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밀과 질산성 질소의 C/N ratio 변화에 따른 탈질 및 미생물 군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nitrification and microbial community characteristics by the change of C/N ratio of molasses and nitrate nitroge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4 no.2, 2018년, pp.105 - 112  

엄한기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김성철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탈질 효율 비교를 위해 당밀메탄올을 외부 탄소원으로 사용하였다. 세부 실험조건은 C/N ratio 조건에 따라 구분하였다. 회분식 실험 결과, 당밀과 메탄올 모두 C/N ratio가 증가할수록 탈질 효율은 증가하였다. 당밀의 최적 C/N ratio는 잔류 COD 농도와 탈질 효율을 고려할 때 4:1로 나타났으며, 이때 탈질 효율은 91.4%이다. 동역학적 인자로 SDNR을 도출한 결과, C/N ratio가 증가할수록 당밀과 메탄올은 유사한 SDNR 값을 보였으며, C/N ratio 4:1 조건에서 0.0292 g $NO_3{^-}-N$ removal/g MLVSS/day (molasse), 0.0299 g $NO_3{^-}-N$ removal/g MLVSS/day (mehtanol)로 나타났다. 미생물 군집 분석을 통해 당밀에 적응된 슬러지에는 Pseudomonas sp.와 Bergeylla sp. 박테리아가 우점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보다는 일부 박테리아에 대한 집중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당밀은 탈질에 특화된 미생물을 집중적으로 성장시키며, 탈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대체 외부탄소원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ompare the denitrification efficiency, this study used molasses and methanol were used as external carbon sources. Specific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C/N ratio conditions. The batch test showed that the denitrification efficiency increased as C/N ratios of molasse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에서 탈질 성능은 우수하였으나, 잔류 유기물에 대한 2차 오염 문제와 최적 주입량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학적 탈질 시 외부탄소원으로써 당밀을 적용하고 C/N ratio 조건에 따른 동역학적 인자 변화와 탈질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미생물 군집 분석을 통해 당밀이라는 신규 외부탄소원에 특화된 종속영양 박테리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학적 탈질 시 외부탄소원으로써 당밀을 적용하고 C/N ratio 조건에 따른 동역학적 인자 변화와 탈질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미생물 군집 분석을 통해 당밀이라는 신규 외부탄소원에 특화된 종속영양 박테리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밀은 무엇인가? 당밀(Molasses)은 설탕을 제조할 때 부산물로 생산되는 액체이다. 특히, 사탕수수 당밀은 설탕이 더 이상 결정화되지 않고 남은 검은색의 점성이 높은 액체이다.
탈질화 과정에서 외부탄소원을 주입하였을 때 단점은 무엇인가? , 2012). 그러나 외부탄소원의 주입은 탈질 후 잔류 유기물에 대한 처리가 요구되며, 외부탄소원 주입에 따른 약품비 등 운영비의 증가를 야기시킨다(Yoon et al., 2010).
탄소 원의 비율이 낮아 질산성 질소를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면 우려되는 점은 무엇인가? 질산성 질소(Nitrate, NO3--N)를 N2로 탈질시키기 위해서는 탄소원이 충분해야 한다(Wiesmann, 1994). COD/total kjeldahl nitrogen (TKN)(C/N ratio) 비율이 낮아 탄소원이 부족할 경우에는 질소를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생물학적 탈질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기준 중 총 질소(T-N 20 mg/L)의 수질기준을 초과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C/N ratio가 낮은 하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으로 외부탄소원(External Carbon Source)을 주입해야 한다(Isaac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kunna, J.C., Bizeau, C., and Moletta, R. 1993. Nitrate and nitrite reduction with anaerobic sludge using various carbon sources: glucose, glycerol, acetic acid, lactic acid and methanol. Water Res. 27, 1303-1312. 

  2. Cai, T., Qian, L., Cai, S., and Chen, L. 2011. Biodegradation of benazolin-ethyl by strain Methyloversatilis sp. cd-1 isolated from activated sludge. Curr. Microbiol. 62, 570-577. 

  3. Choi, J.S., Kim, J.T., and Joo, H.J. 2014. Effect of total dissolved solids injection on microbial diversity and activity determined by 16S rRNA gene based pyrosequencing and oxygen uptake rate analysis. Environ. Eng. Sci. 31, 474-480. 

  4. Cunningham, A.B., Sharp, R.R., Hiebert, R.H., and James, G. 2003. Subsurface biofilm barriers for the containment and remediation of contaminated groundwater. Bioremed. J. 7, 151-164. 

  5. Dutta, L., Nuttall, H.E., Cunningham, A., James, G., and Hiebert, R. 2005. In situ biofilm barriers: case study of a nitrate groundwater plume, Albuquerque, New Mexico. Remediat. J. 15, 101-111. 

  6. Eom, H.K., Choi, Y.H., and Joo, H.J. 2016. TDS removal using bio-sorption with AGS and high concentration nitrogen removal. J. Kor. Soc. Water Environ. 32, 303-309. 

  7. Grabinska-Loniewska, A. 1991. Biocenosis diversity and denitrification efficiency. Water Res. 25, 1575-1582. 

  8. Henze, M. 1986. Nitrate versus oxygen utilization rates in wastewater and activated sludge systems. Water Sci. Technol. 18, 115-122. 

  9. Henze, M. 1989. The influence of raw wastewater biomass on activated sludge oxygen respiration rates and denitrification rates. Water Sci. Technol. 21, 603-607. 

