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지역 종합병원 중환자실 환경과 환자로부터 분리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의 분자유전학적 특성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atients and Environment of General Hospital Intensive Care Unit in a Chungnam Province,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0 no.2, 2018년, pp.110 - 117  

김혜숙 (홍성의료원 진단검사의학과) ,  박성배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김상하 (건양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김성현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현성희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과) ,  김영권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7년 6월부터 7월까지 국내 충남 소재 2차 의료기관의 임상검체에서 분리 된 20개 균주와 ICU환경으로부터 분리 한 4개를 포함해 총 24개의 MRSA 균주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SCCmec typing과 mec complex typing을 수행하였다.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MRSA 20균주의 SCCmec typing 분석 결과 SCCmec type II가 8건, type IVa가 1건, Not-typeable이 11건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중환자실 환경에서 분리 된 MRSA 중 한 균주는 mecA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세 균주는 SCCmec type II, III, IVa가 각각 한 건으로 나타났다. 임상검체와 중환자실 환경검체에서 분리된 MRSA는 SCCmec typing 결과 그 기원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료기관 환경에서 분리된 1건의 경우 그 기원이 서로 일치하여 의료종사자의 손, 가운 등을 매개체로 하여 환경내의 MRSA가 환자에게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좀 더 많은 수의 병원감염 관련 균주를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실시 한다면 임상 현장에 감염관리와 관련한 더욱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mec complex typing and SCCmec typing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of 20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train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and 4 strains isolated from the ICU environments of secondary medical institu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환경 중 노출이 빈번한 출입문 번호 키, 세면대, 수액 조절 펌프, 업무용 컴퓨터 키보드, 유선 전화기 버튼을 대상으로 세균 배양을 실시하여 분리된 세균의 분리 빈도 및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를 분석하고, 중환자실 환경과 환자의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MRSA 균주 간의 분자유전 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SCC) mec typing과 mec complex typing을 시행하였고, 본 연구 결과를 MRSA에 의한 의료기관 내 HAI에 관한 감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6월부터 7월까지 국내 충남 소재 2차 의료기관의 임상검체에서 분리 된 20개 균주와 ICU환경으로부터 분리 한 4개를 포함해 총 24개의 MRSA 균주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SCCmec typing과 mec complex typing을 수행하였다.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MRSA 20균주의 SCCmec typing 분석 결과 SCCmec type II가 8건, type IVa 가 1건, Not-typeable이 11건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관련감염이란?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은 입원 당시 감염이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잠복감염 또한 없는 상태에서 입원 3일 후에 발생한 감염으로 입원, 외래 진료 및의료와 관련된 모든 감염을 의미한다[1, 2]. 2011년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입원 환자의 HAI 발생률이 약 5∼10% 정도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에 질병관리본부에서는 2011년부터 HAI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VRE),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다제 내성 녹농균(Multidrugresistant Psedomonas aerusinosa, MRPA), 다제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RAB),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속(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등 6종의 의료관련 감염체를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2017년에 의료관련감염병 관리지침에는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감염증과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이 감염병의 예방 및관리에 관한 법률 제 2조 1항 및 2항에 제2급 감염병에 삽입되어 전파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 하여야 하고,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으로 개정되어 있는 상황이다[1, 3].
2011년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입원 환자의 의료관련감염 발생률은 어느정도인가?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은 입원 당시 감염이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잠복감염 또한 없는 상태에서 입원 3일 후에 발생한 감염으로 입원, 외래 진료 및의료와 관련된 모든 감염을 의미한다[1, 2]. 2011년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입원 환자의 HAI 발생률이 약 5∼10% 정도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에 질병관리본부에서는 2011년부터 HAI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VRE),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다제 내성 녹농균(Multidrugresistant Psedomonas aerusinosa, MRPA), 다제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RAB),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속(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등 6종의 의료관련 감염체를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2017년에 의료관련감염병 관리지침에는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감염증과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이 감염병의 예방 및관리에 관한 법률 제 2조 1항 및 2항에 제2급 감염병에 삽입되어 전파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 하여야 하고,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으로 개정되어 있는 상황이다[1, 3].
HAI에서 문제가 되는 균들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은 입원 당시 감염이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잠복감염 또한 없는 상태에서 입원 3일 후에 발생한 감염으로 입원, 외래 진료 및의료와 관련된 모든 감염을 의미한다[1, 2]. 2011년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입원 환자의 HAI 발생률이 약 5∼10% 정도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에 질병관리본부에서는 2011년부터 HAI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VRE),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다제 내성 녹농균(Multidrugresistant Psedomonas aerusinosa, MRPA), 다제 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균(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MRAB),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속(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등 6종의 의료관련 감염체를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2017년에 의료관련감염병 관리지침에는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감염증과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RE) 감염증이 감염병의 예방 및관리에 관한 법률 제 2조 1항 및 2항에 제2급 감염병에 삽입되어 전파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에 신고 하여야 하고,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으로 개정되어 있는 상황이다[1,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wak YG, Cho YK, Kim JY, Lee MS, Kim HY, Kim YK, et al.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intensive care unit module report: data summary from July 2009 through June 2010.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11;16:1-12. 

