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과예비교사의 수업경험을 통한 비판적 반성에 관한 탐구
Exploration of Critical Reflection through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 Experience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6 no.3, 2018년, pp.301 - 315  

양지선 (이화여자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critical reflection process experienced by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during practicum. Data were collected in a critical analysis of class, practicum review, and journals written by sixteen preservice teachers. Text material were composed of 188 transcripts on A4 pa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성’의 의미는 세 흐름으로 나눌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세 흐름은 무엇인가? 80년대 이후 교사교육 분야에서 교사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용어로 사용되어온 ‘반성’의 의미는 세 흐름으로 나눌 수 있는데 Dewey, Schön, 비판이론에 기초한 Habermas의 반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먼저 Dewey (1933)에게 있어 반성적 사고는 문제해결을 위한 가설을 세우고 실증적인 근거를 탐색해나가는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사고과정이다. Schön (1987)은 교사로서 실천가의 실천 속에서 얻어지며 실천적 지식과 실천행위의 경험으로 이뤄질 수 있는 직관적인 인식에 기초한 성찰이자 반성으로 보았다. Dewey와 Schön이 문제해결과 전문적 수행에 필요한 사고로써 반성을 강조한다면 Habermas (1973b)는 이러한 사고는 가치체계의 형성을 기술적 합리성의 상황으로 보고 상호주관적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상황을 경험으로 받아들이는 한계를 가진다고 하였다. 이러한 Habermas의 반성은 비판적 이성에 기초하여 교사가 이론적 소비자가 아니라 자신의 삶에서 주체적인 행위자로서 전문성을 개발해 나가야함을 의미한다. 
교사는 어떠한 경험을 통해성장해 나가는가? 교사는 이론의 지식을 습득하고 교육의 실제적 맥락성이 숨 쉬는 현장에서 교육적 경험을 통해 성장해 나간다. 최근 교사의 자기주도적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수업을 보다 교실상황에 맞게 변형시키는 수업설계에서부터 스스로의 수업을 성찰하고 변화시켜나가는 수업비평, 수업실천과 수업 관찰에 대한 새로운 안목을 바탕으로 단위 학교를 변화시키는 학습 공동체 구성 등 교사의 자기학습을 신장하는 대안적 교사교육이 부상하고 있다.
반성적 교사가 되기 위해서 Schön은 어떻게 해야한다고 제시하였는가? 이러한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교사의 성장과 전문성 발달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반성적인 숙고과정이 주목받아 왔으며 교사의 성장과정은 발달적 위계를 가지고 있어 수준을 고려하여 발달시킬 필요가 있다는 측면이 여러 연구(Jo, Kwak, & Jin, 2008; Park, Han, & Lee, 2008)에 의해 제기되었다. Schön (1983)은 반성적 교사가 되기 위해서 이론적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길러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처한 맥락 속에서 자신의 경험과 체험적 지식에 대한 비판과 이해를 통해 함양된다고 하였다. 이는 교사가 자신의 수업행위에 대해 지속적으로 성찰적 실천을 함으로써 성찰과정을 통해 상황을 재해석하고 재구성하는 능력과 같은 자질을 개선해나가고 성장해나간다고 보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rookfield, S. (2009). The concept of critical reflection: promises and contradictions. European Journal of Social Work, 12(3), 293-304. https://doi.org/10.1080/13691450902945215 

  2. Chae, J. H., & Yoo, T. M. (2006).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1), 31-47. 

  3. Chung, A. R., Maeng, S. H., Lee, S. K., & Kim, C. J. (2007).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reas of practice concern and reflections on the science classes in student-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9), 893-906. 

  4. Chung, Y. K. (2007). The meanings of ‘reflection' in the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2(2), 165-188. 

  5. Connerton, P. (1976). Critical sociology: selected readings. Harmondsworth: Penguin. 

  6. Dewey, J. (1933). How We Think. Lexington: D. C. Heath & Company. 

  7. Erdman, J. I. (1983). Assessing the purpose of early field experience program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4(4), 27-31. 

  8. Habermas, J. (1973a). Knowledge and human interests. London:Heinemann. 

  9. Habermas, J. (1973b). Theory and Practice. (Y. G. Hong, & J. W. Lee, Trans.). Seoul: Jongno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1963). 

