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대 보건간호의 역사적 고찰
Historical Review of Modern Public Health Nursing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3 no.2, 2018년, pp.114 - 124  

이봉숙 (한림성심대학교 간호학과) ,  한영란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  양숙자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보건사업의 한 영역인 보건간호의 근대 역사를 6개 시기로 구분하여 고찰하고 보건간호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태동기는 1908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선교사에 의해 보건간호가 시작되었으나 귀국 조치되면서 위축되었다. 기반형성기는 대한민국정부 수립 후 중앙정부조직과 보건관련 법령을 체계화한 시기로 1956년 보건소법 제정으로 보건소의 법적 근거를 확보하였다. 기반조성기에 정부는 가족계획사업을 정책사업으로 수행하였고 기생충질환예방법, 결핵예방법, 모자보건법 등이 제정되면서 보건소 사업이 증가하였다. 의료법 개정으로 업무분야별 간호사 자격이 인정되어 보건간호분야 간호사가 인정되었으며 조산원이 읍면동에 배치되어 임부의 분만 출산을 돕는 등 보건간호가 활성화되었다. 분야별 정비기에는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이 새롭게 영입되고 정신보건센터가 전국적으로 설치되면서 국민건강의 분야별 사업이 정비되었다. 또한 지역보건의료계획을 작성하게 되어 지역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사업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정부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설정하여 이를 보건의료 사업의 목적으로 삼았다. 보건소 기능확대기에는 건강형평성 확보를 위해 전국 차원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실시하였고 도시보건지소와 건강생활지원센터를 설립하여 주민들에게 접근성을 높인 일차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앞으로 보건간호는 우리나라 보건의료전달체계의 특성에 알맞은 보건간호체계의 구상과 설계, 간호 인력에 대한 동기부여, 역할개발과 훈련, 새로운 보건체계와 보건간호서비스에 대한 종합적 평가 등을 통해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n history of public health(PH) and suggest a way forward for PH nursing(PHN). Methods: This paper is a review article that derives results from literature review. Results: In the period of beginning (up to 1944), PHN began as the PH Dep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건간호의 역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의견들이 있지만 본고에서는 보건의료법령의 범위, 서술방식에 따른 다양한 시기적 구분과 관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국가의료정책의 변화에 따른 법령 성격 등을 참고하여 태동기(∼1944),기반형성기(1945∼1961), 기반조성기(1962∼1979), 기반확충기(1980∼1994), 분야별 정비기(1995∼2005), 보건소 기능확대기(2006∼현재)의 시기로 구분하여 그 흐름을 정리하였다[2]. 또한 이러한 고찰에 근거하여 보건간호 및 보건간호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간략한 제안을 하였다.
  • 이에 지역사회보건의 한 영역인 보건간호의 근대역사를, 보건소 사업과 관련하여 고찰하고 다가올 시대를 위해 보건간호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고는 문헌고찰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 종설연구로서 DBpia, RISS, KISS 등 국내 전자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법제처, 보건복지부 등 정부 기관의 사이트에서 보건사업, 지역사회보건사업,보건간호, 지역사회보건간호에 대한 자료를 찾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민간의료가 차지하는 비율은 몇 % 인가? 우리나라는 민간의료가 약 95%를 차지하는 치료위주의 보건의료체계이기 때문에 전 국민의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공공보건의료인 지역사 회보건사업이 매우 중요하다. 지역사회보건사업이 추구하는 목표는 모든 개인과 사회가 함께 건강하게 사는 것인데, UN은 2017년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설정하면서 전 지구적 사회, 경제, 환경 변화를 위한 그리고 세계적 불평등과 부정의를 완화하는 개발협력, 세계적으로 보편적 변화를 촉발시키는 개발협력을 강조하였으며 그 중 상당부분을 빈부격차해소와 이로 인한 삶의 질 격차에 초점을 두어 모두가 건강하게 잘 살 수 있는 세계를 추구하고 있다[1].
근대적 의미의 보건행정 시작은 언제 부터였는가? 근대적 의미의 보건행정은 갑오개혁(1894년)때부터 시작되었다. 조선정부는 1895년 3월 칙령 제 53호에 의해 내무부에 위생국을 설치하여 전염병 예방, 위생검사 등의 공중보건업무를 담당하게 했으며[3] 경무청에 위생경찰에 관한 규정을 두어 경찰로 하여금 전염병 환자를 선별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했다[4].
본 연구 결과 보건간호 및 보건간호사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어떤 제언이 가능했는가? 첫째, 전체 보건의료체계에서 보건간호를 바라보는 거시적 관점이 필요하다. 즉 우리나라 전체보건관리시스템이 공공과 민간에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 안에서 보건간호사가 어떻게 일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재고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민간과 공공의 영역이 명확하게 갈라져 있고 그 역할과 할 일에 차이가 심하여 조화가 안 되는 것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보건간호는 미래보건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공공과 민간을 어떻게 조화하여 융합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건강관리 개념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 기존처럼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 단위로 건강관리를 해야 할 뿐 아니라 글로벌 단위의 건강관리 개념으로 변화·확장해야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보건의료인은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등과 협력해야 생존가능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공지능 발전으로 공공보건의료는 주민들의 각종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하고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통찰력을 길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ang SJ. The role of public health nurses & SDGs.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News 2017;6(122) (Korean). 

