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주질환자의 치주질환 인식도 및 생활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cognition of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al patients', life-stre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3, 2018년, pp.53 - 62  

도유정 (대전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지민경 (호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윤미혜 (대전보건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치주질환자의 치주질환에 대한 인식도 및 생활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치주건강의 증진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치과 병 의원에 내원한 치주질환 환자 201명으로 하였고,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생활 스트레스, 치주질환 인식도, 구강위생용품, 수면량, 연령으로 나타났다. 이에 치주질환자들의 스트레스 관리능력 및 대처법의 중요함과 올바른 치주질환 인식도를 정립하기 위해 환자 상태별 적합한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a program that may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periodontal health. The investigation is performed with 201 periodontal disease patients visited to denial hospitals and the anonymous self-filling survey. The result shows that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tial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전, 충남, 충북 지역의 치과 병·의원에 내원한 치주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주질환 인식도 및 생활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40세 미만인 군에서 치주질환 인식도가 높게 나타나 이는 다양한 교육매체를 통한 구강위생관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정기적인 구강검사와 치과 방문의 결과로 보여진다. 또한 전문대졸이상인 군에서 높게 나타나 교육이 건강행태를 선택,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에 영향을 주어 질병 대처 및 심리적·경제적·사회적인자원과 자긍심을 얻도록 하는데도 유리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19].
  • 이에 본 연구는 치주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주질환 인식도 및 생활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치주질환자에게 적합한 치주건강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치주질환자의 치주질환 인식도 및 생활 스트레스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예방교육을 통한 올바른 인식 및 행위 정립과 치주건강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구대상은 치과 병 의원에 내원한 치주질환 환자 201명으로 하였고,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생활 스트레스, 치주질환 인식도, 구강위생용품, 수면량, 연령으로 나타났다. 이에 치주질환자들의 스트레스 관리능력 및 대처법의 중요함과 올바른 치주질환 인식도를 정립하기 위해 환자 상태별 적합한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주질환을야기하는 위험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아 손실은 저작, 발음기능 및 심미기능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어 궁극적으로 인간의 삶의 질적인 측면과 연관된다[1]. 최근의 연구에서 치주질환을야기하는 위험요인에는 세균뿐만 아니라 심리적 요인, 흡연, 구강관리습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관련이 있다고 밝혀진바 있다[4]. 이러한 위험요인들은 신체의 면역학적 반응에 영향을 끼쳐 치주질환을 야기하므로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다양한 위험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5].
치주질환자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은 생활스트레스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4%로 나타났다. 치주질환자들의 생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았다. 이에 치주질환자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환자들에게 스트레스 관리능력 및 대처법이 중요함을 인식시키며, 치과 의료기관에서 치주건강의 증진에 긍정적 기여를 할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S. Y. Seo. (2009). The Effects of Periodontal Patients' Oral Health Perception and Degree of Practice of Oral Health on Quality of life. University of Dankook, Gyeonggi-do. 

  2. S. K. Hee. (2008).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ealth-and oral health-rea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The Korean Academy of Dental Hygiene, 10(1), 39-57. 

  3. Oral Health Policy Research Society. (2001). .2001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Standard Model for Dental Health Project in Public Health Center. 

  4. B. A. Burt & S. A. Eklund. (2005). Dentistry, dental practice, and the community. Elsevier Health Sciences. 

  5. P. E. Petersen & H. Ogawa. (2005). Strengthening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the WHO aproach. Journal of periodontology, 76(12), 2187-2193. 

  6. Y. H. CHUN & J. P. Hong. (2007). Stress and oral disease.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3(1), 57-72. 

  7. R. J. Genco, A. W. Ho, S. G. Grossi, R, Dunford & L. Tedesco. (1999). Relationship of stress, distress, and inadequate coping behaviors to periodontal disease. Journal of Periodontology, 70(7), 711-723. 

  8. P. B. Tayler, J. R. Ureda, & J. W. Denham. (1928). Health Promotion: Principles and clinical Aplications. Norwalk: Appletion-Century-Croft, 339-371. 

  9. H. G. Ryu.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on the Periodontal Disease. University of Yeungnam, Gyeongsangbuk-do. 

  10. Akhter & Rahena. (2005).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actor and periodontal disease in a rural area population in Japan. European journal of medical research, 10(8), 352-357. 

  11. B. H. Choi. (2004). A Survey on the Awareness of Periodontal disease of some Workers in Korea. University of Dankook, Gyeonggi-do. 

  12. I. S. Park. (2001). A study on korean adult's cognition of periodontal disease. University of Chosun, Gwangju. 

  13. G. D. Slade. (1997).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as short-form oral health impact profile. Journal of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25(4), 284-290. 

  14. G. U. Kim & K. J. Min. (2013). Effect of Adult's Taste Recognition Threshold and Salivary Flow Amount on DMFT and OHIP-14 depending on Oral Health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5), 2234-2243. DOI : 10.5762/KAIS.2013.14.5.2234 

  15. M. R. Lee & J. S. Choi. (2012). Relationship of Self-Perceived Symptoms of Periodontal Disease to Quality of Life in Adul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2(2), 115-121. 

