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OCI AOD를 이용한 서울 지역 지상 PM2.5 농도의 경험적 추정 및 일 변동성 분석
Empirical Estimation and Diurnal Patterns of Surface PM2.5 Concentration in Seoul Using GOCI AOD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4 no.3, 2018년, pp.451 - 463  

김상민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환경위성센터) ,  윤종민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환경위성센터) ,  문경정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환경위성센터) ,  김덕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 환경위성센터) ,  구자호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최명제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김광년 (충남대학교 대기과학과) ,  이윤곤 (충남대학교 대기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지역에서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 정지궤도 천리안 위성(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해양 탑재체(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의 에어로졸광학두께(Aerosol Optical Depth, AOD)로부터 지상 초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_{2.5}$) 농도를 추정하기 위한 계절별 경험/통계모델을 개발했다. 행성경계층고도(Planetary Boundary Layer Height, PBLH) 그리고 에어로졸 수직 비율(Vertical Ratio of Aerosol, VRA)을 사용한 두 가지 수직보정방법과 흡습성장계수(Hygroscopic growth factor, f(RH))로부터의 습도보정방법이 각각의 경험적 모델에 적용된 결과 AOD에 대한 수직 보정과 $PM_{2.5}$에 대한 지표 습도보정이 모델 성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AOD-$PM_{2.5}$ 사이에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기상인자들(온도, 풍속, 시정)을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다중 선형 회귀모델을 구성한 결과 경험모델에 비해 $R^2$값이 최대 0.25 증가했다. 본 연구에선 AOD-$PM_{2.5}$ 모델의 계절별, 월별, 시간별 특성을 분석하고 계절별로 구분하여 모델을 구성한 결과 고농도 사례에서 과소평가 되던 경향이 개선됨을 알 수 있고 관측된 $PM_{2.5}$와 추정된 $PM_{2.5}$의 월 및 시간변동성은 서로 경향성이 일치했다. 따라서 정지궤도 위성 AOD를 이용하여 지상 $PM_{2.5}$ 농도를 추정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발사 예정인 GK-2A와 GK-2B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mpirical/statistical models to estimate the ground Particulate Matter ($PM_{2.5}$) concentration from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 Aerosol Optical Depth (AOD) product were developed and analyzed for the period of 2015 in Seoul, South Korea. In the model construction of AOD...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정지궤도 복합위성인 천리안위성(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COMS) 해양탑재체(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GOCI)로부터 일 8회 산출되는 AOD를 이용하여 2015년 서울 지역의 PM2.5 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경험/통계 모델을 개발하고, AOD-PM2.5 모델의 계절별, 월별, 시간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계절별 특성이 반영된 경험/통계 모델 개발 과정에서 PBLH와 에어로졸 연직 소산 계수 관측 자료를 각각 활용한 수직보정방법과 에어로졸 흡습성장을 고려한 습도보정방법이 AOD-PM2.

가설 설정

  • , 2015). 또한,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가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6km를 대기상단으로 가정했다(Kim et al., 2015). 본 연구에선 에어로졸과 구름을 구별하기 위해 Kim et al.
  • , 2015). 즉, PBLH 이하에 분포하는 AOD(PAOD)에 PBLH를 곱한 값이 지표에서 대기상한까지 적산한 AOD와 같다라는 가정이 성립한다.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어로졸 중에서도 먼지의 크기에 따른 구분은 어떻게 되는가? 에어로졸은 태양광을 산란시키고 구름의 응결핵 역할을 함으로써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인체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HO, 2005; IPCC, 2013). 에어로졸 중에서도 먼지는 입자 크기에 따라서 직경이 50 μm 이하인 총먼지(Total Suspended Particles, TSP)와 입자크기가 작은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로 구분된다. 미세먼지 중에서도 입자의 직경에 따라서 PM10(10 μm이하)과 PM2.
전 세계의 지상 미세먼지농도 감시망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현재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지상 미세먼지농도 감시망은 국지적 대기오염 농도의 감시 목적에는 부합하나, 월경성으로 유입되는 미세먼지 이동 과정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넓은 지역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정량적인 지상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Wang and Christopher, 2003; Engel-Cox et al.
서울에 유입되는 월경성 대기오염 물질의 발생지는 어디로 추정되는가? 지리학적으로 서울의 풍상측에 위치한 중국 북부 및 몽고 지역은 북동아시아의 대표적인 황사 발원지역으로 자연적 에어로졸 발생이 빈번하며, 동시에 중국 북동부 지역은 급격한 산업화 및 경제발전으로 인해 인위적 오염물질 발생이 세계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Ohara et al., 2007; Yu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ook, R.D., S. Rajagopalan, C.A. Pope, J.R. Brook, A. Bhatnagar, A.V. Diez-Roux, F. Holguin, Y. Hong, R.V. Luepker, M.A. Mittleman, A. Peters, D. Siscovick, S.C. Smith, L. Whitsel, and J.D. Kaufman, 2010.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an update to the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21(21): 2331-2378. 

  2. Baars, H., A. Ansmann, R. Engelmann, and D. Althausen, 2008.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boundary-layer top with lidar,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8(23): 7281-7296. 

  3. Brooks, I.M., 2003. Finding boundary layer top: Application of a wavelet covariance transform to lidar backscatter profiles,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20(8): 1092-1105. 

  4. Chen, Z. Y., T. H. Zhang, R. Zhang, Z. M. Zhu, C. Q. Ou, and Y. Guo, 2018. Estimating $PM_{2.5}$ concentrations based on non-linear exposurelag- response associations with aerosol optical depth and meteorological measures, Atmospheric Environment, 173: 30-37. 

