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Gadus macrocephalus)의 초기 발생시기의 비중변화
Changes in the Specific Gravity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During the Early Life Stage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1 no.3, 2018년, pp.332 - 337  

이화현 (부경대학교 지오메틱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ahlus, lays demersal eggs and the hatching larvae rise toward the surface layer of the ocean to feed. The change in the specific gravity of eggs and larvae was investigated to examine their vertical distribution and movement in the water column. The specific gravitie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4) 연구를 바탕으로 진해만에서 산란하는 대구 알의 발달단계별로 측정된 대구 알의 비중과 산란해역의 해수밀도차이를 파악하여 산란 후 언제까지 해저에 머무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부화한 자어는 빠르게 비중이 감소하여 난황이 있는 상태에서 해양 표층에서 채집된다는(Hurst et al., 2009; Laurel et al., 2010)의 연구를 바탕으로 대구 자어의 비중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관찰하여 산란해역의 바닥에서 부화한 자어가 해양의 표층에 도달하는 시기를 파악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대구의 초기생활사 시기 동안 해양에서의 수직이동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고 대구과의 다른 중요한 어종인 명태 자어의 비중변화와 비교하여 이들의 초기발생시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이 생존전략을 유추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연구된 대구의 알은 주변 해수보다 비중이 높아서 산란해역의 저서에서 부화한다고 한(Hurst et al.,2009; Laurel et al., 2010; Bian et al., 2014) 연구를 바탕으로 진해만에서 산란하는 대구 알의 발달단계별로 측정된 대구 알의 비중과 산란해역의 해수밀도차이를 파악하여 산란 후 언제까지 해저에 머무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부화한 자어는 빠르게 비중이 감소하여 난황이 있는 상태에서 해양 표층에서 채집된다는(Hurst et al.

가설 설정

  • 본 실험에 사용한 2012년과 2013년 2월에 측정된 진해만의 수온과 염분으로 계산한 해수밀도는 1.02612±0.0002 g/cm3(n=4)와1.02663±0.0002 g/cm3(n=7)이었고, 해수밀도 보다 자어의 비중이 낮아지는 부화 5일 후부터 표층수면을 향해 이동하게 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명태와 대구란? 북태평양에는 톰코드(tomcod Microgadus tomcod), 명태(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대구(Pacific cod G.macrocephalus)의 세 종의 대구과(Family Gadidae) 어류가 서식하고, 그 중 명태와 대구는 차가운 물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어종으로 아시아와 북미연안의 대륙붕과 대륙사면에 주로 서식한다(Hart, 1973; fishbase, http://fishbase.org/).
밀도구배수층을 이용한 실험에서 사육수조에서 매번 새로운 개체를 채집한 이유는? 대구 알과 자어는 높은 염분의 밀도구배수층에 오래 머물게 되면 결국 모든 수분을 빼앗기고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시료는 사육수조에서 매번 새로운 개체를 채집하여 비중을 측정하였다. 알의 비중은 하루 두 번(11, 22시), 수정 후 8세포기(수정 후 12시간 후)부터 부화시까지, 각 5립씩 밀도구배수층에 투입 후 30분동안 안정화시킨 후 높이를 측정하였다.
대구 알을 사육하기 위한 항온수조에 수조 아래쪽에서 공기와 해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이용한 이유는? 대구 알을 사육하기 위한 항온수조는 수조 아래쪽에서 공기와 해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가라앉은 알들 사이에 해수가 순환되면서 알이 해수와 함께 계속 움직이게 하여 산소부족으로 인한 알의 사망을 방지하였다. 대구 알과 같이 저층에 가라앉은 상태로 발생하는 생물은 수조 바닥까지 완전히 순환되는 순환시스템을 사용해야 알의 질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ian X, Zhang X, Sakurai Y, Jin X, Gao T, Wan R and Yamamoto J. 2014. Envelope surface ultrastructure and specific gravity of artificially fertilized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eggs. J Fish Biol 84, 403-421. https://doi.org/10.1111/jfb.12292. 

  2.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 Ji Sa Publishing Co., Seoul, Korea, 

  3. Coombs SH. 1981. A density-gradient column for determining the specific gravity of fish egg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eggs of the mackerel Scomber scombrus. Mar Biol 63,101-106. https://doi.org/10.1007/BF00394667. 

