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작관찰 과제지향훈련이 만성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ction-Observational Task Oriented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6 no.2, 2018년, pp.45 - 57  

김해리 (청주성모병원) ,  이효정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task oriented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action-observation on balance and gait ability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patients with hemiplegia who agreed to participate and were pick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환자에게 동작관찰훈련이 균형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동작관찰훈련의 적용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연구 목적에 따라 균형 및 보행능력에 대한 변화를 분석 및 기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동작관찰을 통해 만성 뇌졸중환자에게 적용된 연구에서 기능 향상(Ewan 등, 2010), 균형과 보행(이현민과 이정아, 2016; 최효승과 남기원, 2014)의 효과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은 움직임을 관찰하고 영상의 움직임들에 대한 신체훈련의 적용여부에 따른 변화들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들이 대부분(김진영 등, 2012; 송수영, 2016)이었고, 관찰하는 영상의 형태를 조정하여 운동기억 형성에 따른 신체훈련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자가 고안한 동작관찰훈련을 만성 뇌졸중환자에게 적용하여 형성된 운동기억에 의한 균형 및 보행능력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동작관찰 과제지향훈련을 실시하고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 또한 동작관찰훈련에서 형성된 운동기억에 의한 균형 및 보행능력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환자들이 겪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생활수준 및 의학 발달에 따른 평균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뇌졸중 환자 수는 점점 증가하면서(김경태 등, 2003) 뇌졸중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의 문제와 성인의 신경계 장애에 있어 주된 관심사이다(Wolfe, 2000). 뇌졸중환자들은 인지 및 지각 장애, 편측무시 및 편마비, 근력약화, 협응 및 조절된 움직임이 결여되어 보행 능력의 상실로 이동이 제한되며, 이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렵다(Carr & Shepherd, 2003; Miller 등, 2010; Sohlberg & Mateer, 2017; 이성란과 권혁철, 2003; 한태륜과 김진호, 2002).
이중 과제 지향 접근법이란 무엇인가? 최근 만성 뇌졸중환자들의 균형 및 보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임상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중 과제 지향 접근법은 시스템이론으로 신경학적 손상을 가진 환자의 재활에서 과제 특이성(task-specific)전략을 배워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것으로, 기능적인 접근 방법의 모델이다. 만성 뇌졸중환자에게 균형과 가동성 관련 과제에 초점을 둔 과제 지향적 훈련은 균형능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Kuberan 등, 2017).
뇌졸중환자의 보행에서의 특징은 어떻게 되는가? 또한 보행은 마비측의 짧은 입각기 시간과 긴 유각기 시간의 특징을 보인다. 이로 인해 보행속도가 감소되며, 보행시에도 에너지 소모를 많이 하는 비효율적인 보행 양상이 보인다(Kizony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강권영(2013). 뇌졸중환자의 동작관찰 보행훈련이 시.공간적 지표와 재활동기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8(3), 351-360. 

  2. 김경태, 이경민, 김구 등(2003). 입원중 사망한 뇌졸중 환자의 사망 시기와 원인. 대한재활의학회지, 27(4), 494-499. 

  3. 김선진(2009). 운동학습과 제어: 인간 움직임의 원리와 응용, 서울, 대한미디어. 

  4. 김신균(2014). 동작관찰훈련과 인지운동치료가 뇌졸중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진영, 한경주, 서태화(2012). 동작관찰훈련과 심상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6(4), 305-312. 

  6. 배선영, 국은주(2012). 동작관찰 신체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신경재활학회지, 2(2), 1-9. 

  7. 송수영(2016). 리듬 청각 자극을 동반한 동작관찰 신체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활성도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송요한(2016). 동작관찰을 동시에 적용한 트레드밀 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양용필과 김수진(2017). 관찰형태에 따른 동작관찰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안정성 한계와 동적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12(1), 67-74. 

  10. 이민영, 신원섭, 김경환 등(2014).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어서기 동작 시 근수축 개시시간과 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12(1), 19-25. 

  11. 이성란, 권혁철(2003).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이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0(3), 41-51. 

  12. 이현민, 이정아(2016). 이중과제 동작관찰 신체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일상생활 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11(2), 83-91. 

  13. 최진욱(2016). 환자 중심 과제훈련프로그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 보행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최효승, 남기원(2014). 동작관찰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 지, 15(6), 3759-3765. 

  15. 한태륜, 김진호(2002). 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16. Bang DH, Shin WS, Kim SY, et al(2013). The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al training on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7(12), 1118-1125. 

  17. Binkofski F, Buccino G(2006). The role of ventral premotor cortex in action execution and action understanding. J Physiol Paris, 99(4), 396-405. 

  18. Carr JH, Shepherd RB(2003).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New York, Butterworth-Heinemann Medical. 

  19. Celnik P, Stefan K, Hummel F, et al(2006). Encoding a motor memory in the older adult by action observation. Neuroimage, 29(2), 677-684. 

  20. Cheng Y, Lee PL, Yang CY, et al(2008). Gender differences in the mu rhythm of the human mirror-neuron system. PLoS One, 3(5), e2113. 

  21.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2000).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81(4), 409-417. 

  22. Dettmers C, Nedelko V, Hassa T, et al(2014). "Video therapy": Promoting hand function after stroke by action observation training-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 J Phys Med Rehabil, 2(189), 2. 

