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간호사의 성 고정관념 역할갈등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Gender Stereotype,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ale nurses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3 no.2, 2018년, pp.67 - 81  

이은정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박보현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rol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ology: Data were collected from 169 male hospital nurses from August, 2016 until September. The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role con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의 성 고정관념, 역할갈등, 조직 몰입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의 성 고정관념, 역할갈등, 조직 몰입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여성 중심적인 환경에서 근무하는 남자간호사들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방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남자간호사의 성 고정관념, 역할갈등, 조직 몰입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여성 중심적인 환경에서 근무하는 남자간호 사의 성 고정관념, 역할갈등,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파악 하여 남자간호사가 간호 실무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 고정관념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연령, 병력사항이었고 역할갈등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최종학력과 직위이었다.
  • 특히, 남자간호사의 경우 성 고정관념뿐만 아니라 역할갈등의 문제를 동시에 경험하게 되며 조직몰입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되나 이러한 성 고정관념, 역할갈등, 조직몰입의 세 변수를 포함하여 실시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이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여성중심적인 환경에서 근무하는 남자간호사가 간호 실무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역할갈등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한편, 간호사의 역할갈등은 간호업무를 이행하면서 대상자와 일치되지 않은 기대로 인해 경험하는 갈등을 의미 한다[9]. 남자간호사는 여자간호사에 비해 강한 체력과 남성의 강점이 발휘될 수 있는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등 특수 업무와 전담간호사(Physician Assistant)로 근무하면서 자신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모호성 갈등으로 인한 역할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10].
Allen & Meyer는 조직몰입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남자간호사의 조직몰입은 직무만족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로 보고되고 있다[2]. 특히 Allen & Meyer[13]가 제시한 조직몰입은 하위영역에서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의 세 부분으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남자간호사들의 조직몰입 상태와 의미하는 바를 하위영역별로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되고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의료서비스 영역이 다양해지면서 전통적으로 여성의 직업으로 인식되어 왔던 간호업무에 대한 역할의 인식의 변화는 무엇을 초래하고있는가? 의료서비스 영역이 다양해지면서 전통적으로 여성의 직업으로 인식되어 왔던 간호업무에 대한 역할의 인식이 점차 바뀌고 있다[1].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젊은 층의 취업난, 간호학과의 높은 취업률, 직업선택의 성차별 붕괴, 다양한 의료서비스의 확대 등으로 간호학과에 입학하는 남학생 수가 증가하고 있고[2], 이는 다시 남자간호사 수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1962년에 처음 남자간호사가 배출되고 반세기만에 2005년 남자간호사가 사상 처음으로 1천명을 넘어섰고 이후 남자간호사 배출이 점차 늘어나면서 2015년 8,809명, 2016년에는 전체 남자간호사가 1만명을 돌파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im HJ. Job stress and satisfaction among male nurses in daegu[master's thesis]. Daegu: Yeungnam university;2010. 

  2. Ahn MK, Lee MH, Kim HY, Jeong SH.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le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in 2015;21(2):203-211. 

  3. Chung KS. Male nurse entrance into 2000 people who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s.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2017 Feb 10;Sect. Issue. http://www.nur senews.co.kr/main/eBookView.asp?eBookNum1911&intPage1 

  4. Lee SS. The effects of male nurses of hospital organization culture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focused on the hospital around capital area[master's thesis]. Seoul: Catholic university;2010. 

  5. Lee DJ.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ing students[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2004. 

  6. Kim HS, Lee JS. Turnover experience of male nurses. J Korean Acad Nurs 2017;47(1):25-38. 

  7. Seong JS, Yeom EY.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le nurses perceived by female nurses: An application of Q-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s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572-584. 

  8. Shin JH, Seo MH, Lee MI. Nursing jobs and gender in our age of convergence: research on male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3):287-297. 

