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첨가제 없이 제작된 나노구조 코발트 산화물 리튬이온 배터리 전극의 전기 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dditive-Free Nanostructured Cobalt Oxide (CoO) Lithium Ion Battery Electrode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1 no.5, 2018년, pp.335 - 340  

김주윤 (홍익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박병남 (홍익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nsition metal oxide materials have attracted widespread attention as Li-ion battery electrode materials owing to their high theoretical capacity and good Li storage capability, in addition to various nanostructured materials. Here, we fabricated a CoO Li-ion battery in which Co nanoparticles (NP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결과는 도전재, 결합재 등 첨가제로 인해 형성되는 수많은 계면에 의한 영향을 제외한 순수한 CoO NPs 배터리의 전기화학적 특성으로 확인된다. 이를 통해 첨가제 없이 형성된 전이금속 산화물 배터리의 전환반응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적 특성을 연구할 수 있는 플랫폼을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구형의 ε-Co NPs에서 형성된 CoO의 다결정상이 구형이라고 가정하여 구의 부피(4/3πr3)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기영동 증착법이란? 코발트 산화물의 배터리 전극으로서의 전기 화학적 성질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일련의 산화반응을 통한 Co3O4 생성의 이전 단계인 CoO 전극의 성질을 확인하기 위해 전기영동 증착법을 사용하였다. 전기영동 증착법은 콜로이달 용액 안의 표면에 전하를 띤 입자들이 강한 전기장에 의해 기판에 끌려가며 증착되는 방법으로 증착 시간이 짧고, 조밀한 막을 형성하며, 다양한 형태의 기판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져 세라믹 후막, 센서, 초전도체, 이차 전지 등 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16]. 전기영동 증착을 이용한 배터리 전극 연구는 도전재와 결합재를 사용하는 슬러리 방식과 달리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아 활물질의 전기화학적 반응의 결과가 그대로 용량 및 사이클 안정성으로 나타난다.
음극소재 대체제 사용되는 전이금속 산화물의 장점은? 위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데 있어서 전이금속 산화물 전극은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전이금속 산화물은 흑연에 비해 높은 이론적 용량(600~1,000mAh/g)을 가지며 실리콘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은 부피 팽창률은 차세대 음극소재로서 다양한 연구를 이끌어 왔다 [1,3,4]. 또한 전이금속 산화물배터리의 전환반응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12,13].
리튬 이온 배터리의 음극으르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은? 전기자동차 배터리로 각광을 받고 있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음극의 경우 흑연의 낮은 이론용량(372 mAh/g)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5-7]. 기존의 리튬 금속 전극을 음극으로 사용할 때 높은 이론 용량(3,860 mAh/g)의 장점이 있지만 리튬의 강한 반응성으로 전해질과의 반응을 통해 충/방전마다 새로운 passivation film이 형성되어 리튬 음극이 소모되거나 표면에서 dendrite가 형성되어 리튬이 전해질로 떨어져 나와 양극과의 접촉이 일어나 배터리 성능 및 안정성 확보에 있어서 다양한 문제들이 보고되어 왔다 [8-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 Armand and J. M. Tarascon, Nature, 451, 652 (2008). [DOI: https://doi.org/10.1038/451652a] 

  2. K. Kang, Y. S. Meng, J. Breger, C. P. Grey, and G. Ceder, Science, 311, 977 (2006). [DOI: https://doi.org/10.1126/science.1122152] 

  3. V. Etacheri, R. Marom, R. Elazari, G. Salitra, and D. Aurbach, Energy Environ. Sci., 4, 3243 (2011). [DOI: https://doi.org/10.1039/C1EE01598B] 

  4. P. Poizot and F. Dolhem, Energy Environ. Sci., 4, 2003 (2011). [DOI: https://doi.org/10.1039/C0EE00731E] 

  5. Y. Chen, Z. Lu, L. Zhou, Y. W. Mai, and H. Huang, Energy Environ. Sci., 5, 7898 (2012). [DOI: https://doi.org/10.1039/ C2EE22085G] 

  6. N. A. Kaskhedikar and J. Maier, Adv. Mater., 21, 2664 (2009). [DOI: https://doi.org/10.1002/adma.200901079] 

  7. Y. S. Hu, P. Adelhelm, B. M. Smarsly, S. Hore, M. Antonietti, and J. Maier, Adv. Funct. Mater., 17, 1873 (2007). [DOI: https:// doi.org/10.1002/adfm.200601152] 

  8. S. S. Zhang, J. Power Sources, 161, 1385 (2006). [DOI: https:// doi.org/10.1016/j.jpowsour.2006.06.040] 

  9. Y. Chen, Z. Lu, L. Zhou, Y. W. Mai, and H. Huang, Nanoscale, 4, 6800 (2012). [DOI: https://doi.org/10.1039/C2NR31557B] 