  2. Son MS. The State and Medicine in Korea in the 20th Century : Health Care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1999;42(12);1153-1159 (Korean). 

  3. Bae SS, Lee SW, Kim JW, Lee SM. New Approach to strengthening of Local Public Health System: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0, p.130 (Korean). 

  4. Koh MS, Min S, Yom YH, Lee MA. Introduction to nursing, Seoul, Soomoonsa, 2015, pp.290-295 (Korean). 

  5. Yi GM. A Study on Korean nurs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dissertation]. Seoul,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Korean). 

  6. Lee BY. Introduction to Medicine1:Concept and History of Medicin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6 (Korean). 

  7. Shields Esther L. A Source Book of Miss Esther L. Shields(R. N. Florence Nightingale of Korea, Angel of Korea),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2016. pp.554-556 (Korean). 

  8. Yoon Mk. Nursing Missionary Elizabeth J. Shepping's Education and Holistic Care for Korean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6;1(27):60-71 (Korean). 

  9. Yi KM, Kim HJ. The 'Nurses Ordinance' of Korea under Japanese Rule, J. of Korean Community Nurs 1998;9(2):291-302 (Korean) 

  10. Korean Nursing Association. Korean Nursing 100years: 1900-1999, Seoul, Korean Nursing Association, 2011, pp.308-312 (Korean). 

  11. Yi GM, Kim HJ. Missionary Public Health Nursing of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J Korean Community Nurs 1999;10(2): 455-466 (Korean). 

  12. Sin MJ. Lee GM, Kim JM, Ahn SH, Kang YS, Kim MS, Moon HJ. History of Nursing in Korea, Seoul: Korean Nursing Association, 2013, pp.231-233 (Korean).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70 Years of Health and Welfare: From the Age of disease to the Age of Health. Sejeong-s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pp.90-93 (Korean). 

  14. Lee YJ, Introduction of Modern Nursing to Korea[dissertation], Seoul,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0, pp.66-68 (Korean).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omepage: History [Internet] Sejeong-si: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citied 2018 March 2]. Available from:http://www.mohw.go.kr/react/sg/ssg0102mn.jsp?PAR_MENU_ID05&MEN U_ID051104 

  16.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National Medical service Act [Internet]. Sejeong-si: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citied 2018 March 1].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lsSc.do?tabMenuIdtab27&query%EC%9D %98%EB%A3%8C%EB%B2%95#undefined 

  17. Kim EY. A Study on the Nursing Profession as Stipulated by Health & Medical Laws of Korea. J Korean Community Nurs 1997;8(1): 118-132 (Korean).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70 Years of Health and Welfare: A journey beyond poverty and disease. Sejeong-s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p91 (Korean). 

  19.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2011 Healthcare Improvement Activities of Public Health Centers in Rural Areas, Sejeong-s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p21-24.[citied 2018 March 2]. Available from:http://www.kdi.re.kr/research/ subjects_view.jsp?pub_no12851. 

  20. New SH, Evaluation of Nursing Services in 1970's and Issues of Nursing in 1980's: Public Health Nursing Association, The Korean nurse. 1980;19(2):14-17 (Korean). 

  21. Cho SJ, Ch YH, Park IE, Choi HJ, Ahn YH, Kim HG, Jeong YN, Choi HJ, Kim YS, KIm MH, Sim MS. Community health nursing, Seoul: Hyunmosa, 2012, pp57-60. 

  22. Ahn CY, Kim HS, Kim WB, Oh CH, Hong JY, Kim EY, Lee MS, Analysis of vision statement in 6th community health plan of local government in Korea,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7:42(1): 1-12.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leases: Custumized visiting healthcare, Sejeong-s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arch, 29, 2006. [citied 2018 March 30]. Available from: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cENy2rKKiuMJ:www.korea.kr/common/download.do%3FfileId%3D1606930 01%26tblKey%3DGMN+&cd8&hlko&ctcln k&glkr. 

  24. Kim YD. Current Status and Tasks of Integrated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ject, Issues and Point, Seoul: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October 17 2013.[citied 2018 March 3]. Available from:http://www.nars.go.kr/brdView.do?brd_Seq1672&currtPg1&cmsCdCM0018&categoryc3&src&srcTemp&pageSize10. 

  25. Oh YH. 2030 nurse supply and demand estimation and policy direction. Korean Nurse Association Head Meeting. 

  26. Han YR, Yang SJ,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Strategies regarding the Nursing Workforce in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7;31(3):421-435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