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크레딧 사업 운영의 효과성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of a Scale for Business Effectiveness of Microcredi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6, 2018년, pp.27 - 35  

임은의 (극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학령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마이크로크레딧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업 운영의 효과성을 파악하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크레딧을 실증적으로 다룬 국내 선행연구와 이용자 및 전문가 대상의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바탕으로 30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본 조사를 위해 31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였으며, 128개의 회수된 설문지 중 부실 응답지 1부를 제외한 127개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분석결과 3개 요인, 24개 문항의 척도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모형의 적합도를 고려하여 마이크로크레딧 사업체 차원의 효과성 척도를 확정하였다. 구체적인 요인으로는 점포운영 요인 5개 문항, 창업만족도 요인 3개 문항, 경영역량 요인 1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사업체 차원의 효과성 척도를 바탕으로 마이크로크레딧의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마이크로크레딧의 실천적인 발전 방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scale for business effectiveness targeting microcredit users. For this, based on domestic preceding researchers empirically handling the microcredit and also focus group interviews with users and specialists, total 30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mposed. After that,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마이크로크레딧 이용자를 대상으로 마이크로크레딧 사업운영 효과성에 대한 측정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과정은 국내외 선행연구, 마이크로크레딧 이용자의 심층면접, 마이크로크레딧 현장 실무자의 FGI을 통해 1차적인 측정문항을 선정하였다.
  • 현재 지역사회 주도의 상품 몰이나 사회적 기업 제품 전용 이로운 몰 등이 개설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운영 측의 역량 의존도가 크기 때문에 그 틀을 넘어서는 시장 확대가 이뤄지기는 어렵다. 사회적 경제를 통해 생산된 제품 및 서비스, 그리고 업체를 연결시키는 플랫폼 구축과 함께 윤리적 소비에 대해 대중적인 의식을 고취하는 사회운동이 병행되어 전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개별 주체들의 연합의 필요성이 촉구되는 바이다.
  • 마이크로크레딧을 통한 이용자의 범위는 개인차원, 가구차원, 사업체 차원으로 광범위하다 보니 각 차원에 해당하는 효과성 측정 항목 개발은 단계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현실과 마이크로크레딧의 목적 실현을 위한 수단과 방법으로 저소득층 창업지원을 취했던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업체 차원의 효과성 측정 항목 개발이 우선되어야 함을 주목하였다. 기존 사업체 차원의 효과를 다룬 연구에서는 매출액, 생존, 순수익, 유급고용인원과 같은 결과지표[7]와 사업만족도, 창업후 변화정도와 같은 과정지표[8]가 활용되고 있었는데, 엄밀하게는 결과 지표에 치우쳐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마이크로크레딧 이용자들이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경험한 변화를 바탕으로 효과성 측정 항목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와 이용자의 심층 인터뷰를 대상으로 문항을 추출하고 측정 항목에 대한 타당화 검사를 거친 후 척도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마이크로크레딧의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사업의 효과성, 효율성, 책무성을 밝혀낼 수 있고 마이크로크레딧과 마이크로파이낸스에 이어 사회투자금융으로 이어지는 이행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정리해야 과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0년 초반 한국에서 신나는 조합과 사회연대은행의 비영리 민간기관을 통한 마이크로크레딧은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었는가? 한국은 2000년 초반 신나는 조합과 사회연대은행의 비영리 민간기관을 통하여 마이크로크레딧이 도입되어 주목을 받았다. 개발도상국의 경우처럼 탈빈곤의 목적도 있었지만 한국의 경우는 도입 당시 실업자를 대상으로 영세기업 창업을 지원함으로써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주요 목표로 삼고[3], 자영업 창업에 필요한 자금과 기술 및 훈련 지도를 포함한 경영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9].
포용금융이란 무엇인가?  빈곤층 금융지원과 관련하여 국제사회는 마이크로파이낸스(Microfinance)에서 포용금융(Inclusive Finance)으로 이행하는 새로운 단계를 예고하였다. 포용금융은 각 계층에게 적합한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금융의 연속체로서 빈곤층에게 소기업을 위한 소액대출과 같은 단일 상품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여러 가지 금융서비스를 한데 묶은 상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2]. 이처럼 국제사회의 복지금융의 조류는 마이크로크레딧에서 마이크로파이낸스를 걸쳐 포용금융으로 진화하고 있다.
국제사회의 복지금융의 조류은 무엇으로 진화하고 있는가? 포용금융은 각 계층에게 적합한 금융상품과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금융의 연속체로서 빈곤층에게 소기업을 위한 소액대출과 같은 단일 상품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여러 가지 금융서비스를 한데 묶은 상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2]. 이처럼 국제사회의 복지금융의 조류는 마이크로크레딧에서 마이크로파이낸스를 걸쳐 포용금융으로 진화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 R. Song. (2017). New Thing on Inclusive Nations in Korea. Seoul: 21cbooks Publishing Co. 

