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주변 해양에서 위성 기반 열플럭스 산출 및 월별 특성 분석
Calculation and Monthly Characteristics of Satellite-based Heat Flux Over the Ocean Around the Korea Peninsul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4 no.3, 2018년, pp.519 - 533  

김재민 (충남대학교 대기과학과) ,  이윤곤 (충남대학교 대기과학과) ,  박준동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  손은하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  장재동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년의 기간 동안 COARE 3.5 벌크 알고리즘과 위성 기반의 대기-해양 변수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주변 해양의 현열 플럭스(Sensible Heat Flux; SHF)와 잠열 플럭스(Latent Heat Flux; LHF)를 $40W/m^2$ 산출하였다. 열 플럭스 산출에 필요한 변수 중 10-m 풍속(U)과 해수면온도($T_s$) 자료는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2(AMSR2)와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Microwave Imager(GMI) 위성 센서로부터 관측되는 값을 일 평균하여 생성하였으며, 위성으로부터 직접 관측이 되지 않는 대기 온도($T_a$)와 대기 비습($Q_a$)은 위성 기반의 W 및 $T_s$와 갖는 상관성을 이용하여 경험적 통계식을 통해 추정하였다. 추정된 $T_a$$Q_a$는 해양 부이에서 관측된 값과 각각 0.96 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위성 기반으로 관측 및 추정된 대기-해양 변수 자료들을 이용해 한반도 주변 해양(서해, 동해, 남해)의 SHF와 LHF를 산출하였고 월평균 시공간분포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SHF는 3월부터 8월까지 한반도 전 해역에 걸쳐 $20W/m^2$의 낮은 값을 보였으며, 특히 7월에는 일부 해양에서 $0W/m^2$ 이하의 낮은 값을 보였다. SHF는 9월부터 점차 증가하여 12월에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났다. LHF는 4월부터 7월까지 $40W/m^2$ 정도의 낮은 값을 보이다가 가을철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SHF과 마찬가지로 12월에 남해에서 최대 $380W/m^2$ 이상의 높은 값을 보였다. 두 열 플럭스는 모두 쿠로시오 난류가 지나가는 지역에서 연중 높은 값을 나타냈다. 해양 플럭스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해양 변수의 월평균 특성을 분석한 결과 SHF와 LHF는 각각 대기-해양 온도 차이(${\Delta}T$)와 비습 차이(${\Delta}Q$)의 변화에 밀접하게 연관되며, 겨울철에는 U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하여 현열 및 잠열 플럭스가 겨울철에 가장 큰 값을 보이는 것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nsible heat flux (SHF)and latent heat flux (LHF) over Korean Peninsula ocean during recent 4 years were calculated using Coupled Ocean-Atmosphere Response Experiment (COARE) 3.5 bulk algorithm and satellite-based atmospheric-ocean variables. Among the four input variables (10-m wind speed; U,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외의 경우에는 전 지구 해양에 대해서 현열과 잠열 플럭스를 산출한 연구가 다수 있으나, 이 연구들에서는 한반도와 멀리 떨어진 해양의 부이 또는 선박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위성 기반의 대기–해양 변수를 추정하였기 때문에 한반도 주변 대기–해양의 기상/기후학적 특징을 반영한 해양 플럭스 산출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성 기반 자료의 활용과 더불어 한반도 주변 해양에서의 부이 관측 자료를 이용한 경험 통계식적용 및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한반도 인근 해양의 특성을 반영한 방법론으로 해양 열플럭스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주변 해양에 대해서 위성 기반 열 플럭스 산출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현열과 잠열 플럭스 값과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대기 기상요소와의 월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4년 기간 동안의 다양한 위성 자료를 이용해서 관측 및 추정된 대기-해양 변수로 해양 플럭스를 산출하였다. 현재까지 국내 많은 연구들이 선박을 통한 관측이나 해상 부이 관측을 통한 시공간적으로 제한된 특징을 제시하였고 연구 결과가 과거 기간에 해당하기때문에 본 연구의 위성 기반 결과들과 정량적인 비교 분석은 어려움이 있다.
  • 또한, Kim and Hong(2002)에서는 일반적으로 해양과 대기 사이의 지속적인 열 교환으로 해수면 근처의 대기경계층은 균질한 상태임을 가정하여 해수면 온도와 비습은 각각 기온과 선형 및 비선형적으로 관계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Ta의 경우 위성 기반의 Ts 및Qa와의 관련성을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추정하고자 하였다. Ta가 Ts및 Qa와 갖는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Ts와는 선형적인 양의 상관관계, Qa와는 로그함수적 관계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럭스는 어떻게 구해질 수 있는가? 해양에서의 현열과 잠열에 의한 플럭스는 대기와 해수면의 에너지 및 물질이 교환되는 난류를 직접 관측해서 측정하는 에디 공분산 방법을 통해 구해질 수 있다(Businger, 1986; Kaimal and Finnigan, 1994). 그러나, 해상에서의 열 플럭스 직접 관측은 선박이나 해양 관측 기지와 같은 특정 지점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간적 한계가 있으며, 선박 관측의 경우 선체의 흔들림으로 인한 관측 오차가 포함될 수 있다(Gleckler and Weare,1997).
상호작용/에너지 교환 과정은 무엇에 중요한 요소인가? 해양과 대기 사이의 상호작용/에너지 교환 과정은 해양과 대기의 순환을 유지하고, 기상/기후 시스템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이다(Kwon et al., 1992).
에디 공분산 방법으로 플럭스를 측정할 시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03)을 이용해서 해양 열 플럭스를 산출하고 월별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벌크식을 이용한 열 플럭스산출에서도 해상 지역에 대한 기상 입력 변수 관측 값이 필요하기 때문에, 에디 공분산을 이용한 직접 관측과 마찬가지로 시공간적 제약이 따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J.B., J.H. Ryu, and Y.H. Yoon, 1997. Comparative analysis and estimates of heat fluxes over the ocean around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ocal Society, 33: 725-7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entamy, A., K.B. Katsaros, A.M. Mestas-Nunez, W.M. Drennan, E.B. Forde, and H. Roquet, 2003. Satellite estimates of wind speed and latent heat flux over the global oceans, Journal of Climate, 16(4): 637-656. 