  4. Coombs SH, Boyra G, Rueda LD, Uriarte A, Santos M, Conway DVP and Halliday NC. 2004. Buoyancy measurements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eggs of sardine (Sardina pilchardus) and anchovy (Engraulis encrasicolus). Mar Biol 145, 959-970. https://doi.org/10.1007/s00227-004-1389-4. 

  5. Goarant A, Petitgas P and Bourriau P. 2007. Anchovy (Engraulis encrasicolus) egg density measurements in the Bay of Biscay: evidence for the spatial variation in egg density with sea surface salinity. Mar Biol 151, 1907. https://doi.org/10.1007/s00227-007-0624-1. 

  6. Hart JL and Clemens WA. 1973. Pacific fishes of Canada (Bulletin 180). Fisheries Research Board of Canada, Ottawa. Canada. 

  7. Hurst TP, DW Cooper, JS Scheingross, EM Seale, BJ Laurel and ML Spencer. 2009. Effects of ontogeny, temperature, and light on vertical movements of larval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Fish Oceanogr 18, 301-311. https://doi.org/10.1111/j.1365-2419.2009.00512.x. 

  8. Kendall A and S Kim. 1989. Buoyancy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eggs in relation to water properties and movement in Shelikof Strait, Gulf of Alaska, Can J Fish Aquat Sci Spec Pub 108, 169-180. 

  9. Kim S. 1987.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Shelikof Strait, Gulf of Alaska, in relation to oceanographic factor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U.S.A., 221. 

  10. Kim S. 1990. Status of fishery and science of Bering Sea walleye pollock: (I) History and importance of fisheries. Ocean Res 12,117-128. 

  11. Kim S and A Kendall. 1989. Distribution and transport walleye pollock larvae in Shelikof Strait, Gulf of Alaska, in relation to water movement. Rapp P-v Cons int Explor Mer 191, 127-136. 

  12. Laurel BJ, LA Copeman, TP Hurst and CC Parrish. 2010.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lipid/fatty acid synthesis in developing eggs and newly hatched larvae of Pacific cod (Gadus microcephalus). Mar Biol 157, 1713-1724. https://doi.org/10.1007/s00227-010-1445-1. 

  13. Lee JY, CS Lee, WK Kim, SU Park and BH Min. 2007.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on egg developments, hatching and larval growth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J Aquaculture 20, 260-264. 

  14. Li Z, J Yamamoto and Y Sakurai. 2015. Vertical position, specific gravity and swimming ability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yolk-sac larvae reared at four temperatures. Fish Sci 81, 883-889. https://doi.org/10.1007/s12562-015-0911-6. 

  15. Miller B and Kendall AW. 2009. Early life history of marine fish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U.S.A. 

  16. Nishiyama, T, Hirano K and Haryu T. 1986, The early life history and feeding habits of larval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Pallas) in the southeast Bering Sea. INPFC Bull 45,177-277. 

  17. Petereit C, Hinrichsen HH, Voss R, Kraus G, Freese M and Clemmesen C. 2009. The influence of different salinity conditions on egg buoyancy and development and yolk sac larval survival and morphometric traits of Baltic Sea sprat (Sprattus sprattus balticus Schneider). Sci Mar 73, 59-72. https://doi.org/10.3989/scimar.2009.73s1059. 

  18. Saborido-Rey F, OS Kjesbu and A Thorsen. 2003. Buoyancy of Atlantic cod larvae in relation to developmental stage and maternal influences. J Plank Res 25, 291-307. https://doi.org/10.1093/plankt/25.3.291. 

  19. Seo YS, Park ME, Kim JG and Lee U. 2007. Egg development and juvenile growth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Korean East Sea population). Korean J Fish Aquat Sci 40, 380-386. https://dio.org/10.5657/kfas.2007.40.6.380. 

  20. Sundby S. 1997. Turbulence and ichthyoplankton: influence on vertical distributions and encounter rates. Sci Mar 61: 159-176. 

  21. Woolley LD and JG Qin. 2013. Ontogeny of body density and the swimbladder in yellowtail kingfish Seriola lalandi larvae. J Fish Bio 82, 658-670. https://doi.org/10.1111/jfb.120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