릭스의 산림 항목을 중심으로 연속지적도, 중분류 토지피복지도, 임상도, 도시생태현황지도를 활용하여 LULUCF 매트릭스 구축에 적합한 공간정보를 검토하였다. 각 공간정보에 대한 분류 속성 비교를 실시하였고 충청남도 보령시를 대상으로 양적(면적) 비교, 질적(특성) 비교를 실시하였다. 양적 비교 결과 산림의 면적이 임상도에서 최고 50.42%($303.79km^2$), 지적도에서 최저 46.09%($276.65km^2$)의 차이를 보였다. 질적 비교 결과 자료 구축 범위 차이, 자료 구축 목적 차이, 분류 항목 차이, 일필일목의 원칙 적용 여부의 차이, 자료구축 시기 차이 등 5가지 질적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도시생태현황지도가 LULUCF 매트릭스 구축에 가장 적합한 공간 정보로 판단되었으나 전국구축이 되어있지 않은 한계로 토지피복지도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또한, 도시생태현황지도, 임상도, 토지피복지도 등을 서로 종합하여 LULUCF 매트릭스를 구축하게 될 경우 각 공간정보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전국토를 대상으로 하는 1:5,000 수준의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및 도시생태현황지도가 완료될 경우 LULUCF 매트릭스 작성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greenhouse gas inventory is emerging for policymaking and its implementation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hus, it is needed to establish Approach 3 level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LULUCF) matrix that is spatially explicit regarding land use classifi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통계자료에 기반 한 Approach 1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용 면적파악에 한계가 있다(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를 반영하는 Approach 3 수준에서의 LULUCF 매트릭스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 검토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각 공간정보의 속성 특성, 양적 특성, 질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 속성 특성 비교에서는 각 공간정보에서의 산림의 정의를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산림 의 정의와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자료 간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문제에 대응하고, 추후 정책수립 및 집행 등의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공간자료 선정을 위한 기초 정보를 검토하였다. 향후 전 국토를 대상으로 하는 1:5,000 수준의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및 도시생태현황지도의 구축이 완료될 경우, 토지이용 매트릭스 구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지침에서는 온실가스 국가 인벤토리 산정에 있어 에너지(Energy), 산업공정 (Industrial Processes), 용제 및 기타 제품사용(Solvent and Other Product Use), 농업 (Agriculture),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LULUCF), 폐기물(Waste)의 6개 분야를 구축하도록 하고 있다(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2016). 본 연구에서는 LULUCF 분야의 인벤토리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산림 분야를 중심으로 LULUCF 작성에 적합한 공간정보를 검토하였다. 산림은 국토의 64%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림면적은 개발 등으로 인한 산림 전용으로 인해 면적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임업통계연보, 2017).
  • 현행 국내 LULUCF 매트릭스는 Approach 1 형태로 구축이 되고 있어 공간적 변화를 감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Approach 3 수준의 매트릭스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고, 현재 구축되어 있는 환경 정보를 대상으로 속성, 양적, 질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수목 외 지역에 대한 분류 기준에 대한 차이가 있다. 연속지적도에서는 암석지·자갈땅·모래땅·습지·황무지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임상도에서는 산림의 경영 및 관리를 위하여 설치한 도로를 포함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ULUCF란 무엇인가? LULUCF란 토지이용과 목적, 형태에 따라 6개의 범주(산림지, 농경지, 초지, 습지, 정주지, 기타토지)로 구분하여 각 토지이용 범주별 인위적인 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흡수량과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흡수량을 산출하는 분야이다(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2015). LULUCF 분야 매트릭스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IPCC 지침에서는 3개의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LULUCF 분야 매트릭스를 작성하는 방법 중 Approach 1이 가지는 한계점은 무엇인가? Approach 1은 정의된 공간 단위 이내 토지이용 면적의 합계를 반영한 것으로, 시간에 따른 토지이용의 순 면적 변화만을 추적할 수 있다. 하지만, 토지이용의 정확한 변화 탐지가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Approach 2는 주로 표본 추출을 통해 작성되며, 특정한 토지이용 카테고리 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트릭스의 형태로 나타난다.
산림 지역의 변화가 LULUCF 매트릭스 작성에 있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산림은 국토의 64%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림면적은 개발 등으로 인한 산림 전용으로 인해 면적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임업통계연보, 2017). 또한 산림은 이산화탄소의 주요 흡수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산림 지역의 변화는 LULUCF 매트릭스 작성에 있어 중요하다 (Fuchs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oryeong-si, 2016. Boryeong-si statistics annual report, BORYEONG, KOREA (보령시, 2016. 보령시 통계연보, 보령시, 대한민국) 