  3. Bentamy, A., S.A. Grodsky, K. Katsaros, A.M. Mestas-Nunez, B. Blanke, and F. Desbiolles, 2013. Improvement in air-sea flux estimates derived from satellite observ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4(14): 5243-5261. 

  4. Blanc, T.V., 1985. Variation of bulk-derived surface flux, stability, and roughness results due to the use of different transfer coefficient schemes,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15(6): 650-669. 

  5. Bourras, D., 2006. Comparison of five satellite-derived latent heat flux products to moored buoy data, Journal of Climate, 19(24): 6291-6313. 

  6. Brunke, M.A., C.W. Fairall, X. Zeng, L. Eymard, and J.A. Curry, 2003. Which bulk aerodynamic algorithms are least problematic in computing ocean surface turbulent fluxes?, Journal of Climate, 16(4): 619-635. 

  7. Businger, J., 1986. Evaluation of the accuracy with which dry deposition can be measured with current micrometeorological techniques,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25(8): 1100-1124. 

  8. Chou, S.H., E. Nelkin, J. Ardizzone, R.M. Atlas, and C.L Shie, 2003. Surface turbulent heat and momentum fluxes over global oceans based on the Goddard satellite retrievals, version 2 (GSSTF2), Journal of Climate, 16(20): 3256-3273. 

  9. Edson, J.B., V. Jampana, R.A. Weller, S.P. Bigorre, A.J. Plueddemann, C.W. Fairall, S.D. Miller, D. Vickers, and H. Hersbach, 2013. On the exchange of momentum over the open ocean,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43(8): 1589-1610. 

  10. Fairall, C.W., E.F. Bradley, J.E. Hare, A.A. Grachev, and J.B. Edson, 2003. Bulk parameterization of air-sea fluxes: Updates and verification for the COARE algorithm, Journal of Climate, 16(4): 571-591. 

  11. Feng, L. and J. Li, 2006. A comparison of latent heat fluxes over global oceans for ERA and NCEP with GSSTF2,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3). 

  12. Fennig, K., C. Klepp, S. Bakan, H. Grassl, and J. Schulz, 2010. The Hamburg ocean atmosphere parameters and fluxes from satellite data-HOAPS-3, Earth System Science Data, 2(2): 215. 

  13. Gleckler, P.J. and B.C. Weare, 1997. Uncertainties in global ocean surface heat flux climatologies derived from ship observations, Journal of Climate, 10(11): 2764-2781. 