  2. CDC. CDC web sites on CDC/NHSN surveillance definitions for specific types of infections. [Internet]. Atlanta; CDC; 2014 [cited 2018 May 19]. Available from: http://www.cdc.gov/nhsn/pdfs/pscmanual/17pscnosinfdef_current.pdf. 

  3. Diaz Granados CA, Zimmer SM, Mitchel K, Jernigan JA. Comparison of mortality associated with vancomycin-resistant and vancomycin-susceptible enterococcal bloodstream Infections: a Meta-analysis. Clinical Infect Dis. 2005;41:327-333. 

  4. Kim YA, Lee HM, Lee KW. Contamination of the hospital environmental by pathogenic bacteria and infection control.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15;20:1-6. 

  5. CDC. CDC web sites on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infection control in health-care facilities [Internet]. Atlanta; CDC; 2003 [cited 2018 May 19]. Available from: http://www.cdc.gov/hicpac/pdf/guidelines/eic_in_hcf_03.pdf. 

  6. Kim HJ, Lee JC, et al.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 textbook of medical microbiology. 4th ed. Killiney: Elsevier; 2005. p343-347. 

  7. Muscarella LF. Contribution of tap water and environmental surfaces to nosocomial transmission of antibiotic-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4;25:342-345. 

  8. Rampling A, Wiseman S, Davis L, Hyett AP, Walbridge AN, Payne GC, et al. Evidence that hospital hygiene is important in the control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Hosp Infect. 2001;49:109-116. 

  9. van Duijn PJ, Dautzenberg MJ, Oostdijk EA. Recent trends in antibiotic resistance in European ICUs. Curr Opin Crit Care. 2011;17:658-665. 

  10. Kim US, Bang JH, Kim HB, Park SW, Oh MD, Song YW, et al. Epidemiology of and risk factors for methicillin resistance in community-acquired and nosocomial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Korean J Infect Dis. 1999;31:325-331. 

  11. Jung HJ, Jung MG, Kim WJ, Park SC. Clinical signific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Korean J Inf. 1994;26:255-62. 

  12. Berglund C, Molling P, Sjoberg L, Soderquist B. Predominance of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SCCmec) type IV among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 a Swedish county and presence of unknown SCCmec types with Panton-Valentine leukocidin genes. Clin Microbiol Infect. 2005;11:447-456. 

  13. Fey PD, Said-Salim B, Rupp ME, Hinrichs SH, Boxrud DJ, Davis CC, et al. Comparative molecular analysis of community- or hospital-acquire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timicrob Agents Chemohter. 2003;47:196-203. 

  14. Patrozou E, Reid K, Jefferson J, Mermel LA. A cluster of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hospital security guard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9;30:386-388. 

  15. Lowy FD.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N Engl J Med. 1998;339:520-532. 

  16. Chong Y, Lee K. Present situ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Korea. J Infect Chemother. 2000;6:189-195. 

  17. Zhang K, McClure JA, Elsayed S, Louie T, Conly JM. Novel multiplex PCR assay for characterization and concomitant subtyping of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types I to V i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Clin Microbiol. 2005;43:5026-5033. 

  18. Lee SO, Kim S, Lee J, Kim KM, Kim BH, Kim ES, et al.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report: data summary from July 2015 through June 2016.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6;11:113-128. 

  19. Ko KS, Lee JY, Suh JY, Oh WS, Peck KR, Lee NY, et al. Distribution of major genotypes among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lones in Asian countries. J Clin Microbiol. 2005;43:421-426. 

  20. Okuma KK, Iwakawa JD, Turnidge WB, Grubb JM, Bell FG, O'Brien FG, et al. Dissemination of new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lones in the community. J Clin Microbiol. 2002;40:4289-4294. 

  21. Ameer Abbas, Nirwan PS, Srivastava P. Prevalence and antibiogram of HA-MRSA and CA-MRSA at a tertiary care hospital NIMS. Community Acquired Infection. 2015;2:13-15. 

  22. Song JS, Choe PG, Song KH, Cho JH, Kim SH, Bang JH, et al. Multicenter study for frequency and clinical features of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Korea. Infect Chemother. 2006;38:325-333. 

  23. Du XF, Xiao M, Liang HY, Sun Z, Jiang YH, Chen GY, et al. An improved MLVF method and its comparison with traditional MLVF, spa typing, MLST/SCCmec and PFGE for the typ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t J Mol Sci. 2014;15:725-742. 

  24. Lin J, Lin D, Xu P, Zhang T, Ou Q, Bai C, et al. Non-hospital environment contamination with Staphylococcus aureus an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proportion meta-analysis and features of antibiotic resistance and molecular genetics. Environ Res. 2016;150:528-5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