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FM과 FDS를 이용한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Fire Evacuation Simulation Using FFM and FD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1 no.2, 2018년, pp.56 - 67  

이재영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이민혁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전철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으로 화재 및 대피에 대한 안전성을 진단하기 위해 화재 시뮬레이터와 대피 시뮬레이터를 독립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방식은 화재 확산을 고려한 보행자의 움직임이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의 안전성 진단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확산을 고려한 보행자의 움직임을 묘사할 수 있는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뮬레이션 기법은 FDS(Fire Dynamics Simulator)의 화재 확산 데이터를 보행모델 FFM(Floor Field Model)에 반영하여, 보행자가 화재를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회하여 안전한 경로로 대피하는 상황을 묘사한다. 연구 범위는 FDS와 FFM 간의 데이터 연동 및 화재 확산을 고려한 FFM 개발로 구성되며, 제안한 방법론의 실험은 대피 시뮬레이터 EgresSIM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화재의 유무에 따른 출구별 대피인원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출구별 대피시간 증감과 병목현상의 심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general, fire and evacuation simulators are used independently to diagnose the safety of building. Because this method does not reflect the movement of pedestrians considering fire spread, it is difficult to expect diagnosis of safety with high accuracy.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simulation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확산을 고려한 보행자의 움직임을 묘사할 수 있는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기법은 화재 시뮬레이터 FDS의 화재 확산 데이터를 보행모델 FFM에 반영하여 화재를 고려한 대피 상황을 묘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연구 범위는 FDS와 FFM 간의 데이터 연동 및 화재 확산을 고려한 FFM 개발로 구성되며, 제안한 방법론의 실험은 대피 시뮬레이터 EgresSIM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FDS와 FFM을 이용한 커플링 방식의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FFM은 보행 에이전트가 인접한 8개 셀만을 고려하여 이동을 결정하기 때문에 연산 속도가 빠르다(Helbing et al.
  • 본 연구에서는 FDS와 FFM을 이용한 커플링 방식의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을 제안하였다. FDS의 화재 확산 데이터를 셀 구조로 변환하여 FFM에 반영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화재 확산을 고려한 개선된 FFM을 개발하였다.
  • 화재 확산 데이터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각 복셀에서의 열, 연기 농도, 시야 값이 저장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확산 데이터를 FFM에 반영하여 가시화하고 보행 에이전트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FFM에 화재 확산 필드(Fire Spread Field)를 추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와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여, 개선된 FFM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화재를 가정한 상황에서는 그렇지 않은 상황과 비교하였을 때, 에이전트들의 경로 우회로 인한 각 출구의 대피인원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 20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FFM을 보행 에이전트가 화재에 인접하지 않아도 화재를 인지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에이전트가 안전한 출구로 우회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확산을 고려한 보행자의 움직임을 묘사할 수 있는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기법은 화재 시뮬레이터 FDS의 화재 확산 데이터를 보행모델 FFM에 반영하여 화재를 고려한 대피 상황을 묘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설 설정

  • 그림 12, 그림 13, 그림 14는 각 상황에 대한 출구별 누적 대피인원 및 보행자들의 대피 궤적을 나타낸 것이다. 가정한 인원분포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출구2와 출구3에 인원들이 집중된다. 이로 인해 출구1과 출구5에서의 대피시간이 약 60-70초 사이에 종료되는 반면, 출구3의 대피시간은 약 125초에 종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그림 9는 시뮬레이션 대상 공간과 화재 발생 위치를 나타난다. 대상 공간은 5개의 출구가 존재하는 실제 건물 구조를 이용하였고 약 300명의 인원이 공간 내 균일한 밀도로 존재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화재는 1번과 2번 위치에서 발생 하는 2가지 경우를 고려하였고 발열량은 100Kw/m2 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고 설정하였다.
  • 대상 공간은 5개의 출구가 존재하는 실제 건물 구조를 이용하였고 약 300명의 인원이 공간 내 균일한 밀도로 존재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화재는 1번과 2번 위치에서 발생 하는 2가지 경우를 고려하였고 발열량은 100Kw/m2 으로 동일하게 유지된다고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DS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요소들이 정의되어야 하는가? , 2013).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화재 실험 공간, 화재 규모, 실내 객체(벽면, 바닥, 가구 등)의 기하학적 형태, 실내 객체의 속성(재질, 밀도, 열전도 등), 배기 조건(환풍기, 공기순환), 소화 장치(스프링클러), 해석 파라미터 등의 요소가 정의되어야 한다(McGrattan et al., 2013).
FDS란 무엇인가? FDS는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 화재로 인한 열이나 연기에 대한 해석을 위해 만든 화재 시뮬레이터이다(Kim et al., 2013).
대피 시뮬레이터를 통해 어떤 것들을 계산할 수 있는가? 일반적으로 대형건축물에서는 화재 및 대피에 대한 안전성을 진단하기 위해 화재 시뮬레이터와 대피 시뮬레이터를 독립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대피 시뮬레이터를 통해 실내 보행자들이 안전한 장소까지 대피하는데 소요되는 대피요구 시간(RSET : Required Safe Egress Time) 을 계산하고, 화재 시뮬레이터를 통해 화재가 보행자들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 대피허용시간 (ASET : Available Safe Egress Time)을 계산하여 두 시간의 비교·분석을 통해 건물의 안전성을 진단한다(Kim and Jeon, 2015). 이에 활용되는 대표적인 대피 시뮬레이터로는 Pathfinder, Simulex, buildingEXODUS 등이 있고 화재 시뮬레이터로는 FDS, CFAST, Smartfire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urstedde, C., K. Klauck, A. Schadschneider and J. Zittartz. 2001. Simulation of Pedestrian Dynamics Using a Two-Dimensional Cellular Automaton. Physica A:Statistical Mechanics and its Applications 295(3-4):507-525. 

