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겨울철 기온의 월별 통계 예측 모형 구축 및 검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tatistical Prediction Model of Monthly-Mean Winter Surface Air Temperature in Kore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8 no.2, 2018년, pp.153 - 162  

한보름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임유나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김혜진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손석우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atistical prediction model for wintertime surface air temperature, that is based on snow cover extent and Arctic sea ice concentration, is updated by considering $El-Ni{\tilde{n}}o$ Southern Oscillation (ENSO) and Quasi-Biennial Oscillation (QBO). These additional factors, repres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Furtado et al. (2016)을 바탕으로 10월의 눈 덮임, 해빙 공간 분포 이외에 북반구 중 특히 한반도 겨울철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해수면 온도, 20 hPa 동서방향바람 총 4가지 예측 인자들을 고려하여 선형회귀통계 모형을 구축하였다. 예측 인자들의 상호 연관성을 고려하여 북반구와 한반도 겨울철 기온의 예측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다변량 경험직교함수 분석을 통해 겨울철 기온과 연관된 예측 인자의 주요 변동성을 추출하여 다중선형회귀모형을 만들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중공선성이란 무엇인가? 회귀 모형에서 예측 인자들 사이의 상관성이 높으면 회귀 계수의 분산이 커져 회귀 계수들의 신뢰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 다중공선성을 평가하기 위해 무엇을 수행하였는가? 이러한 현상을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이라 한다. 본 선형회귀모형의 다중공선성 평가를 위해 각 예측 인자 별 분산 팽창 인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를 구해 모형 안정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분산 팽창 인수의 식은 아래와 같다.
다변량 경험직교함수 분석에서 각 예측 인자들의 표준화를 수행한 이유는 무엇인가? 다변량 경험직교함수 분석을 실행하기 앞서 모든 예측 인자에서 계절 변동성과 지구온난화에 따른 선형 경향성을 배제하기 위해 기후값과 선형 경향성을 제거하였다. 또한 예측 인자들 간 변동성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동등 하게 고려하기 위해 표준화하여 사용하였다. 다변량 경험직교함수 분석 후 얻어진 각 변수 별 주요 모드에 각각의 변수를 사영시켜 EC 시계열을 구하였고, 각 예측 인자의 10월 EC 시계열을 이용하여 다중선형회귀방법으로 12월, 1월, 2월 지표 기온에 대한 통계 예측 모형을 구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J.-B., J.-H. Ryu, E.-H. Cho, J.-Y. Park, and S.-B. Ryoo, 1997: A study of correlations between air-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Korea and SST over the Tropical Pacific. Asia-Pac. J. Atmos. Sci., 33, 487-4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avalieri, D. J., C. L. Parkinson, P. Gloersen, and H. Zwally, 1996: Sea ice concentrations from Nimbus-7 SMMR and DMSP SSM/I-SSMIS passive microwave data, version 1. NASA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Distributed Active Archive Center, doi:10.5067/8GQ8LZQVL0VL. 

  3. Cohen, J., and D. Entekhabi, 1999: Eurasian snow cover variability and Northern Hemisphere climate predictability. Geophys. Res. Lett., 26, 345-348. 

  4. Cohen, J., M. Barlow, P. J. Kushner, and K. Saito, 2007: Stratosphere-troposphere coupling and links with Eurasian land surface variability. J. Climate, 20, 5335-5343. 

  5. Cohen, J., J. C. Furtado, M. A. Barlow, V. A. Alexeev, and J. E. Cherry, 2012: Arctic warming, increasing snow cover and widespread boreal winter cooling. Environ. Res. Lett., 7, 014007, doi:10.1088/1748-9326/7/1/014007. 

  6. Cohen, J., and Coauthors, 2014: Recent Arctic amplification and extreme mid-latitude weather. Nat. Geosci., 7, 627-637, doi:10.1038/NGEO2234. 

  7. Dee, D. P., and Coauthors, 2011: The ERA-Interim reanalysis: Configu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data assimilation system. Quart. J. Roy. Meteor. Soc., 137, 553-597, doi:10.1002/qj.828. 