  16. J. M. Albandar, J. A. Brunelle & A. Kingman. (1999).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 in adults 30 years of age and older in the United States, 1988-1994. Journal of Periodontology, 70(1), 13-29, 

  17. S. K. Ng & W. K. Leung. (2006).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eriodontal status.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34(2), 114-122. 

  18. H. J. Cha. (2010).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daily hassles of office workers on internet addiction. University of Sookmyung Women, Seoul. 

  19. C. H. Jung, J. S. Park, W. Y. Lee & S. W. Kim. (2002). Effect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n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63(6), 649-659. 

  20. J. H. Jun, T. Y. Lee & H. H. Min. (2011). A Survey on dental patients'awareness and peri?odontal care behavior in periodontal disea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1(6), 1017-1025. 

  21. G. U. Kim & K. J. Min. (2009). The Impact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Level on Degree of Patients' Knowledge about Dental Hygien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4), 717-721. 

  22. H. S. Lee & K. H. Lee. (2014). The effect of subjective perception and attitude of oral health on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industrial accident injury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4(5), 757-764. DOI : 10.13065/jksdh.2014.14.05.757 

  23. A. J. Kim & E. J. Kang. (2014). A Study on the Oral Symptom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of Industrial Worker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4(1), 51-58. 

  24. J. P. Hong. (1998). Halitosis and oral disease. Journal of Korean Dental Association, 36, 29-31. 

  25. D. H. Lee & Y. H. Lee. (2017).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7(1), 38-45. DOI : 10.17135/jdhs.2017.17.1.38 

  26. M. S. Kim, K. Y. Kim & B. A. Moon. (2016). Oral care status and periodontal disease of middle aged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6(1), 1-9. DOI : 10.13065/jksdh.2016.16.01.1 

  27. Y. J. Han, H. S. Kim & S. Y. Ryu. (2017). Association with oral symptom experiences by level of subjective stress recognition in the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7(3), 465-478. DOI : 10.13065/jksdh.2017.17.03.465 

  28. D. P. Cappelli & C. C. Mobley(2008). Prevention in clinical oral health care. 1th ed. Mosby, St. Louis, 56-57. 

  29. K. S. Choi, S. E. Moon, Y. J. Kim, S. Y. Kim, H. E. Cho & H. J. Kang. (2017). Periodontal disease-related recognition and oral health-related behavior in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7(5), 747-755. DOI : 10.13065/jksdh.2017.17.05.747 

  30. E. S. Choi & H. A. Cho. (2017).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in elderly: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7(5), 899-910. DOI : 10.13065/jksdh.2017.17.05.899 

  31. E. S, Park & J. S. Choi. (2012). The effect of health status on general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2(6), 624-633. 

  32. S. L. Lee, J. S. Kwag & J. H. Choi. (2015). Correl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n oral health awareness, oral health behavior, self-esteem and OHIP-14 in childcare teach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2), 261-269. DOI : 10.13065/jksdh.2015.15.02.261 

  33. K. H. Paek & J. H. Jang. (2010). Association of health risk behavior, exercise stress, OHIP-14 and quality of life in university athle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0(6), 1015-1024. 

  34. J. Y. Jo et al. (2016). Influences of stress and fatigue on periodontal health indicators in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6(2), 225-231. DOI : 10.13065/jksdh.2016.16.02.225 

  35. H. G. Ryu.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conomic stress and state-trait anxiety on the periodontal disease.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2, 583-590. 

  36. E. Y. Park. (2000).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ealth behaviors practic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235, 1436-1450. 

  37. E. S. Lee, K. Y. Do & K. S. Lee. (2017). Association of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with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Women.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7(1), 73-80. DOI : 10.17135/jdhs.2017.17.1.73 

  38. H. Loe. (2000). Oral hygiene in the prevention of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50, 129-139. 

  39. E. H. Kim, M. K. Park, I. Y. Ku, S. J. Moon & S. H. Kim. (2013). The Impact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of Subjectively Reported Oral Status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9), 4349-4358. DOI : 10.5762/KAIS.2013.14.9.4349 

  40. J. O. Jung. (2012). Effects of Metabolic Syndrome on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2(3), 245-252. 

  41. M. H. Hong. (2014). Risk Factors for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s among Adult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6), 3706-3713. DOI : 10.5762/KAIS.2014.15.6.3706 

  42. J. Kim & E. Ahn (2015). Association of periodontal status with health lifestyle in adul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5, 83-89. 

  43. N. H. Jo & E. Y. Na. (2017).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on Depression and Stress : Focused on the Treatment and Subjec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53-59. DOI : 10.22156/CS4SMB.2017.7.6.053 

  44. S. Y. Kim & I. S. Kim. (2017). A Fusion Survey on the Investigation of Correlation between Systemic Diseases and Oral Health.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5), 67-73. DOI : 10.22156/CS4SMB.2017.7.5.0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