  5. Choi, M., J. Kim, J. Lee, M. Kim, Y.J. Park, U. Jeong, W. Kim, H. Hong, B. Holben, T.F. Eck, C.H. Song, J.H. Lim, and C.K. Song, 2016. GOCI Yonsei Aerosol Retrieval (YAER) algorithm and validation during the DRAGON-NE Asia 2012 campaign, Atmospheric Measurement Techniques, 9(3): 1377-1398. 

  6. Chu, D.A., T.C. Tsai, J.P. Chen, S.C. Chang, Y.J. Jeng, W.L. Chiang, and N.H. Lin, 2013. Interpreting aerosol lidar profiles to better estimate surface $PM_{2.5}$ for columnar AOD measurements, Atmospheric Environment, 79: 172-187. 

  7. Emili, E., C. Popp, M. Petitta, M. Riffler, S. Wunderle, and M. Zebisch, 2010. $PM_{10}$ remote sensing from geostationary SEVIRI and polar-orbiting MODIS sensors over the complex terrain of the European Alpine reg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11): 2485-2499. 

  8. Engel-Cox, J.A., C.H. Holloman, B.W. Coutant, and R.M. Hoff, 2004.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MODIS satellite sensor data for regional and urban scale air quality, Atmospheric Environment, 38(16): 2495-2509. 

  9. Guo, J.P., X.Y. Zhang, H.Z. Che, S.L. Gong, X. An, C.X. Cao, J. Guang, H. Zhang, Y.Q. Wang, X.C. Zhang, M. Xue, and X.W. Li, 2009. Correlation between PM concentrations and aerosol optical depth in eastern China, Atmospheric Environment, 43(37): 5876-5886. 

  10. Kim, K., K.H. Lee, J.I. Kim, Y. Noh, D.H. Shin, S.K. Shin, D. Lee, J. Kim, Y.J. Kim, and C.H. Song, 2016. Estimation of surface-level PM concentration from satellite observ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aerosol vertical profiles and hygroscopicity, Chemosphere, 143: 32-40. 

  11. Kim, M.H., S.W. Kim, S.C. Yoon, N. Sugimoto, and B.J. Sohn, 2011. Characteristics of the lidar ratio determined from lidar and sky radiometer measurements in Seoul, Atmosphere, 21(1): 57-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M.H., H. Yeo, N. Sugimoto, H.C. Lim, C.K. Lee, B.H. Heo, Y.S. Yu, B.J. Sohn, S.C. Yoon, and S.W. Kim, 2015. Estimation of Particle Mass Concentration from Lidar Measurement, Atmosphere, 25(1): 169-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J., J. Kim, C.H. Song, J.H. Ryu, Y.H. Ahn, and C.K. Song, 2010. Algorithm for retrieval of aerosol optical properties over the ocean from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5): 1077-1088. 

  14. Lee, J., J. Kim, P. Yang, and N.C. Hsu, 2012. Improvement of aerosol optical depth retrieval from MODIS spectral reflectance over the global ocean using new aerosol models archived from AERONET inversion data and tri-axial ellipsoidal dust database,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2(15): 7087-7102. 

  15. Levy, R.C., S. Mattoo, L.A. Munchak, L.A. Remer, A.M. Sayer, F. Patadia, and N.C. Hsu, 2013. The Collection 6 MODIS aerosol products over land and ocean, Atmospheric Measurement Techniques, 6(11): 2989. 

  16. Lin, C., Y. Li, Z. Yuan, A.K. Lau, C. Li, and J.C. Fung, 2015.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to estimate the high-resolution distribution of groundlevel $PM_{2.5}$ ,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56: 117-128. 

  17. Ohara, T.A.H.K., H. Akimoto, J.I. Kurokawa, N. Horii, K. Yamaji, X. Yan, and T. Hayasaka, 2007. An Asian emission inventory of anthropogenic emission sources for the period 1980-2020,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7(16):4419-4444. 

  18. Schaap, M., A. Apituley, R. M. A. Timmermans, R. B. A. Koelemeijer, and G. D. Leeuw, 2009.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aerosol optical depth and $PM_{2.5}$ at Cabauw, the Netherland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9(3): 909-925. 

  19. Seo, S., J. Kim, H. Lee, U. Jeong, W. Kim, B.N. Holben, S.W. Kim, C.H. Song, and J.H. Lim, 2015. Estimation of $PM_{10}$ concentrations over Seoul using multiple empirical models with AERONET and MODIS data collected during the DRAGON-Asia campaign,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5(1): 319-334. 

  20. Tsai, T.C., Y.J. Jeng, D.A. Chu, J.P. Chen, and S.C. Chang, 2011.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S aerosol optical depth and particulate matter from 2006 to 2008, Atmospheric Environment, 45(27): 4777-4788. 

  21. Wang, J. and S.A. Christopher, 2003. Intercomparison between satellite-derived aerosol optical thickness and $PM_{2.5}$ mass: implications for air quality studi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0(21). 

  22. Wang, Z., L. Chen, J. Tao, Y. Zhang, and L. Su, 2010. Satellite-based estimation of regional particulate matter (PM) in Beijing using vertical-and-RH correcting method,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1): 50-63. 

  23.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Outdoor air pollution a leading environmental cause of cancer deaths, WHO Press release, Geneva, Switzerland. 

  24. Yoon, S.C., S.W. Kim, M.H. Kim, A. Shimizu, and N. Sugimoto, 2008. Ground-based mie-scattering lidar measurements of aerosol extinction profiles during ABC-EAREX 2005: Comparisons of instruments and inversion algorithms, Journal of the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Ser. II, 86(2): 377-396. 

  25. Yuan, H., G. Zhuang, J. Li, Z. Wang, and J. Li, 2008. Mixing of mineral with pollution aerosols in dust season in Beijing: Revealed by source apportionment study, Atmospheric Environment, 42(9): 2141-21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