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정서적 상태, 소셜 미디어 이용 그리고 남한생활 만족도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Their Emotional States, Social Media Use, and Life Satisfaction

정보화 정책 = Informatization policy, v.25 no.2 = no.95, 2018년, pp.67 - 83  

민희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적 발전 및 안녕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을 분석한다. 기존 연구에서 소셜 미디어는 사회적 심리적 자원이 결여된 개인이 사회적 연결망을 확장하고자 할 때 효과적인 수단으로 논의되어 왔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소셜 미디어 이용에 주목한다. 우리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은 폐쇄적인 사회 연결망을 가진 것으로 인식된다. 이들은 사회구조적인 요인으로 인해 새로운 커뮤니티를 만들거나 그 속에서 관계를 확장하고자 하는 것에 소극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특히 정서적 상태에 따른 소셜 미디어 이용이 남한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효과는 정서적으로 취약한 조건일 때 더욱 크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자아존중감이 낮거나 불안감 수준이 높을 때 남한생활 만족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더욱 클 것이라고 본다. 또한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동일한 분석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북한이탈주민의 경우와 비교한다. 분석 결과 다소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되었다. 북한이탈주민은 불안감이 강한 사람이 약한 사람에 비해 남한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크지만 자아존중감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남한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how social media influences individual's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Social media is discussed as an effective tool when individuals lacking social and psychological resources are trying to expand their social networks.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al media use of North K...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 미디어가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카카오톡 등과 같은 소셜 미디어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친분이 없는 사람과도 쉽게 교류하고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김유정·조수선, 2012: 민희·윤성이, 2015; 홍일유 외, 2014). 나아가 온라인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들은 정서적 유대감 혹은 소속감을 느끼게 되고 이는 곧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나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Bargh & Mckenna, 2004; Bargh, et al., 2002; 금희조, 2011; 김명아, 2007).
사회적인 의미에서 적응의 의미는? 사회적인 의미에서 적응(Adaptation)은 한 개인이 다양한 상황이나 조건과 잘 어울리는 상태 및 과정을 의미한다(윤인진, 2007: 116). 보다 구체적으로 사회 적응은 개인이 소속된 환경에서 내·외적 자원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을 유지해가는 능력이다(Berry & Sam, 1997; 조춘범·한기주, 2017; 이금순 외, 2003).
소셜 미디어가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때는 언제인가?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학자들은 소셜 미디어가 개인의 사회적 발전(Social Development) 이나 심리적 안녕(Psychological Well-being)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특히, 이들은 사회적·심리적 자원이 결여된 개인이 사회적 지지 혹은 사회적 연결망을 확장하고자 할 때 소셜 미디어가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카카오톡 등과 같은 소셜 미디어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친분이 없는 사람과도 쉽게 교류하고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김유정·조수선, 2012: 민희·윤성이, 2015; 홍일유 외,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강태영.황유선.강경미 (2011). "북한이탈청소년들의 남한 텔레비전 시청 행위와 사회 적응." 한국언론학보, 55(6): 82-102. 

  2. 권미옥.이경탁 (2015). "온라인 네트워크 이용이 사회자본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대한경영학회지, 28(5): 1485-1503. 

  3. 금희조 (2011). "소셜 미디어 이용과 다문화에 대한 관용." 한국언론학보, 55(4): 162-186. 

  4. 김명아 (2007). "사이버 공간의 사회자본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정보사회와 미디어, 11: 25-59. 

  5. 김성경 (2011). "북한이탈주민 일상연구와 이주연구 패러다임 신고찰." 아태연구, 18(3): 1-21. 

  6. 김수암.김화순.민태은.박주화 (2016). 민주주의 및 시장경제에 대한 탈북민 인식조사. 서울: 통일연구원. 

  7. 김영순 (2014). "인천 논현동 북한이탈주민 공동체의 경계짓기와 경계 넘기." 로컬리티 인문학, 12: 121-154. 

  8. 김유정.조수선 (2012). "미디어 영역에서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정보화정책, 19(4): 3-26. 

  9. 김주삼 (2004). "북한 이주민 정착지원제도 개선방안." 통일전략, 4(2): 165-191. 

  10. 김창권 (2007). "북한이탈주민의 남한노동시장에서의 취업결정요인 연구." 경상논총, 25(2): 15-39. 

  11. 남북하나재단 (2017). 2016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조사. 서울: 남북하나재단. 

  12. 남북하나재단 (2018). 2017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조사. 서울: 남북하나재단. 

  13. 남북하나재단 (2018). 2017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조사. 서울: 남북하나재단. 

  14. 민희.윤성이 (2015). "온라인 정치참여: 국내.외 연구동향." 정보화정책, 22(2): 3-18. 

