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이용 요구 차이를 반영한 학교건축물의 개·보수 계획 - 서울시 학교 화장실 개·보수 사업 시행 사례 -
School Building Remodeling Suggestion Responding to the Different Needs of Users - Case study under 'School Restroom Environment Remodeling Project in Seoul' - 원문보기

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25 no.3, 2018년, pp.13 - 24  

이은주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Yonsei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like other educational spaces in school facilities, restrooms have remained unpleasant spaces without reflecting the change in social awareness and students' lifestyle. In the process of the 'School Restroom Environment Remodeling Project in Seoul' by means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metho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보수 계획안에는 디자인 워크샾에서 수렴된 내용이 일부 포함되어 있으나, 전체 공간을 계획하는 평면 계획은 주로 설문조사 결과를 근거로 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물로 가름했다.
  • 본 연구는 ‘사용자 참여 디자인’ 방법을 적용하여 서울시의 학교 시설물 개보수 사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학교 화장실의 실제 사용자인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서로 다른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분히 이해하고 이들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학교 화장실 계획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사용자 참여디자인’ 방법으로 서울시의 학교시설물 개·보수 사업을 시행하면서 실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교 화장실 계획 방향을 제안했다.
  •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주관한 학교 화장실 개·보수 사업을 사용자 참여디자인 방법으로 진행하면서 전체 절차의 한 단계로 진행한 설문조사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 화장실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화장실 세부 계획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의 화장실에 대한 인식은? 학교시설의 다른 교육 공간과 달리 직접적인 교육 활동에 이용되지 않는 학교의 화장실은 학교에서 생활하는 학생과 교직원을 포함하는 전체 학교 구성원들이 수시로 이용하는 필수적인 공간으로, 개인적인 행위와 공공성이 공존하는 공 간임에도 불구하고 지극히 기능적이며 부수적인 공간으로 인식되어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 학교 내 공간이다. 따라서 사회 전반의 인식과 학생들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채 불편하고 쾌적하지 못한 공간인 채로 남겨져 왔다.
학교의 화장실은 무엇인가? 학교시설의 다른 교육 공간과 달리 직접적인 교육 활동에 이용되지 않는 학교의 화장실은 학교에서 생활하는 학생과 교직원을 포함하는 전체 학교 구성원들이 수시로 이용하는 필수적인 공간으로, 개인적인 행위와 공공성이 공존하는 공 간임에도 불구하고 지극히 기능적이며 부수적인 공간으로 인식되어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 학교 내 공간이다. 따라서 사회 전반의 인식과 학생들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채 불편하고 쾌적하지 못한 공간인 채로 남겨져 왔다.
학교의 화장실의 문제점은? 학교시설의 다른 교육 공간과 달리 직접적인 교육 활동에 이용되지 않는 학교의 화장실은 학교에서 생활하는 학생과 교직원을 포함하는 전체 학교 구성원들이 수시로 이용하는 필수적인 공간으로, 개인적인 행위와 공공성이 공존하는 공 간임에도 불구하고 지극히 기능적이며 부수적인 공간으로 인식되어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는 학교 내 공간이다. 따라서 사회 전반의 인식과 학생들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 채 불편하고 쾌적하지 못한 공간인 채로 남겨져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urns, J, "Citizens take part in the process of urban design' Nations Citizen's Weekly 2, 1979 

  2. Cho, C. H. and Lee, H. R., A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Methology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for School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2(1), pp.3-12, 2015 

  3. Cho, C. H., Oh, H. S. and Lee, H. R., A Study on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Design Indicators to User Participatory Design for School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0(3), pp.3-12, 2013 

  4. Cho, S. W., Oh, S. G. and Yu, P. S., Planning Preference Property of Apartment Housing according to the Participatory Design Method through 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6(5), pp.1-4, 2014 

  5. Henry Sanoff, Principles and Purpose of Participatory Design, Architecture, pp.29-35, 2007 

  6. Henry Sanoff, Principles and Purposes of Participatory Design, Architecture 0709, 2007 

  7. Jung, Eun-Joo, Features and Applications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Tools,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2 

  8. Lee, H. R. and Cho, C. H, A Study on Developing the Design Quality Indicators(DQI) for School Building - Using Delphi Survey Method and 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AHP),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Planning & design, 28(5), pp.69-77, 2012 

  9. Lee, K. H. and An, E. H.,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 of Multi-purpose Spac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rough Utilization of User Participation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17(2), pp.3-12, 2010 

  10. Park, N. Y., Lee, G. H. and Koh, I. L., A Study on Community Participation Design Process for Public Building-Focused on Analyzed Case of Educational Research Fac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1(3), pp.322-337, 2015 

  11. Rha One-Kyoon, Architectural Planning ,Goomibook,, 2008 

  12. Ryu, S. 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Design Indicator for Small Public Build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3(1), pp. 83-92, 2013 

  13. Yoon Hyun-Young, A Study on the Guideline of Toilets Design for Elementary Lowe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2(1), pp.307-317,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