  23. Dobkin BH(2005). Clinical practice. Rehabilitation after stroke. N Engl J Med, 352(16), 1677-1684. 

  24. Eng JJ, Chu KS(2002).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83(8), 1138-1144. 

  25. Ertelt D, Small S, Solodkin A, et al(2007). Action observ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rehabilitation of motor deficits after stroke. Neuroimage, 36, 164-173. 

  26. Ewan LM, Kinmond K, Holmes PS(2010). An observation-based intervention for stroke rehabilitation: experiences of eight individuals affected by stroke. Disabil Rehabil, 32(25), 2097-2106. 

  27. Fabbri-Destro M, Rizzolatti G(2008). Mirror neurons and mirror systems in monkeys and humans. Physiology, 23(3), 171-179. 

  28. Flansbjer UB, Holmback AM, Downham D, et al(2005). Reliability of gait performance tests in men and women with hemiparesis after stroke. J Rehabil Med, 37(2), 75-82. 

  29. Friel KM, Nudo RJ(1998). Recovery of motor function after focal cortical injury in primates: compensatory movement patterns used during rehabilitative training. Somatosens Mot Res, 15(3), 173-189. 

  30. Granacher U, Bridenbaugh SA, Muehlbauer T, et al.(2011). Age-related effects on postural control under multi-task conditions. Gerontology, 57(3), 247-255. 

  31. Heyes CM, Foster CL(2002). Motor learning by observation: evidence from a serial reaction time task. The Q J Exp Psychol A, 55(2), 593-607. 

  32. Hiyamizu M, Maeoka H, Matsuo A, et al.(2014). Effects of self-action observation on standing balance learning: a change of brain activity detected using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NeuroRehabil, 35(3), 579-585. 

  33. Jeong WS, Yun TW, Choi YJ, et al.(2013).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 on motor function of paretic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Single subject study. J Korean Soc Phys Med, 8(2), 271-280. 

  34. Kim TH, Park SB(2007). Changes in the electroencephalogram patterns during motor imagery and action observation of elbow flexion and extensio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1(11), 987-999. 

  35. Kirker SG, Simpson DS, Jenner JR, et al(2000). Stepping before standing: hip muscle function in stepping and standing balance after strok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68(4), 458-464. 

  36. Kizony R, Levin MF, Hughey L, et al(2010). Cognitive load and dual-task performance during locomotion poststroke: a feasibility study using a functional virtual environment. Phys Ther, 90(2), 252-260. 

  37. Kuberan P, Vijaya KK, Joshua AM, et al(2017). Effects of task oriented exercises with altered sensory input on balance and functional mobility in chronic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angladesh J Med Sci, 16(2), 307. 

  38. Laufer Y, Dickstein R, Resnik S, et al(2000). Weight-bearing shifts of hemiparetic and healthy adults upon stepping on stairs of various heights. Clin Rehabil, 14(2), 125-129. 

  39. Levy CE, Nichols DS, Schmalbrock PM, et al(2001). Functional MRI evidence of cortical reorganization in upper-limb stroke hemiplegia treated with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Am J Phys Med Rehabil, 80(1), 4-12. 

  40. Lim J, Reiser RA, Olina Z(2009). The effects of part-task and whole-task instructional approaches on acquisition and transfer of a complex cognitive skill.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7(1), 61-77. 

  41. Miller EL, Murray L, Richards L, et al(2010). Comprehensive overview of nursing and interdisciplinary rehabilitation care of the stroke patient. Stroke, 41(10), 2402-2448. 

  42. Mudge S, Barber PA, Stott NS(2009). Circuit-based rehabilitation improves gait endurance but not usual walking activity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90(12), 1989-1996. 

  43. Ng SS, Ng P, Lee CY, et al(2012). Walkway lengths for measuring walking speed in stroke rehabilitation. J Rehabil Med, 44(1), 43-46. 

  44. Page SJ, Levine P, Sisto S, et al(2001). A randomized efficacy and feasibility study of imagery in acute stroke. Clin Rehabil, 15(3), 233-240. 

  45. Shepherd RB(2001).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functional motor performance in stroke: driving neural reorganization?. Neural Plast, 8(1-2), 121-129. 

  46. Shumway-Cook A, Woollacott MH(2007).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7. Sohlberg MM, Mateer CA(2017). Cognitive rehabilitation: An integrative neuropsychological approach.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48. Stefan K, Cohen LG, Duque J, et al(2005). Formation of a motor memory by action observation. J Neurosci, 25(41), 9339-9346. 

  49. Tyson SF, Hanley M, Chillala J, et al(2006).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 Ther, 86(1), 30-38. 

  50. Van Merrienboer JJ, Ayres P(2005). Research on cognitive load theory and its design implications for e-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3(3), 5-13. 

  51. Van Merrienboer JJ, Kester L, Paas F(2006). Teaching complex rather than simple tasks: Balancing intrinsic and germane load to enhance transfer of learning.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0(3), 343-352. 

  52. Wade DT(1992). Measurement in neurological rehabilitation. Curr Opin Neurol Neurosurg, 5(5), 682-686. 

  53. Wolfe CD(2000). The impact of stroke. Br Med Bull, 56(2), 275-2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