  2. Fuchs, H., P. Magdon, C. Kleinn and H. Flessa. 2009. Estimating above groundcarbon in a catchment of the Siberian forest tundra: combining satellite imagery and field invento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3: 518-531. 

  3.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2016. 2016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of Korea, SEOUL, KOREA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16. 2016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4.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2015. A Study on the GIS-based approach 3 methodologies for the land use matrix of the LULUCF Sector, SEOUL, KOREA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16. 공간영상정보를 활용한 LULUCF 분야 토지이용 및 토지이용변화 매트릭스 구축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5. Hong, S.E., D.H. Yi and S.H. Park. 2004. Land Category Non-coincidence measurements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digital topographic maps,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2(1):43-56 (홍성언, 이동헌, 박수홍, 2004.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지목 불부합의 정도 측정, 한국공간정보학회 12(1):43-56). 

  6. IPCC,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IGES, JAPAN. 

  7. Kim, J.H. and K.W. Kwon. 2011. The subdivision method of land category for the efficient registration of land use in building site,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6(1): 65-79 (김준현, 권기욱, 2011."대"지목의 효율적 토지이용 등록을 위한 지목세분화 방안, 한국지적학회 6(1):65-79). 

  8.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1. Production of the fifth forest map using aerial photograph DB data, SEOUL, KOREA (국립산림과학연구원, 2011. 항공사진 DB자료를 활용한 제5차 임상도 제작,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9. Korea Forest Service, 2016.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DAEJEON, KOREA (산림청, 2016. 2016 산림통계연보, 대전광역시, 대한민국).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Demonstration project for National Environmental Map, SEJONG, KOREA (환경부, 2013. 국가환경지도 구축 시범사업, 세종특별자치시, 대한민국). 

  11. Miphokasap, P., 2017. Spatial inventory of CO2 emissions and removals from land use and land use changes in Thailand, Chemical Engineering Transactions 56: 13-18. 

  12. Park, S.C., B.H. Han, M.J. Park, H.D. Yun and M.J. Kim, 2016.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both biotope maps and land cover maps on the calculation of the ecological network indicator of city biodiversity index, J. KILA 44(6): 73-83 (박석철, 한봉호, 박민진, 윤형두, 김명진, 도시생물다양성 지수(CBI) 중 생태네트워크 산정을 위한 도시생태현황지도 및 토지피복지도 활용 가능성 연구, 한국조경학회 44(6):73-83). 

  13. Stahl, G., J. Heikkinen, H. Petersson, J. Repola and S. Holm. 2014. Sample-based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forests-a new approach to account for both sampling and model errors, Forest Science 60(1):3-13. 

  14. Yoon, J.D., H.J. Lee, D.G. Yoon and C.S. Seo. 2009. An examination of the cadastral system and its efficient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2(2): 247-266 (윤정득, 이현정, 윤동건, 서철수, 2009. 지목체계의 효율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25(2): 247-266). 

  15. Yu, S.C., J.W. Ahn and J.A. Ok, 2013. A study on construction plan of the statistics for national green house gas inventories(LULUCF SECTOR),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 (3):67-77 (우선철, 안종욱, 옥진아, 2013.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LULUCF 부문 통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23(3):67-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