  2. Choi, J.H. 2011. Development of Performance Based Egress Design and Modeling Method through Analyzing Evacuation Characteristic of a High-rise Building.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5pp (최준호. 2011.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특성 분석을 통한 성능기반 설계 및 모델링 기술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쪽). 

  3. Helbing, D., I. Farkas and T. Vicsek. 2000. Simulating Dynamical Features of Escape Panic. Nature 407(6803):487-490. 

  4. Kim, J.Y. and Y.H. Jeon. 2015. The Case Analysis through Fire Simulation FDS and Evacuation Simulation Pathfinder.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6) :253-260 (김종윤, 전용한. 2015. 화재 시뮬레이션 FDS와 피난시뮬레이션 Pathfinder 사례분석. 벤처창업연구10(6):253-260). 

  5. Kim, M.G., Y.J. Joo and S.H. Park. 2013. Risk Evaluation and Analysis on Simulation Model of Fire Evacuation based on CFD - Focusing on Incheon Bus Terminal Station.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1(6):43-55 (김민규, 주용진, 박수홍. 2013. CFD기반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모델을 적용한 위험도 평가 분석-인천터미널역 역사를 대상으로.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1(6):43-55). 

  6. Koo, H.M. 2017. A Study on Improvements Performance-Based Design Standards through a Comparsion of Life Safety Assessment Results according to Three Coupling Methods of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 MA,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3pp (구현모. 2017. 화재 피난 시뮬레이션의 커플링 방식별 인명 안전성평가 결과 비교를 통한 성능위주 설계 수행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3쪽). 

  7. Koo, H.M., R.S. Oh, S.H. Lee, S.H. Ahn, C.H. Hwang and J.H. Choi. 2017. A Comparative Study on Life Safety Assessment Results depending on Whether Coupling of Fire & Evacuation Simulation for Performance Based Design. Proceedings of 2017 KIFSE Annual Spring Conference. pp.47-48 (구현모, 오륜석, 이수호, 안성호, 황철홍, 최준호. 2017. 성능위주 설계 시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의 커플링 수행여부에 따른 인명안전성평가 결과 비교.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47-48쪽). 

  8. Korhonen, T. and S. Hostikka. 2010. Fire Dymanics Simulator with Evacuation : FDS+EVAC Technical Reference and User's Guide. VTT Research Note, Finland. 

  9. Korhonen, T., S. Hostikka, S. Heliovaara and H. Ehtamo. 2008. FDS+Evac: An Agent Based Fire Evacuation Model .4th Intl. Conference on Pedestrian and Evacuation Dynamics. Germany, Wuppertal, Feb. 27-29, 2008, pp.109-120. 

  10. Kwak, S.Y., H.W. Nam and C.M. Jun. 2016. Microscopic Evacuation Simulation in Large-scale Buildings using EgresSI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25(1):53-61 (곽수영, 남현우, 전철민. 2016. EgresSIM을 이용한 대형건축물의 미시적 대피시뮬레이션.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25(1):53-61). 

  11. Lee, J.Y., H.W. Nam and C.M. Jun. 2017. A study on Evacuation Model Based on Floor Field Model Considering Fire Spreading. Conference on Geo-Spatial Information 2017 Fall. pp.74-77 (이재영, 남현우, 전철민. 2017. 화재 확산을 고려한 Floor Field Model 기반 대피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74-77쪽). 

  12. McGrattan, K., S. Hostikka, R. McDermott, J. Floyd, C. Weinschenk and K. Overholt. 2013. Fire Dynamics Simulator User's Guide. NIST, USA. 

  13. Nam, H.W. 2012. Developing a Cellular Automata-Based Pedestrian Model Incorporating Microscopic Behavior. Ph.D.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2-3pp (남현우. 2012. 미시적 행태를 반영한 CA기반 보행모델.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쪽). 

  14. Nam, H.W., S.Y. Kwak and C.M. Jun. 2016(a). A study on building evacuation simulation using Floor Field Mode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25(2):1-11 (남현우, 곽수영, 전철민. 2016(a). Floor Field Model을 이용한 건축물의 대피시뮬레이션에 대한 연구.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25(2):1-11). 

  15. Nam, H.W., S.Y. Kwak and C.M. Jun. 2016(b). A Study on Comparison of Improved Floor Field Model and Other Evacuation Model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25(3):41-51 (남현우, 곽수영, 전철민. 2016(b). 개선된 Floor Field Model과 다른 피난시뮬레이션 모델의 비교 연구.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25(3):41-51). 

  16. Rie, D.H.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Based Fire Risk Assesment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3(5):1-6 (이동호, 2008, FDS를 활용한 성능위주 화재위험성평가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3(5):1-6) 

  17. Wang, C. and J. Wang. 2016. A Modified Floor Field Model Combined with Risk Field for Pedestrian Simulation. Mathematical Problems in Engineering 2016:10. 

  18. Zheng, Y., B. Jia, X. G. Li and R. Jiang. 2017. Evacuation Dynamics Considering Pedestrians' Movement Behavior Change with Fire and Smoke Spreading. Safety Science 92:180-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