  14. Hirose, N., H.C. Lee, and J.H. Yoon, 1999. Surface heat flux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29(3): 401-417. 

  15. Hong, G.M., B.H. Kwon, and Y.S. Kim, 2005. Heat fluxes in the marine atmospheric surface layer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satellite data,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Hsu, S.A. and B.W. Blanchard,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precipitable water and surfacelevel humidity over the sea surface: A further evalua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94(C10): 14539-14545. 

  17. Kaimal, J.C. and J.I. Finnigan, 1994. Atmospheric boundary layer flows: their structure and measur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England. 

  18. Kang, I.S., M.K. Kim, and T. Shim, 1994.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heat budget and wind stress over the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9: 325-3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ang, Y.J., S.O. Hwang, T.H. Kim, and J.C. Nam, 2001. Estimation of air-sea heat exchange using buoy data at the Yellow Se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1): 40-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im, J.E., T.Y. Kwon, and B.Y. Lee, 2005. Characteristics of sensible heat and latent heat fluxes over the East Sea related with Yeongdong heavy snowfall events, Ocean and Polar Research, 27(3): 237-2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Kim, S.B. and K.I. Chang, 2014. Calculation of Surface Heat Flux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Using Ocean Buoy Data, The Sea, 19(3): 169-1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Kim, Y.S. and G.M. Hong, 2002. Estimation of marine meteorological elements using the satellite and buoy dat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38(3): 253-259. 

  23. Ko, D.H., S.T. Jeong, H.Y. Cho, and K.S. Seo, 2017. Distribution and Trend Analysis of the Significant Wave Heights Using KMA and ECMWF Data Sets in the Coastal Seas,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9(3): 129-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Kondo, J., 1975. Air-sea bulk transfer coefficients in diabatic conditions, Boundary-Layer Meteorology, 9(1): 91-112. 

  25. Kubota, M., N. Iwasaka, S. Kizu, M. Konda, and K. Kutsuwada, 2002. Japanese ocean flux data sets with use of remote sensing observations (J-OFURO), Journal of oceanography, 58(1): 213-225. 

  26. Kwon, W.T., C.B. Choi, and I.S. Kang, 1992. Studies on the Korean-Pacific climate system,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Gwacheon, Korea. 

  27. Liu, W.T., 1986. Statistical relation between monthly mean precipitable water and surface-level humidity over global oceans, Monthly Weather Review, 114(8): 1591-1602. 

  28. Na, J., J. Seo, and H.J. Lie, 1999. Annu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the sea surface heat fluxes in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Journal of Oceanography, 55(2): 257-270. 

  29. Oh, H.M., K.J. Ha, J.S. Shim, Y.K. Hyun, and K.S. Yun, 2007.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urbulent Fluxes Observed at leodo Ocean Research Station, Atmosphere, 17(4): 421-4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Peixoto, J.P. and A.H. Oort, 1992. Physics of climate, Agricultural Systems, 51(2): 248-250. 

  31. Pond, S., D.B. Fissel, and C.A. Paulson, 1974. A note on bulk aerodynamic coefficients for sensible heat and moisture fluxes, Boundary-Layer Meteorology, 6(1-2): 333-339. 

  32. Schulz, J., P. Schluessel, and H. Grassl, 1993. Water vapour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over oceans from SSM/I measur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4(15): 2773-2789. 

  33. Schulz, J., J. Meywerk, S. Ewald, and P. Schlussel, 1997. Evaluation of satellite-derived latent heat fluxes, Journal of Climate, 10(11): 2782-2795. 

  34. Shie, C.L., L.S. Chiu, R. Adler, E. Nelkin, I.I. Lin, P. Xie, F.C. Wang, R. Chokngamwong, W. Olson, and D.A. Chu, 2009. A note on reviving the Goddard Satellite-based Surface Turbulent Fluxes (GSSTF) dataset,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26(6): 1071-1080. 

  35. Wentz, F., T. Meissner, C. Gentemann, K. Hilburn, and J. Scott, 2014. Remote Sensing Systems GCOM-W1 AMSR2 Daily Environmental Suite on 0.25 deg Grid, Version 7.2, Remote Sensing Systems, Santa Rosa, CA, USA. 

  36. Wentz, F., T. Meissner, J. Scott, and K. Hilburn, 2015. Remote sensing systems GPM GMI daily environmental suite on 0.25 deg grid, Version 8.1, Remote Sensing Systems, Santa Rosa, CA,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