  2. E. Rhyne. (2009). MICROFINANCE for BANKERS and INVESTORS, Washington, DC, McGraw-Hill. 

  3. E. E. Yim & E. J. Park. (2013). Policy Changes on the Microcredit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13(1), 234-246. DOI : 10.5392/JKCA.2013.13.01.234 

  4. Sisa Journal. (2018). Deregulation of establish stage in the Social Finance Bank. http://www.sisajournal-e.com/biz/article/182147 

  5. Y. S. Jung & K. Y. Lee. (2013). Trends of International Microcredit Industry and Less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mile Microdredit Bank. Korea Development Economic Assoiciation, 19(1), 35-79. 

  6. E. E. Yim. (2015). Study on the Influence of Start-up Factors and Self-efficacy on Economic Performance of Microenterpris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2), 1-12. DOI : 10.14400/JDC.2015.13.12.1 

  7. M. H. Ryu. (2008). The study of the outcome for the labor welfare program: Micro-enterprise Program.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4(1), 41-62. 

  8. S. G. Kim. (2006). Study on result of business startup support program for female breadwinners : Focused on contribution case toward society of S life insurance company.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9. C. G. Park. (2010). Microfinance and Business Education in Korea, Korea Business Review, 13(3), 87-117. 

  10. Y. J. Im, E. E. Yim, S. K. Park & Y. S. Lee. (2014). A Study on the Construct of the Change of the Recognition of Low-income Female Single Parents after using Microcredit-Q Methodological Application. Korea Family Welfare, 45, 121-147. 

  11. N. Schreiner & J. Morduch. (2001). Replicating Microfinance in the United Stat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edited by Jim Carr anc Zhong Yi Tong, Replicating Microfinance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Fannie Mae Foundation. 

  12. K. Lamia. (2015). Microfiannce and Its DIscontents, Seoul, Maybook Publishing. 

  13. R. Marguerite. (2001). The Microfinance Revolution, Washington, D.C., World Bank Publications. 

  14. L. Mayoux. (2002). Women's Empowerment and Participation in Micro-Finance:Evidence, Issues and Ways Forward,, 1. 

  15. Y. S. Chung & S. Y. An. (2017). Social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of Microfinance Programs: Comparison of Korea and U.K. Korea Social Policy Review, 24(3), 27-53. 

  16. P. Clark & A. Kays. (1999). Microenterprise and the Poor: Findings from the Self-Employment Learning Project Five-year Study of Microentrepreneur,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17. S. Raheim & C. Alter. (1995). Self-employment as a social and economic developent intervention for recipients of AFDC, Journal of Community Practice, 5(1-2), 41-61. 

  18. C. K. Sanders. (2002). The Impact of Microenterprise Assistance Programs: A Comparative Study of Program Participants, non-participants and other low-wage worker, The Social Service, 76, 321-340. 

  19. Y. S. Chung & Y. K. Song. (2008). Survival Probability and Multivariate Survival Analysis of Micro-enterprises after Start-ups,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24(1), 307-332. 

  20. E. E. Yim. (2015). The Study on Survival of Microcredit Start-up : Focused on the Poor Single Mother. Woman Study, 88(1), 373-402. 

  21. Y. S. Chung. (2008a). Determinants of the Financial Outcomes of Micro-enterprises, Korea Social Welfare Policy, 33(3), 531-557. 

  22. Y. S. Chung. (2008b). A Path Analysis of the Impact of a Micro-Enterprise Support Program on the Participants Increased Income and Independence from Public Assistance, Social Security, 24(4), 89-115. 

  23. J. H. Sung & J. H. Kim. (2009).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icro-Credit Loans for the Low-income Female Heads : The Case of "urgent support cash sos project" of Korean Women Fund, The Korea Social Welfare Research, 21, 73-95. 

  24. Y. Baek. S. E. Cho, K. H. Kim & K. H. Kim. (2010). The Study of the Sustainability and Business Potential of the Self-employment Community Supported by Korean Microcredit Joyful Union, Social Welfare Policy, 37(2), 291-324. 

  25. S. Y. Kim & B. H. Park. (2011). A Study on the Social Values of the Micro-Credit: Focusing on the case study using SROI model. Social Welfare Policy, 38(1), 277-304. 

  26. T. Y. Um. (2014). A Study on Developing a Scale for Emotional Self Sufficiency, Korea Social Policy, 21(4), 81-102. 

  27. E. J. Lee. (2014). Factors Affecting Emotional and Social Self-Sufficiency of Welfare-to-Work Recipients: Focused Social Adaptation Progra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2), 539-548. DOI : 10.14400/JDC.2014.12.2.539 

  28. I. O. Jeon. (2012). Established business start-up support Impact on The youth of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1), 103-114. 

  29. T. Y. Um & J. S. Im. (2014). Study on Self-support performance of Participants of Self-support: Focusing on Participants of Local Self-support Center in Daegu province, Social Welfare Policy, 41(3), 79-105. 

  30. V. Hartarska. (2005). Governance and performance of microfinance institution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and the Newly Independent States, World Development, 33(10), 1627-1643. 

  31. World Bank. (1989). The World Development Report 1989.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