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과 신입생의 의사소통능력,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freshme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3, 2018년, pp.25 - 32  

조혜경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정인숙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의사소통능력,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및 협동동료교수 학과목에서의 학업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9.0으로 분석한 결과, 외향적인 대상자와 토론선호도가 높은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았고(p=.01), 여학생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p=.03), 내향적이거나 중간 성격 대상자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외향적인 대상자보다 높았다(p=.01). 자가평가 학교성적별 '중상, 중, 중하집단'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상' 집단보다 높았으나 학업성취도는 '상' 집단이 높았다(p=.01).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 간,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 간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협동동료교수 적용 학과목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2=0.058$, p<.05). 본 연구결과는 반복연구 후 대학 입학과 동시에 과중한 이론과 실습과목을 이수하며 전문직업인으로 성장해야 할 간호학과 신입생의 효과적인 학업적응지도지침 개발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descriptive research is to find communication ability, general and social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peer collaboration subject of nursing freshmen.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19.0. The communication ability was higher in the extroverts and high discussion preference 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에게 협동동료교수 학습법 적용 학과목을 선정하여 그 학과목의 학업성취도와 의사소통,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들의 의사소통능력,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및 협동동료교수법 적용 학과목의 학업성취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의사소통능력,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및 협동동료교수법 적용 학과목에서의 학업성취도를 파악보기 위한 서술적조사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최근, 간호대학생들의 경우 자신의 문제해결면에서 의존적이고, 어떤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믿음인 자기효능감의 저하로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경험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 간호학과 신입생 전형에서 고등학교 계열에 관계없이 간호학과에 입학하게 되므로 입학직후부터 이수해야 하는 기초간호과학과목으로 당황하게 되어 중도 포기하거나 타과로 전과하는 사례들이 있어 간호학교육과정에서 간호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마련이 시급하다[5-7].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의 특징은? 더욱이 최근 간호학과 신입생 전형에서 고등학교 계열에 관계없이 간호학과에 입학하게 되므로 입학직후부터 이수해야 하는 기초간호과학과목으로 당황하게 되어 중도 포기하거나 타과로 전과하는 사례들이 있어 간호학교육과정에서 간호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마련이 시급하다[5-7].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이 높으며,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 및 대학생활만족도 간 유의한 상관관계 있어 자기효능감이 높은 대학생의 경우 자신의 발전과 지식증가 등의 내적 동기를 가지고 학습과 임상실습에 임할 수 있다[7].
의사소통능력향상의 중요성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 의사소통의 유형과 범위는 다양해졌으나, 간호대학생들은 실제 임상실습 현장에서 보건의료전문직 및 다양한 연령과 계층의 대상자들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전문직업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군의 문제해결능력이 높았으며, 심리적 안녕감을 경험하게 되었다[2,3]. 이에 따라, 간호학 교육과정에서 급증하고 있는 과학내용을 단기간에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 단순히 강의법이 아닌 다양한 학습법을 적용하여 지식의 전달 뿐 아니라 의사소통능력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Y. B. Lee & M. S. Ko. (2015). The Effect of Clinical Nurses'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3), 347-354. http://www.riss.kr/link?idS11655565 

  2. J. K. Lee. (2015). The Relationships among Clinical Competence, Clinical Practice Stress, Communication Skill &Nunchi in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3. M. J. Lee. (2016). Occupational stress,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4. Y. H. Kim, I. S. Kweon, K. D. Kim, K. M. Park, H. S. Park, H. S. So, W. S. Lee, K. s. Chang, B. R. Jeong & E. H. Choi. (2016).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 Cases in nursing education. Seoul : Fornurse. 

  5. D. J. Kim & J. S. Lee. (2014).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 244-254. DOI : 10.5977/jkasne.2014.20.2.244 

  6. M. A. Kim, K. H. Lee, H. J. Park, E. J. Kim, & I. H. Lee. (2016). Relationships among Irrational Beliefs,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with Four-Year-Course Nursing Freshme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2), 1163-1178. UCI : G704-000930.2016.18.2.017 

  7. K. H. Lee. (2014). Effect of REBT counsel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CHA University, Pocheon. 

  8. M. C. Carey, B. Kent & J. M. Latour. (2018).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peer assisted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The JBI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and Implementation Reports Journal. 16(5), 1190-1219. DOI : 10.11124/JBISRIR-2016-003295. 

  9. H. Y. Hong. (1995).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0. H. S. Lee & J. K. Kim. (2010).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Typ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488-496. DOI : 10.11111/jkana.2010.16.4.488 

  11. E. J. Lim & Y. J. Yi. (2014). Comparison of Operating Room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ithin the Medical Te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 313-32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313 

  12. J. Y. Choi. (2016).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Eulji University, Daejeon. 

  13. D. J. Myung. (2013). Effects of counselor activity efficacy and general self-efficacy on counselor's satisfactoriness : moderating effect of counseling agency's type.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H. A. Kang & A. Y. Kim.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ocial Self-efficacy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7(2), 263-283. http://www.kepa.re.kr/ 

  15. I. S. Jung. (2016). The Converging Effects of Complete Science Subjects in High School on the Grades of Basic Nursing Sciences and Major Nursing Subjects of Nursing Students of one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5), 97-106. DOI : 10.15207/JKCS.2016.7.5.097 

  16. I. S. Jung. (2017). Convergence Research on the Studying Science Subjects before Entrance to Nursing department, the Scores of Basic Nursing Sciences and Academic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9), 117-125.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309108 

  17. J. Y. Ko. (2015). The Effects of Career Programs Using the Debate Club on Career Maturity for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Incheon University, Incheon. 

  18. H. I. Park, S. M. Moon & E. M. Cho. (2017).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insic and Ex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of College Freshme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24), 1-21. DOI : 10.22251/jlcci.2017.17.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