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죽헌실험방』 저술 배경 및 의의 연구 -『침구경험방』 영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riting Background and Meaning of 『Jukheon-Silheombang』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Chimgu-Kyungheombang』-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35 no.2, 2018년, pp.98 - 104  

박훈평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이유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  최동희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  김미래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  윤대환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  배양자 (동신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사회복지학과) ,  나창수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경혈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t is noted that Jukheon-Silheombang(Actual Formulas of Jukheon), is a rare book published by a private physician in 1950s. The study of this book is the data that can be used to see how the acupuncture of Huh-Im is inherited and performed in the local small towns right after the Kore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는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전라북도 익산에서 활동했던 이창로가 저술한 『죽헌실험방』의 침구편을 중심으로 개괄하고 연구한 결과이다. 『죽헌실험방』의 저술시기를 살펴보고 저자 이창로의 가계를 분석하였다.
  • 근현대 침구 관련서적은 동양의학대학의 교재였던 『영소침구경』에 대해서 최근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는데2), 본서는 그와 달리 한국전쟁 직후 지방 소도시에서 침구술이 계승되고 행해지는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본고를 통해 『죽헌실험방』 의 침구 관련 내용에 대해 개괄적 소개를 하고 허임(許任)의 침술이 한국전쟁 직후 지방 소도시에서 계승되는 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구경험방이란? 『침구경험방(鍼灸經驗方)』은 조선 중기 최고의 침의였던 허임(許任)이 저술하여 1644년에 전라도 전주에서 초간한 침구전문서 이다. 이 책은 18세기 중반 이후 간행이 이루어지지 않아 필사본 위주로 전승되다가, 일제강점기 들어 행림서원에서 신연활자본으로 1943년 새롭게 보급하기 시작해 1945년, 1949년 재차 간행되면서 다시금 세간에 널리 보급되었다.
침구경험방은 어떻게 보급되었는가? 『침구경험방(鍼灸經驗方)』은 조선 중기 최고의 침의였던 허임(許任)이 저술하여 1644년에 전라도 전주에서 초간한 침구전문서 이다. 이 책은 18세기 중반 이후 간행이 이루어지지 않아 필사본 위주로 전승되다가, 일제강점기 들어 행림서원에서 신연활자본으로 1943년 새롭게 보급하기 시작해 1945년, 1949년 재차 간행되면서 다시금 세간에 널리 보급되었다. 『침구경험방』을 후세에 활용함에 있어 당대 의가의 관심이 반영되었으며 이는 여러 필사본에 부기(附 記)된 형태로 남아있다.
조선 후기 침구 전문서의 간행은? 이러한 필사본의 전통을 『죽헌실험방(竹軒實 驗方)』이 이어받고 있다. 조선 후기 침구 전문서의 간행은 류성룡(柳成龍)의 『침구요결(鍼灸要訣)』과 임언국(任彦國)의 『치종비방부(治腫秘方附)』(1707년)에 불과하며, 다수가 필사 형태로만 전해지다가 일제강점기 이후에야 간행되었다. 이러한 까닭으로 조선 후기 침구 문헌의 계통과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DH, Kim JH. The Literary Study on The Written Date of and The Background of Sa-Ahm's 5 Element Acupuncture Method.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1993 ; 7 : 154-9. 

  2. Kim SY, Kim JH. Study on Yeong sochimgugyeong, a Specialized Text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17 ; 34(3) : 136-45. 

  3. Lee CR. Jukheon-Silheombang. First ed. Iksan : Unknown. 1958 ; (l) : 1-81, (2) : 1-102. 

  4. Lee HS. Misan-poetry's manuscript. First ed. Iksan : Cheomsojae. 1958 : 1-77. 

  5. National Archives. Recorded information content official gazette collection. Available from: URL: 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006228#38 

  6. Im HR. Iksan's character dictionary. First ed. Iksan : Iksan cultural center. 1991 : 141, 160. 

  7. National Iinstitute of Korean History. Korean History Information Integration DB. Available from: URL: http://db.history.go.kr/item/level.do;jsessionidA21DBC79DDC033AF12F76DF0A44EF0A7?levelIdim_108_04449 

  8.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Jangseogag record heritage DB. Available from: URL: http://visualjoseon.aks.ac.kr/viewer/view?itemIdjb&gubunperson&dataIdK21203D_008_114500 

  9. Editorial department. Korean oriental medicine overview First ed. Seoul : Shinsegae newspaper. 1987: 265. 

  10. Jo-SH. Dongui-New Clinical Formulation. First ed. Seoul : Samuidang. 1979 : 4, 265, 301. 

  11. A presentation. Daehan-gyeonghaenglog. First ed. Cheongju : Sanglog. 1973 : 228. 

  12. Park HP. A Study on Social Status of Euiyakdongcham and Naechimeui in the Late Joseon Dinasty. Jangheunggak. 2018 ; 39 : 345-6. 

  13. Oh JH. Criticism & Acceptance of 'Chimgugyeongheomb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Minjogmunhwa. 2011 ; 38 : 329-35. 

  14. Hong SY, Ahn SW. A Study on Woo Geom Job Jeo. The Journal of Honam Area Studies. 2009 ; 46 : 300-8. 

  15. Jo HJ. Study on Gimunchimbeop.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2005 ; 22(4) : 130-47. 

  16. Lee JR. Ttaehan-uihagjeonjib vol. 3. First ed. Seoul : Jeilmunhwasa. 1989 : 2286, 2289-98. 

  17. Park HP. Review on Medical Texts in Joseon Dynasty.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2016 ; 29(2) : 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