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강도 근력 운동이 우울증 및 감정 조절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의 노르에피네피린, 에피네피린, 그리고 세로토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Intensity Muscle Training on Norepinephrine, Epinephrine, and Serotonin Level in Stroke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Emotional Incontinenc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6 no.2, 2018년, pp.69 - 76  

홍성균 (경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이동건 (경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이규창 (경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ow-intensity muscle training on neurotransmitte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disorders in survivors with stroke who were diagnosed with depression or emotion regulation disorder. Methods : Survivors of chronic stroke diagno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울증과 감정 조절 장애가 있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규칙적인 저 강도의 근력운동이 우울증과 감정 조절 장애와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오랜 침상 생활과 뇌혈관 질환으로 인하여 생긴 우울증 및 감정조절장애가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근력트레이닝이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 에피네피린, 노르에피네피린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총1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10주간의 건강한 측 저 강도 근력트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중재 전와 후에 각각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저강도 근력 운동은 아령과 튜빙을 사용하여 비 손상 측 팔꿉 관절, 어깨 관절, 다리 등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표 1와 같이 구성하였다. 운동 시간은 준비 운동 10분, 정리 운동 10분, 그리고 본 운동 30분 등 총 50분이고, 1회 50분, 주 5회, 10주 동안, 총 50회의 저강도 근력 운동을 실시하게 하였다.

가설 설정

  • 운동 시간은 준비 운동 10분, 정리 운동 10분, 그리고 본 운동 30분 등 총 50분이고, 1회 50분, 주 5회, 10주 동안, 총 50회의 저강도 근력 운동을 실시하게 하였다. 아령의 무게는 각 대상자들의 건측을 사용하여 1 RM을 측정하였으며, 8회를 반복할 수 있는 무게(1 RM의 무게의 20 % 감소된 무게)로설정하였다. 튜빙 운동의 강도는 튜빙 색깔에 따라 강도가 다른 점에 따라 튜빙색을 노란색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이후에 발생하는 합병증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뇌졸중은 흔히 편마비를 유발하고 이는 보행 능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회에의 독립적인 생활을 제한시킨다(Perry 등, 1995). 또한, 뇌졸중 이후에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가장 흔한 것 중 하나는 우울증이고(Starkstein과 Robinson, 2000), 뇌졸중 환자들의 1/3~2/3이 뇌졸중으로 인한 우울증(Post-stroke depression; PSD)을 격고 있으며, 그 중에서 83 %가 무기력, 63 %가 수면 장애, 60 %가 고민, 그리고 39 %가 절망감 등을 느낀다고 보고되었다(Harvey 등, 2007). 이러한 증상들은 집중력과 활동성이 요구되는 재활에 있어 적극적인 참여를 방해할 수 있는 요소가 되며, 재활로 인한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Cicerone 등, 2000).
뇌졸중의 특징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흔히 편마비를 유발하고 이는 보행 능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가정과 사회에의 독립적인 생활을 제한시킨다(Perry 등, 1995). 또한, 뇌졸중 이후에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가장 흔한 것 중 하나는 우울증이고(Starkstein과 Robinson, 2000), 뇌졸중 환자들의 1/3~2/3이 뇌졸중으로 인한 우울증(Post-stroke depression; PSD)을 격고 있으며, 그 중에서 83 %가 무기력, 63 %가 수면 장애, 60 %가 고민, 그리고 39 %가 절망감 등을 느낀다고 보고되었다(Harvey 등, 2007).
뇌졸중 이후에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또한, 뇌졸중 이후에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가장 흔한 것 중 하나는 우울증이고(Starkstein과 Robinson, 2000), 뇌졸중 환자들의 1/3~2/3이 뇌졸중으로 인한 우울증(Post-stroke depression; PSD)을 격고 있으며, 그 중에서 83 %가 무기력, 63 %가 수면 장애, 60 %가 고민, 그리고 39 %가 절망감 등을 느낀다고 보고되었다(Harvey 등, 2007). 이러한 증상들은 집중력과 활동성이 요구되는 재활에 있어 적극적인 참여를 방해할 수 있는 요소가 되며, 재활로 인한 회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Cicerone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박은경, 김용권, 유재현 등(1999). 운동이 정신분열증 환자의 세로토닌과 도파민 분비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7(1), 48-53. 

  2. 백일훈, 김병조, 박강희(2012). 순환운동이 뇌졸중 후 우울증 환자의 뇌 세로토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7(4), 451-459. 

  3. 진영수, 전태원, 김의수 등(1992). 운동강도와 운동 지속 시간이 인체의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10(1), 53-62. 

  4. Bailey S, Davies J, Ahlborn E(1993). Neuroendocrine and substrate responses to altered brain 5-HT activity during prolonged exercise to fatigue. J Appl Physiol, 74(6), 3006-3012. 

  5. Barchas JD, Freedman D(1963). Brainamines. Biochem Pharmacol, 12, 1232-1235. 

  6. Beck AT(1967).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per & Row Publishers INC. 

  7. Blake H, Mo P, Malik S, et al(2009). How effective are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for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Clini Rehabil, 23(10), 873-887. 