  10. Han, J., & Chae, J. H. (2016). Experiences of the teachers in the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clas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4(4), 351-364. https://doi.org/10.6115/fer.2016.027 

  11. Hatton, N., & Smith, D. (1995).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towards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Teaching & Teacher Education, 11(1), 33-49. https://doi.org/10.1016/0742-051X(94)00012-U 

  12. Jin, H. R., & Yoo, T. M. (2014). Narrative inquiry on student teacher searching for identity as a teacher.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1), 81-99. 

  13. Jin, Y. S., Park, T. H., & Shin, H. J. (2014). Elements and models of classroom observations for class critique. Journal of Cheong 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50, 63-98. 

  14. Jo, D. J., Kwak, D. J., & Jin, S. U. (2008). Student teachers' journal writing about their field experien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level of their reflective thinking.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6(1), 231-259. 

  15. Kant, I. (1971). Kritik der reinen Vernunft. Hamburg: Felix Meiner Verlag. 

  16. Killion, J., & Todnem, G. (1991). A process for personal theory building. Educational Leadership, 48(6), 14-16. 

  17. Kim, S. H. (2009a). A research on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classroom instruc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2), 101-121. 

  18. Kim, S. H. (2009b). A study on perspective of instruction based on responses of teacher to elementary social studies instruction. Social Studies Education, 48(3), 75-91. 

  19. Lee, D. S. (2015). The Life History Research. Paju: Academy press. 

  20. Lee, G. S., & Yoo, T. M. (2016). An action research for reflective practice of home economics teacher throug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tivit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4(4), 365-384. https://doi.org/10.6115/fer.2016.028 

  21. Lee, H. K., Shim, Y. T., & Lee, K. H. (2003). A narrative inquiry on prospectiv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at a elementary school. Anthropology of Education, 6(1), 141-196. 

  22. Lee, S. Y. (2016). A considera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critical reflection": based on Heidegger's fundamentalontologie. Social Studies Education, 55(1), 25-40. 

  23. Lee, Y. J., & Im, S. M. (2011).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bout scientific experiment in experimental journal writing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2), 198-209. 

  24. Lim, H. J., & Kang, C. Y. (2010). A case of reflection on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monitoring on teaching.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4(2), 21-38. 

  25. Mezirow, J. (1991). Transformative dimensions of adult learning. San Francisco: Jossey-Bass. 

  26. Miller, A. V. (1996). Hegel's science of logic. New York: Humanities Press. 

  27. Oh, Y. B. (2013). Investigation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through a instructional consultation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6(2), 45-70. 

  28. Oh, Y. B. (2016). A case study on instructional method of elementary teachers for learning motivatio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9(1), 71-97. 

  29. Park, M. H., Lee, J. S., Lee, G. H., & Song, J. W. (2007). Conceptual definition and types of reflective thinking on science teaching: focus on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1), 70-83. 

  30. Park, S. R., Han, S. H., & Lee, M. J. (2008). Re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trend for the reflection on teach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8(2), 403-422. 

  31. Rho, J. H. (1998). The place of reflective thinking in Dewey's theory of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19, 145-164. 

  32. Sch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33. Schon, D. A.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 Francisco: Jossey-Bass. 

  34. Sparks-Langer, G. M., Simmons, J. M., Pasch, M., Colton, A., & Starko, A. (1990). Reflective pedagogical thinking: how can we promote it and measure it?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5), 23-32. 

  35. Su, J. Z. (1992). Source of influence in preservice teacher socialization.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18(3), 239-259. https://doi.org/10.1080/0260747920180303 

  36. Van Manen, M. (1977). Linking ways of knowing with ways of being practical. Curriculum Inquiry, 6(3), 205-228. https://doi.org/10.1080/03626784.1977.11075533 

  37. Yang, C. H., Lee, J. H., & Noh, T. H. (2014). The characteristics of lesson planning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2), 187-195.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87 

  38. Yu, N. S., & Chae, J. H. (2009). Home economics teachers' reflection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home economics education (H-PCK).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2), 83-10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