  10. Y. Idota, T. Kubota, A. Matsufuji, Y. Maekawa, and T. Miyasaka, Science, 276, 1395 (1997). [DOI: https://doi.org/10.1126/science.276.5317.1395] 

  11. L. Q. Sun, M. J. Li, K. Sun, S. H. Yu, R. S. Wang, and H. M. Xie, J. Phys. Chem. C, 116, 14772 (2012). [DOI: https://doi.org/10.1021/jp302265n] 

  12. A. Ponrouch, P. L. Taberna, P. Simon, and M. R. Palacin, Electrochim. Acta, 61, 13 (2012). [DOI: https://doi.org/10.1016/j.electacta.2011.11.029] 

  13. F. Wang, R. Robert, N. A. Chernova, N. Pereira, F. Omenya, F. Badway, X. Hua, M. Ruotolo, R. Zhang, L. Wu, V. Volkov, D. Su, B. Key, M. S. Whittingham, C. P. Grey, G. G. Amatucci, Y. Zhu, and J. Graetz, J. Am. Chem. Soc., 133, 18828 (2011). [DOI: https://doi.org/10.1021/ja206268a] 

  14. Y. M. Kang, M. S. Song, J. H. Kim, H. S. Kim, M. S. Park, J. Y. Lee, H. K. Liu, and S. X. Dou, Electrochim. Acta, 50, 3667 (2005). [DOI: https://doi.org/10.1016/j.electacta.2005.01.012] 

  15. J. Wang, N. Yang, H. Tang, Z. Dong, Q. Jin, M. Yang, D. Kisailus, H. Zhao, Z. Tang, and D. Wang, Angew. Chem., 125, 6545 (2013). [DOI: https://doi.org/10.1002/ange.201301622] 

  16. L. Besra and M. Liu, Prog. Mater. Sci., 52, 1 (2007). [DOI: https://doi.org/10.1016/j.pmatsci.2006.07.001] 

  17. V. F. Puntes, K. M. Krishnan, and A. P. Alivisatos, Science, 291, 2115 (2001). [DOI: https://doi.org/10.1126/science.1058495] 

  18. D. H. Ha, L. M. Moreau, S. Honrao, R. G. Hennig, and R. D. Robinson, J. Phys. Chem. C, 117, 14303 (2013). [DOI: https://doi.org/10.1021/jp402939e] 

  19. M. V. Reddy, G. Prithvi, K. P. Loh, and B.V.R. Chowdari, ACS Appl. Mater. Interfaces, 6, 680 (2013). [DOI: https:// doi.org/10.1021/am4047552] 

  20. P. Verma, P. Maire, and P. Novak, Electrochim. Acta, 55, 6332 (2010). [DOI: https://doi.org/10.1016/j.electacta.2010.05.072] 

  21. F. Cheng, J. Liang, Z. Tao, and J. Chen, Adv. Mat., 23, 1695 (2011). [DOI: https://doi.org/10.1002/adma.201003587] 

  22. G. X. Wang, Y. Chen, K. Konstantinov, M. Lindsay, H. K. Liu, and S. X. Dou, J. Power Sources, 109, 142 (2002). [DOI: https://doi.org/10.1016/S0378-7753(02)00052-6] 

  23. X. W. Lou, D. Deng, J. Y. Lee, J. Feng, and L.?A. Archer, Adv. Mat., 20, 258 (2008). [DOI: https://doi.org/10.1002/ adma.200702412] 

  24. Y. Li, B. Tan, and Y. Wu, Nano lett., 8, 265 (2008). [DOI: https://doi.org/10.1021/nl0725906] 

  25. G. Zhou, D. W. Wang, F. Li, L. Zhang, N. Li, Z. S. Wu, L. Wen, G. Q. Lu, and H. M. Cheng, Chem. Mater., 22, 5306 (2010). [DOI: https://doi.org/10.1021/cm101532x] 

  26. H. J. Liu, S. H. Bo, W. J. Cui, F. Li, C. X. Wang, and Y. Y. Xia, Electrochim. Acta, 53, 6497 (2008). [DOI: https://doi.org/10.1016/j.electacta.2008.04.030] 

  27. P. Poizot, S. Laruelle, S. Grugeon, L. Dupont, and J. M. Tarascon, Nature, 407, 496 (2000). [DOI: https://doi.org/ 10.1038/35035045] 

  28. X. L. Huang, R. Z. Wang, D. Xu, Z. L. Wang, H. G. Wang, J. J. Xu, Z. Wu, Q. C. Liu, Y. Zhang, and X. B. Zhang, Adv. Funct. Mater., 23, 4345 (2013). [DOI: https://doi.org/10.1002/ adfm.2012037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