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교육 경험에 따른 건강행태, 당뇨병 관리,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Comparision of Health Behaviors, Diabetes Mellitus(DM) 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between DM Groups with and without Diabetic Education Experience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3 no.2, 2018년, pp.85 - 96  

이상화 (선린대학교 간호학부) ,  김현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당뇨병 관리교육 경험유무에 따른 건강행태, 당뇨병 관리 차이를 분석하고, 당뇨병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연구결과, 당뇨병 관리교육 경험군이 비경험군보다 흡연, 음주, 신체활동, 식생활 등에서 적절한 건강행태를 보이는 비율이 높았고, 당뇨병 관리에 있어서도 경험군이 비경험군보다 당뇨병 관리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았다. 당뇨병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침상와병경험, 주관적 스트레스, 우울감 경험, 초등학교이하의 학력, 연령증가는 부정적인 영향을 보였고, 긍정적인 주관적 건강인지, 걷기운동 실천, 중등도 운동 실천, 월간음주, 직업있음, 배우자있음, 높은 주관적 행복감은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아직도 많은 수의 당뇨병 환자들이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당뇨병 환자의 교육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당뇨병 환자들이 스트레스 인지가 높고, 우울감 경험등 정신건강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관리교육내용에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는 교육내용이 포함될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behaviors, DM management and HRQoL among Diabetic patients according to education experience.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Community health Survey(CHS) of 2015. The participants were 22,937 diabetic patients who had education experience or not. Data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한 이차자료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당뇨병 관리교육 경험유무에 따른 건강행태, 당뇨병 관리 차이를 분석하고, 당뇨병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한 이차자료분석연구이다. 연구결과, 당뇨병 관리교육 경험군이 비경험군보다 흡연, 음주, 신체활동, 식생활 등에서 적절한 건강행태를 보이는 비율이 높았고, 당뇨병 관리에 있어서도 경험군이 비경험군보다 당뇨병 관리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았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당뇨병 환자의 당뇨병 관리교육 경험여부에 따른 건강행태, 당뇨병 관리,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를 확인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당뇨병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경구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당뇨병 환자의 교육 참여 비율이 낮게 나온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당뇨환자 중 경구혈당강하제를 복용하는 경우 아직 당뇨병에 대한 인지가 정확하지 않아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당화혈색소인지, 당뇨병 안질환 합병증수검,당뇨병 신장질환 합병증수검의 비율은 경험군이비경험군보다 참여 비율이 높게 나타나 경험군이 당뇨병 관리를 더 잘한다고 볼 수 있었다.
당뇨병 관리에 있어 자가관리 행위는 어떤 어려움을 수반하는가? 6%로 아직 많은 환자들이 당뇨병에 대한 자가 관리가 잘 안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5]. 당뇨병 관리에 있어 자가관리 행위는 대상자의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하고 포괄적이며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그 이행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6], 생활양식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어 이는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당뇨환자들의 삶의 질은 당뇨가 없는 대상자에 비해 삶의 질이 낮으며, 질병관리를 위해 평생동안 조절해야 하는 부담감, 합병증에 대한 두려움, 반복되는 입 퇴원 및 노동력 상실, 경제적 부담 등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7]는 보고가 있다.
건강증진행위는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의 삶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건강증진행위는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을 가진 환자의 삶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인으로 대두되고 있는데, 당뇨환자에게는 적절한 영양섭취, 정기적인 신체 활동, 금연, 금주, 스트레스 관리 등과 같은 건강증진과 관련된 바람직한 생활습관들이 질병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3]. 따라서, 당뇨병의 질환관리를 위해서 자가관리역량은 필수적이며 이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식수준 향상을 위한 교육활동이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8],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교육중재를 하였더니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점수가 증가하였다는 선행 연구결과 보고도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2. Health Insurance Statistics. 2016 

  3. Shin JW, Park YK, Suh SR, Kim J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of Korea: Analysi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8.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1;31(3): 479-487 (Korean) 

  4. Cha JE, Yun SN, The Comparision of Health Behaviors, Use of Health Services, and Health Expenditures among Diabetic Patients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Exercise.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e. 2015;26(1): 31-41 (Korean)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ternet]. Seoul [cited 2017 November 28]. Available from:http://knhanes.cdc.go.kr/knhanes/sub01/sub01_05_02.jsp#s5_01_06 

  6. Lee SH, Kim HL, Structual Equation Modeling on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Diabetes Using Citizen Health Promotion Centers. Journal o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4): 514-525 (Korean) 

  7. Park YS, Lee BH, Kim JS, Yoo JH, Lee JK, Lee MK, The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to metabolic and glycemic control among type 2 diabetes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5;26(12):744-751 (Korean) 

  8. Viera AJ, Jamieson B, How effective are hypertension self-care intervention?. The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07;56(3):229-231 

  9. Baghianimoghadam MH, Afkhami, Baghianimoghadam B, Affiliations. Effect of education o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by SF-20 in type 2 diabetic patiens. Acta Medica Indonesiana. 2009;41(4):175-180 

  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mmunity Health Survey 2015 Raw data use manual. 2017 

  11. Park BH, Oh YJ.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idents in Integrated Changwon City: Using the Data of the 2013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5;26(4): 342-354 (Korean) 

  12. Lee YK, Nam HS, Chuang LH, Kim KY, Yang HK, Kwon IS, et al.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states. Value In Health, 2009; 12(8): 1187-1193 (Korean) 

  13.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Guide Book(SPSS), 2013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3/ sub03_06_02.do 

  14. SPSS Statistics Complex Samples, Datasolutionm, 2016 

  15. Lee JH, Jeon HJ, Kim KA, Nam HW, Woo JT, Ahn KJ. Diabetes Education Recognition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2012;13(4):219-223 (Korean) 

  16. Moon SH, Lee YW, Ham OK, Kim SH.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Diabetes Education on Knowledge, Self-Care Behavior and Glycosylated Hemoglobi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1):81-92 (Korean) 

  17. Hass L, Maryniuk M, Beck J, Cox C, Duker P, Edwards L, et al. National standards for 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and support. Diabetes Care. 2014;35(1):144-153 

  18. Lee HJ, Park KY, Park HS, Kim IJ.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Nursing Counseling and Intensified Walking Exercise on Diabetic Self-care, Coping Strategies, and Glycemic Control among Clients with DM Type I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7):1314-1324 (Korean) 

  19. Song MS, Kim HS. Effects of Diabetes Education and Telephone Counseling on Depression in Patients with Diabet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8;20(3), 481-488 (Korean) 

  20. Jeong YM, Kim MY. Comparative Study on HbA1C, Self-car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by Depression Status in Type II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3):353-362 (Korean) 

  21. Lim Jh, Oh CS. Medical care utilization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3;11(10):609-618 (Korean) 

  22. Lee HJ.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ith Diabetes in Korea :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07-2010 [dissertation]. [Gwanju] : Chosun University. 2013 (Korean) 

  23. Oh HK, Lee EJ. The Influence of Self-care Behaviors, Empowerment and Social Support on Glycosylated Hemoglobin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017;28(2):216-225 (Korean) 

  24. Lee EH, Kim CJ, Cho SY, Chae HJ, Lee SH, Kim EJ. Monitoring the Us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ments in Korean Studies of Patients with Diabetes. Joru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1;41(4):558-567 (Korean) 

  25. Ryu JS, Lee HY, Lee WK, Kim MK, Min JW, Hong YS, et al. The Association of Self-Care Behavior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Outpatients with Diabetes. Korean J Fam Pract. 2014;4:122-130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