  9. Sung MH. A Comparative Study o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Nurses in ICU and Nurses in General Ward. J Korean Acad Nurs Admin 2006;12(1):104-112. 

  10. Son HM, Koh MH, Kim CM, Moon JH, Yi MS. The male nurses' experience of adaptation in clinical setting. J Korean Acad Nurs 2003;33(1):17-25. 

  11. Kim SO. A prediction model on the male nurses' turnover intention[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2016. 

  12. Park HH, Park KS, Yeom YH, Kim KH. Impact of clinical nurses Power and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 Korean Acad Nurs 2006;36(2):244-254. 

  13. Allen, N. & Meyer, J.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1990;63(1): 1-18. 

  14. An ES, Chu SK. Study on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 and job satisfaction. J Korean Acad Nurs Admin 2011;17(1):14-21. 

  15. Lee KJ, Kim MY. Relationship of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ale nurses. Korean J Adult Nurs 2014;26(1):46-57. 

  16. Cho MK, Kim CG, Mo HJ.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job stress on nursing performance of male nurses. J Muscle Jt Health 2015;22(3):195-204. 

  17. Ahn KH, Seo JM, Hwang SK. Content analysis of male hospital nurses' experiences. Korean J Adult Nurs 2009;21(6):652-665. 

  18. Fisher, M. Being a chameleon: Labour processes of male nurses performing body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12):2668-2677. 

  19. Kim DI. editor. Sexualization. Seoul: MoonUm;1991. 

  20. Park EJ. A Comparative Study on the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e and Female Nurse [master's thesis]. Daejeon: Daejeon University;2013. 

  21. Park HS, Ha JH, Lee MH. The Relationship among Gender-Role Identity, Gender Stereotyp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ale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5):2962-2970. 

  22. Lee TS, Kim JM.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role conflict of agricultural extension educator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04;36(4):73-87. 

  23. Kim MS, Park SY. Development of a role conflict scale for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in 1995;25(4):741-750. 

  24. Song BK. The study about male nurses'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master's thesis]. Daejeon: Eulji University;2016. 

  25. Hwang HS. A comparative study on nurses'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s in ICU and general unit[master's thesis]. K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2001. 

  26. Lee JS, Kim JS. Professional role conflict experience of perioperative nurses through nursing performance.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2;20(4):257-266. 

  27. Chung CH, Kang HY. Job stress and fatigue of the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13;13(12):291-298. 

  28. Kim JK. A study of relationships among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general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Admin 2007;13(4):421-430. 

  29. Allen, N. & Meyer, J. Organizational commitment: Evidence of career stage effect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993;26:49-61. 

  30. Moon SJ, Han SS. The Prediction facto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nurse.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09;15(1):72-80. 

  31. McCloskey, J. & McCain, B. Satisfaction, commitment and professionalism of newly employed nurses. Ima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87;19(1):20-24. 

  32. Han S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2001. 

  33. Nan SH, Kim MA. The Study on the gender role identity & sex stereotype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Adult Nurs 2005;17(4):561-572. 

  34. Park JM, Lee SJ. Comparison of gender stereotype between female nursing students and humanities stud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9;20(4):412-420. 

  35. Kim D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tereotypes and authoritarianism.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Culture, Ewha Womans University 1993;63(2-3):45-58. 

  36. Baek JH. A study on the role conflict, competency of nursing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outpatient nurses[master's thesis]. Seoul: Soonchunhyang university;2009. 

  37. Park MH. Managing nurses' role conflict at hospitals.[master's thesis]. CheongJ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2001. 

  38. Sung MH, Oh MO. The Relationship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1;18(1):107-115. 

  39. Ferreira, M. M.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discriminating power of gender. Nursing 

  40. Cho MK, Kim CG. The Relationship among practice environment,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of male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3):177-187. 

  41. Lee JH. Sex-role types and stereotypes of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1. 

  42. Hwang HM. The relationship among gender role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male nurses[master's thesis]. Busan: Dongeui university;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