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In vitro anticancer and antioxidant effects of acetone extract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ves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1 no.2, 2018년, pp.119 - 124  

인만진 (Department of Human Nutrition and Food Science, Chungwoon University) ,  김은정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Chungwoon University) ,  김동청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Chungwoo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수율은 $1.13{\pm}0.033%$ (w/w)이었고,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36.7{\pm}1.96mg$ gallic acid equivalents/g-추출물로 나타났다. 세포증식을 절반 억제하는 추출물의 농도인 $GI_{50}$값은 사람의 암세포인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에서 $53.4{\mu}g/mL$, 결장암세포(SNU-C4)에서 $53.8{\mu}g/mL$ 및 자궁경부암세포(HeLa)에서 $88.3{\mu}g/mL$이었고, 사람의 정상세포인 배아 폐 상피세포(L132)에서는 $153.9{\mu}g/mL$로 나타났다.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은 사람의 정상세포에는 낮은 독성을 나타내면서 농도에 비례하여 사람의 비소세포폐암세포(A549)와 결장암세포(SNU-C4)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DPPH 유리라디칼을 절반 소거하는 추출물의 농도인 $EC_{50}$값은 2 mg/mL 정도로 높게 나타났고, 환원력의 $EC_{50}$값은 $275.8{\mu}g/mL$, 지질과산화를 절반 저해하는 농도인 $EC_{50}$값은 $257.9{\mu}g/mL$이었다. 유근피 아세톤 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하여 우수한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vitro anticancer and antioxidant effects of acetone extract from leaves of Eucommia ulmoides Oliver were investigated. The extraction yield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the acetone extract were $1.13{\pm}0.033%$ (w/w) and $36.7{\pm}1.96mg$ gallic acid equivalents/g-extr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제로 약용 식물의 지용성 추출물이 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많은 보고[19,20,21,22]가 있고, 두충잎의 경우에도 석유에테르 추출물이 in vitro에서 사람의 결장암세포(HCT-116)의 증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어 [23], 이를 근거로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두충잎의 지용성 추출물을 얻고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을 통해 항암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난 두충 잎의 아세톤 추출물을 대상으로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하였고, 이와 함께 페놀성 화합물 함량, 유리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확인함으로써 두충잎의 생리활성 소재로서의 용도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일반적으로 천연물의 추출 용매로 물과 에탄올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비극성 용매에서 추출되는 지용성 성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실제로 약용 식물의 지용성 추출물이 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많은 보고[19,20,21,22]가 있고, 두충잎의 경우에도 석유에테르 추출물이 in vitro에서 사람의 결장암세포(HCT-116)의 증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어 [23], 이를 근거로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두충잎의 지용성 추출물을 얻고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을 통해 항암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난 두충 잎의 아세톤 추출물을 대상으로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하였고, 이와 함께 페놀성 화합물 함량, 유리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확인함으로써 두충잎의 생리활성 소재로서의 용도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물의 추출 용매로 물과 에탄올을 사용할 때 추출되기 어려운 것은? 일반적으로 천연물의 추출 용매로 물과 에탄올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비극성 용매에서 추출되는 지용성 성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실제로 약용 식물의 지용성 추출물이 암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많은 보고[19,20,21,22]가 있고, 두충잎의 경우에도 석유에테르 추출물이 in vitro에서 사람의 결장암세포(HCT-116)의 증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어 [23], 이를 근거로 비극성 용매를 사용하여 두충잎의 지용성 추출물을 얻고 생리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비실험을 통해 항암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난 두충 잎의 아세톤 추출물을 대상으로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확인하였고, 이와 함께 페놀성 화합물 함량, 유리라디칼 소거능,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능을 확인함으로써 두충잎의 생리활성 소재로서의 용도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두충잎에 함유된 페놀성 화합물은 무엇인가? 특히 두충잎은 껍질, 꽃, 열매에 비해 강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14], 두충잎의 rutin, chlorogenic acid, ferulic acid 등의 페놀성 화합물이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물질로 보고되었다[5]. 두충잎 물 추출물은 껍질에 비해 우수한 지질과산화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었고[15], 또한 제2형 당뇨병을 유발한 쥐에서 적혈구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과산화수소와 지질과산화물의 수준을 낮추는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16].
두충이란 무엇인가? 두충(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은 잎, 껍질, 줄기 및 열매의 뛰어난 약리 활성으로 인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생약재이다[1]. 두충에는 bisepoxylignan, monoepoxylignan 등의 리그닌 성분과 iridoid, 다당체, 스테로이드, 테르페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중요한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quercetin, rutin, astragalin, geniposid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2,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Kwan CY, Chen CX, Deyama T, Nishibe S (2003)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ant effects of the aqueous extracts of the Eucommia ulmoides Oliv. leaf and bark: implications on their antihypertensive action. Vascul Pharmacol 40: 229-235 