  8. Cicerone KD, Dahlberg C, Kalmar K, et al(2000). Evidence-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recommend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rch Phys Med Rehabil, 81(12), 1596-1615. 

  9. Dimsdale JE, Moss J(1980). Plasma catecholamines in stress and exercise. JAMA, 243, 340-342. 

  10. Dubovsky SL(1994). Beyond th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J Clin Psychiatry, 55(2), 34-44. 

  11. Farrell PA, Gustafson AB, Morgan WP, et al(1987). Enkephalins, catecholamine and psychological mood altrations: Effets of prolonged exercise. Med Sci Sports Exerc, 19(4), 347-353. 

  12. Field T(2012). Exercise research on children and adolescents. Complement Ther Clin Pract, 18(1), 54-59. 

  13. Hartley LH, Mason JW, Hogan RP(1972). Multiple hormonal responses to prolonged exercise in relation to physical training. J Appl Physiol, 33, 607-610. 

  14. Harvey RL, Roth EJ, Yu D(2007). Rehabilitation in stroke syndromes. In: Braddom RL Eds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3rd ed, Philadelphia, Saunders Elsevier. 

  15. He SB, Tanget WG, Tang WJ, et al(2012). Exercise intervention may prevent depression. Int J Sports Med, 33(7), 525-530. 

  16. Judd FK, Burrows GD, Brown DJ(1986). Depression following acute spinal cord injury. Paraplegia, 24(6), 358-363. 

  17. Knaster P, Estlander AM, Karlsson H, et al(2016). Diagnosing depression in chronic pain patients: DSM-IV major depressive disorder vs.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PloS one, 11(3), e0151982. 

  18. Lee JA, Lee JH, Yim SM, et al(2000). Correlation between post stroke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J Orien Neuropsy, 11(2), 149-154. 

  19. Lucas M, Mekary R, Pan A, et al(2011). Relation between clinical depression risk and physical activity and time spent watching television in older women: a 10-year prospective follow-up study. Am J Epidemiol, 174(9), 1017-1027. 

  20. Mammen G, Faulkner G(2013). Physical activity and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of prospective studies. Am J Prev Med, 45(5), 649-657. 

  21. Mead GE, Morley W, Campbell P, et al(2009). Exercise for depress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8(3), CD004366. 

  22. Morgan WP(1979). Anxiety reduction following acute physical activity. Psychiatric Annals, 9, 141-147. 

  23. Morgan WP, Brown DR, Raglin JS, et al(1987). Psychological monitoring of overtraining and staleness. Br J Sports Med, 21(3), 107-14. 

  24. Morris PPL, Robin RG, Raphael B(1990). Prevalence and course of depressive in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Int J Psychiatry Med, 20(4), 349-364. 

  25. Perry J, Garrett M, Gronley JK, et al(1995). Classification of walking handicap in the stroke population. Stroke, 26(6), 982-989. 

  26. Ploughman M(2008). Exercise is brain food;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cognitive function. Dev Neurorehabil, 11(3), 236-240. 

  27. Rudorfer M, Rose R, Linnoila M, et al(1985). Ewaggerated orthostatic esponsivity of plasma norepinephrin in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45, 849-957. 

  28. Ransford CP(1982). A role for amines in the antidepressant effect of exercise: a review. Med Sci Sports Exerc, 14(1), 1-10. 

  29. Raskind M, Peskind E, Halter J, et al(1984). Norepinephrine and MHPG levels I CSF and plasma in Alzheimer's disease. Arch Gen Psychiatry, 41, 343-346. 

  30. Romanowski W, Grabiec S(1974). The role of serotonin in the mechanism of central fatigue. Acta Physiology Pol, 25, 127-134. 

  31. Scheurink AJW, Steffens AB, Benthem L(1988). Central and peripheral a drenoceptors affect glucose, free gatty acids, and insulin in exerscising rats. Am J Physiol, 255, 547-556. 

  32. Schildkraut JJ, Kety SS(1967). Biogenic amines and emotion. Science, 156(3771), 21-37. 

  33. Serebruany VL, Glassman AH, Malinin AI, et al(2003).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yield additional antiplatelet protection in patient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treated with antecedent aspirin. Eur J Heart Fail, 5(4), 517-521. 

  34. Singhal AB, Topcuoglu MA, Dorer DJ, et al(2005). SSRI and statin use increases the risk for vasospasm after subarachnoid hemorrhage. Neurology, 64(6), 1008-1013. 

  35. Sjosten N, Kivela SL(2006). The effects of physical exercise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aged: a systematic review. Int J Geriatr Psychiatry, 21(5), 410-418. 

  36. Starkstein SE, Robinson RG(2000). Stroke. In: Textbook of Geriatric Neuropsychiatry, 2nd Ed. by Coffey, C.E. & Cummings, J.L. American Psychiatric, 2, 601-620. 

  37. Xiong GL, Jiang W, Clare R, et al(2006). Prognosis of patients taking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befor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m J Cardiol, 98(1), 4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