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중증도 분류 역량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Triage Competency Scale for Emergency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8 no.3, 2018년, pp.362 - 374  

문선희 (광주대학교 보건복지교육대학 간호학과) ,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riage competency scale (TCS) for emergency nurses, and to evaluat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Preliminary items were derived based on the attributes and indicators elicited from a concept analysis study on triage competency. Ten experts assessed w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실에서의 중증도 분류는 무엇입니까? 응급실에서의 중증도 분류는 내원하는 모든 환자들을 신속하게 사정한 후, 우선순위에 따라 누가 먼저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를 정하고, 치료받을 수 있는 공간을 배정하는 과정이다[1,2]. 정확한 중증도 분류는 응급실 내원 환자의 안전보장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업무는 대부분 간호사가 맡고 있다.
응급실 간호사가 중증도 분류를 위해 갖추어야 하는 역량 2가지는 무엇입니까? 응급실 간호사가 중증도 분류를 위해 갖추어야 하는 역량은 임상적 판단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임상적 판단(clinical judgment)은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분석·평가·분류하는 사고과정으로, 중증도 분류의 대표적인 역량 중 하나이다[2,8]. 중증도 분류를 위해 중요한 또 다른 역량은 신속한 사정으로, 응급실에서는 내원 환자의 자료가 부족한 상태에서 모든 연령대의 대상자를 신속히 사정하여 정확한 진단과 처치를 해야 하므로 짧은 시간 동안에 효과적으로 병력을 수집하고, 신체검진을 수행하는 과정은 중증도 분류에 중요한 역량이다[1,2,8].
KTAS Committee는 중증도 분류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무엇을 언급하였습니까? 최근 응급실 과밀화가 증가되며 환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판단을 위해 필요한 역량 외에 불확실하고 복잡한 현장 상황에 필요한 역량이 점차 강조되었다. KTAS Committee [7]는 중증도 분류자는 임기응변 능력, 압박 상황에서의 일처리 능력, 자신감, 의사소통, 팀원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응급실은 과밀화의 시점을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에 응급실 간호사는 중환자가 한꺼번에 내원하는 상황 일지라도 팀원 간 협력하여 신속하게 중증도를 분류하고, 원활한 후속 조치가 이루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6-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weet V;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Emergency nursing core curriculum. 7th ed. St. Louis: Elsevier Health Sciences; 2017. p. 23-30. 

  2. Edwards TA. The art of triage. New York: Nova Science Publishers; 2013. p. 7-49. 

  3. Goransson KE, Ehrenberg A, Ehnfors M. Triage in emergency departments: National surve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5;14(9):1067-1074.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5.01191.x 

  4. Park JB, Choi HJ, Kang BS, Kim CS, Kang HG, Lim TH. A nationwide survey of Korea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systems and scales: A first step towards reform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4;25(5):499-508. 

  5. Axley L. Competency: A concept analysis. Nursing Forum. 2008;43(4):214-222. https://doi.org/10.1111/j.1744-6198.2008.00115.x 

  6.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Triage qualifications [Internet]. Des Plaines (IL):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c2011 [cited 2016 Apr 10]. Available from: https://www.ena.org/docs/default-source/resource-library/practice-resources/position-statements/triagequalificationscompetency.pdf?sfvrsna0bbc268_8. 

  7.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Committe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manual [Internet]. Version 1.0. Seoul: KTAS National Working Group; c2014 [cited 2016 Apr 1].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pageIndex1&research_id1351000-201400241&leftMenuLevel160&cond_research_name%EC%A4%91%EC%A6%9D%EB%8F%84+%EB%B6%84%EB%A5%98&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pageUnit10&cond_order3. 

  8. Moon SH, Park YH. Concept analysis of triage competency in emergency nursing. Korean Society of Critical Care Nursing. 2017;10(3):41-52. 

  9. National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Role of the triage nurse [Internet]. Chilliwack (BC): National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c2014 [revised 2011 Nov; cited 2016 Apr 10]. Available from: http://nena.ca/w/wp-content/uploads/2014/11/Role-of-the-Triage-Nurse-2.pdf. 

  10. Cone KJ, Crumpler TP.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instrument to measure decision-making i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nurses [dissertation]. St. Louis (MO): Saint Louis University; 2000. p. 1-129. 

  11. Gardner A, Hase S, Gardner G, Dunn SV, Carryer J. From competence to capability: A study of nurse practitioner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2):250-258.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880.x 

  12.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3 Annual report of Korean emergency medicine [Internet]. Seoul: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Press; c2014 [cited 2016 Feb 1]. Available from: http://www.e-gen.or.kr/nemc/statistics_annual_report.do. 

  13. Rowe BH, Villa-Roel C, Guo X, Bullard MJ, Ospina M, Vandermeer B, et al. The role of triage nurse ordering on mitigating overcrowding in emergency departments: A systematic review.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11;18(12):1349-1357. https://doi.org/10.1111/j.1553-2712.2011.01081.x 

  14.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Los Angeles (CA): Sage Publications Inc.; 2012. p. 73-114. 

  15. Streiner DL, Norman GR, Cairney J. Health measurement scales: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5th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p. 74-250. 

  16. Waltz CF, Jenkins LS. Measurement of nursing outcomes. Volume 1: Measuring nursing performance in practice.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1. p. 33-37. 

  17. Baek MK.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autonomy and clinical decision-making in nursing scale of E.T nurs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5. p. 1-89. 

  18. Tabachnick BG, Fidell LS.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2001. p. 588. 

  19. Munro BH. Statistical methods for health care research. 5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 p. 351-376. 

  20. Tak JK. Psychological testing. 2nd ed. Seoul: Hakjisa; 2007. p. 21. 

  21. Yu JP.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e equation model:Amos 4.0-20.0. Seoul: Hannarae Academy; 2012. p. 276-372. 

  22. Song TM, Kim G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health & welfare research. Seoul: Hannarae Academy; 2012. p. 100-125. 

  23. Jang KS.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p. 1-201. 

  24. Park HA. Theory: Problems and issues in developing measurement scales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Query. 2005;14(1):46-72. 

  25. Kaiser HF.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1974;39(1):31-36. https://doi.org/10.1007/BF02291575 

  26. Reay G, Rankin JA, Then KL. Momentary fitting in a fluid environment: A grounded theory of triage nurse decision making.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2016;26:8-13. https://doi.org/10.1016/j.ienj.2015.09.006 

  27. Watson D. Correcting for acquiescent response bias in the absence of a balanced scale: An application to class consciousness.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1992;21(1):52-88. https://doi.org/10.1177/0049124192021001003 

  28. Swain SD, Weathers D, Niedrich RW. Assessing three sources of misresponse to reversed likert item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008;45(1):116-131. https://doi.org/10.1509/jmkr.45.1.116 

  29. Gosling SD, Vazire S, Srivastava S, John OP. Should we trust web-based studies? A comparative analysis of six preconceptions about internet questionnaires. American Psychologist. 2004;59(2):93-104. https://doi.org/10.1037/0003-066X.59.2.93 

  30. Zimmermann PG, Sweet V. Writing effective test questions to measure triage competency: Tips for making a good triage test.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06;32(1):106-109. https://doi.org/10.1016/j.jen.2005.10.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