  2. Hong YK, Liu WJ, Li T, She SY (2013) Optimization of extraction of Eucommia ulmoides polysaccharide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arbohydr Polym 92: 1761-1766 

  3. He X, Wang J, Li M, Hao D, Yang Y, Zhang C, He R, Tao R (2014) Eucommia ulmoides Oliv.: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an important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 Ethnopharmacol 151: 78-92 

  4. Hussain T, Tan B, Oladele OA, Rahu N, Tossou MC, Yin Y (2016)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Eucommia ulmoides: a review.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6: 5202908 

  5. Kulomaa A, Siren H, Riekkola ML (1997)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in plant beverages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the marker index technique. J Chromatogr A 781: 523-532 

  6. Greenway F, Liu Z, Yu Y, Gupta A (2011) A clinical trial test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a standardized Eucommia ulmoides Oliver bark extract to treat hypertension. Altern Med Rev 16: 338-347 

  7. Choi MS, Jung UJ, Kim HJ, Do GM, Jeon SM, Kim MJ, Lee MK (2008)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extract mediates hypolipidemic action in hamsters fed a high-fat diet. Am J Chin Med 36: 81-93 

  8. Hirata T, Kobayashi T, Wada A, Ueda T, Fujikawa T, Miyashita H, Ikeda T, Tsukamoto S, Nohara T (2011) Anti-obesity compounds in green leaves of Eucommia ulmoides. Bioorg Med Chem Lett 21: 1786-1791 

  9. Zhang R, Liu ZG, Li C, Hu SJ, Liu L, Wang JP, Mei QB (2009)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 cortex extract prevent OVX-induced osteoporosis in rats. Bone 45: 553-559 

  10. Kim BH, Park KS, Chang IM (2009) Elucidation of anti-inflammatory potencies of Eucommia ulmoides bark and Plantago asiatica seeds. J Med Food 12: 764-769 

  11. Tsai TH, Tsai TH, Wu WH, T JTP, Tsai PJ (2010) In vitro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erbs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Food Chem 119: 964-968 

  12. Kwon SH, Lee HK, Kim JA, Hong SI, Kim SY, Jo TH, Park YI, Lee CK, Kim YB, Lee SY, Jang CG (2011) Neuroprotective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 Bark on amyloid beta(25-35)-induced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s in mice. Neurosci Lett 487: 123-127 

  13. Jin CF, Li B, Lin SM, Yadav RK, Kim HR, Chae HJ (2013) Mechanism of the inhibitory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 cortex extracts (EUCE) in the $CCl_{4}$ -induced acute liver lipid accumulation in rats. Int J Endocrinol 2013: 751854 

  14. Zhang Q, Su YQ, Yang FX, Peng JN, Li XH, Sun RC (2007) Antioxidative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leaf, male flower, raw cortex and fruit of Eucommia ulmoides Oliv. Forest Products J 57: 74-78 

  15. Yen GC, Hsieh CL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Duzhong (Eucommia ulmoides) toward various lipid peroxidation models in vitro. J Agric Food Chem 46: 3952-3957 

  16. Park SA, Choi MS, Jung UJ, Kim MJ, Kim DJ, Park HM, Park YB, Lee MK (2006)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extract increases endogenous antioxidant activity in type 2 diabetic mice. J Med Food 9: 474-479 

  17. Xu Z, Tang M, Li Y, Liu F, Li X, Dai R (2010) Antioxidant properties of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 extracts and their effects on color stability and lipid oxidation of raw pork patties. J Agric Food Chem 58: 7289-7296 

  18. Hsieh CL, Yen GC (2000) Antioxidant actions of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 toward oxidative damage in biomolecules. Life Sci 66: 1387-1400 

  19. Yang SJ, Cho SH, Cho SI, Na WM (2007) Anti-proliferative effect of Ulmi pumilae cortex extracts on MCF-7 cells. J Orient Obstet Gynecol 20: 35-44 