  8. Elsner, J. B., and C. P. Schmertmann, 1994: Assessing forecast skill through cross validation. Wea. Forecasting, 9, 619-624. 

  9. Furtado, J. C., J. L. Cohen, and E. Tziperman, 2016: The combined influences of autumnal snow and sea ice on Northern Hemisphere winters. Geophys. Res. Lett., 43, 3478-3485, doi:10.1002/2016GL068108. 

  10. Holton, J. R., and H.-C. Tan, 1980: The influence of the equatorial quasi-biennial oscillation on the global circulation at 50 mb. J. Atmos. Sci., 37, 2200-2208. 

  11. Honda, M., J. Inoue, and S. Yamane, 2009: Influence of low Arctic sea-ice minima on anomalously cold Eurasian winters. Geophys. Res. Lett., 36, L08707. 

  12. Jolliffe, I. T., and D. B. Stephenson, 2003: Forecast verification: a practitioner's guide in atmospheric science. John Wiley & Sons. 254 pp. 

  13. Karl, T. R., P. Y. Groisman, R. W. Knight, and R. R. Heim Jr., 1993: Recent variations of snow cover and snowfall in North America and their relation to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variations. J. Climate, 6, 1327-1344. 

  14. Kim, B. M., E. Jung, G. H. Lim, and H. K. Kim, 2014: Analysis on winter atmospheric variability related to Arctic warming. Atmosphere, 24, 131-140, doi:10.14191/Atmos.2014.24.2.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ug, J.-S., M.-S. Ahn, M.-K. Sung, S.-W. Yeh, H.-S. Min, and Y.-H. Kim, 2010: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two types of El Nino events and climate vari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Asia-Pac. J. Atmos. Sci., 46, 467-474, doi:10.1007/s13143-010-0027-y. 

  16. Kutner, M. H., C. J. Nachtsheim, and J. Neter, 2004: Applied linear regression models. 4th edition, McGraw Hill, New York. 

  17. Rayner, N. A., D. E. Parker, E. B. Horton, C. K. Folland, L. V. Alexander, D. P. Rowell, E. C. Kent, and A. Kaplan, 2003: Global analys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sea ice, and night marine air temperature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J. Geophys. Res., 108, 4407-4443. 

  18. Robinson, D. A., T. W. Estilow, and NOAA CDR Program, 2012: NOAA Climate Date Record (CDR) of Northern Hemisphere (NH) Snow Cover Extent (SCE), Version 1.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19. Sun, L., C. Deser, and R. A. Tomas, 2015: Mechanisms of stratospheric and tropospheric circulation response to projected Arctic sea ice loss. J. Climate, 28, 7824-7845, doi:10.1175/JCLI-D-15-0169.1. 

  20. Tivy, A., B. Alt, S. Howell, K. Wilson, and J. Yackel, 2007: Long-range prediction of the shipping season in Hudson Bay: A statistical approach. Wea. Forecasting, 22, 1063-1075. 

  21. Thompson, D. W., and J. M. Wallace, 1998: The Arctic Oscillation signature in the wintertime geopotential height and temperature fields. Geophys. Res. Lett., 25, 1297-1300. 

  22. Thompson, D. W., M. P. Baldwin, and J. M. Wallace, 2002: Stratospheric Connection to Northern Hemisphere Wintertime Weather: Implications for Prediction. J. Climate, 15, 1421-1428. 

  23. Wallace, J. M., and D. S. Gutzler, 1981: Teleconnections in the geopotential height field during the Northern Hemisphere winter. Mon. Wea. Rev., 109, 784-812. 

  24. Wang, D., C. Wang, X. Yang, and J. Lu, 2005: Winter northern hemisphere surface air temperature variability associated with the Arctic Oscillation and North Atlantic Oscillation. Geophys. Res. Lett., 32, L16706. 

  25. Zhang, P., Y. Wu, and K. L. Smith, 2018: Prolonged effect of the stratospheric pathway in linking Barents-Kara Sea sea ice variability to the midlatitude circulation in a simplified model. Clim. Dyn., 50, 527-539, doi:10.1007/s00382-017-3624-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