  10. Henze, M. 1991. Capabilities of biological nitrogen removal processes from wastewater. Water Sci. Technol. 23, 669-679. 

  11. Henze, M. and Harremoes, P. 1990. Chemical-biological nutrient removal-the HYPRO concept. Proceeding of the 4th, pp. 499-510. Gothenburg Symposium Chemical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Madrid, Spain. 

  12. Her, J.J. and Huang, J.S. 1995. Influences of carbon source and C/N ration on nitrate/nitrite denitrification and carbon breakthrough. Bioresour. Technol. 54, 45-51. 

  13. Hiraishi, A., Muramatsu, K., and Urata, K. 1995. Characterization of new denitrifying Rhodobacter strains isolated from photosynthetic sludge for wastewater treatment. J. Ferment. Bioeng. 79, 39-44. 

  14. Isaacs, S.H., Henze, H., Soeberg, H., and Kummel, M. 1994. External carbon source addition as a means to control an activated sludge nutrient removal process. Water Res. 28, 511-520. 

  15. Jung, I.C., Jo, H.G., Lee, D.H., and Kang, D.H. 2005. Development and fuel scale application of the alternative carbon source based on the substrate compatibility. J. Kor. Soc. Environ. Engineer. 27, 491-498. 

  16. Kaplan, D.L., Riley, P.A., Pierce, J., and Kaplan, A.M. 1987. Denitrification of high nitrate loads-efficiencies of alternative carbon sources. Int. Biodeterior. 23, 233-248. 

  17. Kim, J.S., Kim, K.R., Kang, H.S., Won, I.S., Kim, K.Y., and Lee, S.I. 2012. Nitrogen removal characteristics in dynaflow biofilter system using sewage wastewater of low C/N ratio. J. Korean Soc. Environ. Eng. 34, 189-194. 

  18. Kujawa, K. and Klapwijk, B. 1999. A method to estimate denitrification potential for predenitrification system using NUR batch test. Water Res. 33, 2291-2300. 

  19. Lee, B.S., Lee, K.Y., Shin, D.Y., Choi, J.H., Kim, Y.J., and Nam, K.P. 2010. Denitrification by a heterotrophic denitrifier with an aid of slowly released molasses. J. Soil Groundwater Environ. 15, 30-38. 

  20. Lee, K.Y., Lee, B.S., Shin, D.Y., Choi, Y.J., and Nam, K.P. 2013. Enhancement of denitrification capacity of Pseudomonas sp. KY1 through the optimization of C/N ratio of liquid molasses and nitrate. J. Korean Soc. Environ. Eng. 35, 654-659. 

  21. Lee, N.A. and Welander, T. 1996. The effect of different carbon sources on respiratory denitrification in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J. Ferment. Bioeng. 82, 277-285. 

  22. Li, W., Fu, L., Niu, B., Wu, S., and Wooley, J. 2012. Ultrafast clustering algorithms for metagenomic sequence analysis. Brief. Bioinform. 13, 656-668. 

  23. Michalski, W.P. and Nicholas, D.J.D. 1988. Identification of two new denitrifying strains of Rhodobacter sphaeroides. FEMS Microbiol. Lett. 52, 239-243. 

  24. Monteith, H.D., Bridle, T.R., and Sutton, P.M. 1980. Industrial waste carbon sources for biological denitrification. Progress Water Technol. 12, 127-141. 

  25. Sasaki, K., Ohtsuki, K., Emoto, Y., and Hamaoka, T. 1990. Treatment by a photosynthetic bacterium on the effluent from anaerobic digestor of swine wastewater. J. Soc. Agric. Struct. 20, 43-50. 

  26. Shin, H.S., Chae, S.R., Nam, S.Y., Kang, S.T., and Paik, B.C. 2002. The effect of anaerobically fermented leachate of food waste on nutrient removal in BNR (1). J. Korean Soc. Environ. Eng. 24, 1023-1031. 

  27. Skrinde, J.R. and Bhagat, S.K. 1982. Industrial wastes as carbon sources in biological denitrification. J. Water Pollut. Control Fed. 54, 370-377. 

  28. Su, C. and Puls, R.W. 2007. Removal of added nitrate in the single, binary, and ternary systems of cotton burr compost, zerovalent iron, and sediment: implications for groundwater nitrate remediation using permeable reactive barriers. Chemosphere 67, 1653-1662. 

  29. Takeno, K., Sasaki, K., Watanabe, M., Kaneyasu, T., and Nishio, N. 1999. Removal of phosphorus from oyster farm mud sediment using a photosynthetic bacterium, Rhodobacter sphaeroides IL106. J. Biosci. Bioeng. 88, 410-415. 

  30. Weier, K.L., Doran, J.W., Power, J.F., and Walters, D.T. 1993. Denitrification and the dinitrogen/nitrous oxide ratio as affected by soil water, available carbon, and nitrate. Soil Sci. Soc. Am. J. 57, 66-72. 

  31. Wiesmann, U. 1994. Biological nitrogen removal from wastewater, pp. 113-154. In Fiechter, A. (ed.), Advances in Biochemical Engineering Biotechnology, Springer Verlag, Berlin, Heideberg, Germany. 

  32. Yoon, S.J., Kang, W.C., Bae, W.K., and Oh, S.E. 2010. Autotrophic nitrite denitrification using sulfur particles for treatment of wastewaters with low C/N ratios (Batch Tests). J. Korean Soc. Environ. Eng. 32, 851-8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