  20. Lee SD, Yoo G, Chae HJ, In MJ, Oh NS, Hwang YK, Hwang WI, Kim DC (2009) Lipid-soluble extracts as the main source of anticancer activity in ginseng and ginseng marc. J Am Oil Chem Soc 86: 1065-1071 

  21. In MJ, Chae HJ, Kim DC (2014)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cancer potential of n-hexane extract from ginseng marc. J Appl Biol Chem 57: 247-250 

  22. In MJ, Kim DC (2016)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acetone extract of the cortex of Ulmus pumila L. J Appl Biol Chem 59: 133-136 

  23. Kim JB, Park JR, Jeon JR, Cha MH (200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cancer compounds from Eucommia ulmoides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32-738 

  24.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25. Itano N, Atsumi F, Sawai T, Yamada Y, Miyaishi O, Senga T, Hamaguchi M, Kimata K (2002) Abnormal accumulation of hyaluronan matrix diminishes contact inhibition of cell growth and promotes cell migration. Proc Natl Acad Sci USA 99: 3609-3614 

  2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7. Oyaizu M (1985)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 J Nutr 44: 307-315 

  28. Nakatani N, Kikuzaki H (1987) A new antioxidative glucoside isolated from oregano (Origanum vulgare L.). Agric Biol Chem 51: 2727-2732 

  29. Choi KJ, Kim MW, Hong SK, Kim DH (1983) Effect of solvents on the yield, brown color intensity, UV absorbance, reduc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white and red ginseng. J Korean Agric Chem Soc 26: 8-18 

  30. Zhang Q, Su Y, Zhang J (2013) Seasonal difference in antioxidant capacity and active compounds contents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Molecules 18: 1857-1868 

  31. Weng JR, Tsai CH, Kulp SK, Chen CS (2008) Indole-3-carbinol as a chemopreventive and anti-cancer agent. Cancer Lett 262: 153 

  32. Shoemaker M, Hamilton B, Dairkee SH, Cohen I, Campbell MJ (2005)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f twelve Chinese medicinal herbs. Phytother Res 19: 649-651 

  33. Niedzwiecki A, Roomi MW, Kalinovsky T, Rath M (2016) Anticancer efficacy of polyphenols and their combinations. Nutrients 8: 552 

  34. Lamoral-Theys D, Pottier L, Dufrasne F, Neve J, Dubois J, Kornienko A, Kiss R, Ingrassia L (2010) Natural polyphenols that display anticancer properties through inhibition of kinase activity. Curr Med Chem 17: 812-825 

  35. Ravishankar D, Rajora AK, Greco F, Osborn HM (2013) Flavonoids as prospective compounds for anti-cancer therapy. Int J Biochem Cell Biol 45: 2821-2831 

  36. Dixit S (2014) Anticancer effect of rutin isolated from the methanolic extract of Triticum aestivum straw in mice. Med Sci 2: 153-160 

  37. Khan F, Niaz K, Maqbool F, Hassan FI, Abdollahi M, Venkata KCN, Nabavi SM, Bishayee A (2016) Molecular targets underlying the anticancer effects of quercetin: an update. Nutirents 8: 529 

  38. Asgary S, Naderi GH, N Askari N (2005) Protective effect of flavonoids against red blood cell hemolysis by free radicals. Exp Clin Cardiol 10: 88-90 

  39. Nho JW, Hwang IG, Kim HY, Lee YR, Woo KS, Hwang BY, Chang SJ, Lee J, Jeong HS (2010) Free radical scavenging,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nd in vitro anticancer activities of ramie (Boehmeria nivea) leaves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9: 383-390 

  40.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Jung HY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9-36 

  41. Li M, Jeong HS, Kim HS, Jang GY, Woo KS, Lee SH, Lee J, Sin HM (2012)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ves and stalks from different sweet potato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56-1662 

  42. Kim DC, In MJ (2017) Antioxidative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the leaves of Leucaena leucocephala (Lam.) de Wit. J Appl Biol Chem 60: 185-190 

  43. Kim C, In MJ, Kim DC (2015)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Boehmeria nivea L. leaves. Food Eng Prog 19: 76-81 

  44. Jun HI, Kim YA, Kim YS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and Morus alba L. fruits. Korean Soc Food Sci Nutr 43: 381-388 

  45. Kim DC, Kim C, In MJ (2015)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prepared from sweet potatoes with different flesh colors. J Appl Biol Chem 58: 2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