  15. 박노일.정지연.한정호. (2011). "주한(駐韓) 이주노동자의 미디어 이용이 직장만족도와 한국 인식 및 한국재입국 의지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젠더 & 문화, 18: 41-71. 

  16. 박미석.이종남 (1999). "탈북가족의 남한사회 적응 시 겪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대처방안." 통일논총 17: 3-73. 

  17. 박상욱 (2017). "최근 5년간 입북 $\rightarrow$ 재탈북 5명..국내 거주탈북자 886명은 소재 불명." 중앙일보 9월 19일. 

  18. 박윤숙 (2006).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박윤숙.윤인진 (2007). "탈북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과의 관계." 한국사회학, 41(1): 124-155. 

  20. 배임호.양영은 (2010).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사회복지연구, 41(4): 189-224. 

  21. 손상희.정진화.김정은.박종옥 (2014).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소비생활적응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45(3): 329-357. 

  22. 엄태완 (2016). "이주민으로서의 북한이탈주민 경험 연구."한국사회복지행정학, 18(1): 165-198. 

  23. 염유식, 김여진 (2011).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연결망 형성과 유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사회학, 45(2): 91-129. 

  24. 윤인진 (2000). "탈북과 사회 적응의 통합적 이해: 국내탈북자를 중심으로." 현대북한연구, 3(2): 123-184. 

  25. 윤인진 (2007). "북한이주민의 사회적응 실태와 정착 지원방안." 아세아연구, 50(2): 106-143. 

  26. 유시연 (2001).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유시은.엄진섭.윤덕룡.전우택 (2008). "북한이탈주민의 소득수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일정책연구, 17(2): 117-153. 

  28. 유지웅 (2007).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 통일문제연구, 19(1): 145-175. 

  29. 유현욱.홍혜영 (2015). "중학생의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4): 977-999. 

  30. 이금순.강신창.김병로.김수암.안혜영.오승렬.최의철 (2003). 북한이탈주민 적응실태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협동연구총서. 

  31. 이기영 (2002).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13(1): 175-224. 

  32. 이재민.황선영 (2008).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33(6): 61-84. 

  33. 이하나.양승목 (2017). "SNS 이용자 집단 구분과 예측 변인들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31(2): 5-40. 

  34. 임인숙.윤인진 (2008). "북한 이주민의 성 역할 태도와 부부권력의 변화와 지속." 가족과 문화, 20: 99-126. 

  35. 전대성.김동욱.라니 헤이겐 (2017). "모바일 기기를 통한 사회적 관계 서비스 이용이 개인의 정서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0(2): 65-88. 

  36. 전영평 (2010). 한국의 소수자 정책: 담론과 사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7. 정병호 (2004). "탈북 이주민들의 환상과 부적응: 남한사회의 인식혼란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10(1): 33-62. 

  38. 정병호 (2014). "냉전 정치와 북한 이주민의 침투성 초국가 전략."현대북한연구, 17(1): 49-100. 

  39. 정진화.손상희.이주관 (2013).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교육훈련과 취업." 통일정책연구, 22(1): 267-296. 

  40. 조춘범.한기주 (2017). "북한이탈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남한사회 적응정도의 차이와 남한사회 적응실태: 경기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11(1):271-292. 

  41. 최정호.박선미 (2013). "북한이탈주민 거주지 분포의 특성과 영향 요인-경기도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3): 71-85. 

  42. 최정화 (2016). 북한이탈청년들의 정체성 변화와 적응전략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3.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2017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나주: 한국인터넷진흥원. 

  44.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16.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45. 홍일유.강동원.조휘형 (2014). 사회적 및 개인적 선행요인들이 SNS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화정책, 21(1): 57-76. 

  46. Ball-Rokeach, S. J. & DeFleur, M. L. (1976).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Communication research, 3(1): 3-21. 

  47. Ball-Rokeach, Sandra J. & William E. Loges (1996). "Making choices: Media roles in the construction of value-choices." In C. Seligman, J. M. Olson & M. P. Zanna (Eds.), The psychology of values: The Ontario symposium, 277-298. Mahwah, New Jersey: Erlbaum. 

  48. Bargh, John A. & Katelyn YA McKenna (2004). "The Internet and social lif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5: 573-590. 

  49. Bargh, J. A., McKenna, K. Y. & Fitzsimons, G. M. (2002)."Can you see the real me? Activation and expression of the'true self'on the Internet." Journal of social issues, 58(1): 33-48. 

  50. Baumeister, Roy F., Dianne M. Tice & Debra G. Hutton (1989).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s and personality differences in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57(3): 547-579. 

  51. Berry, John W. & David L. Sam (1997).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Handbook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2): 291-326. 

  52. Caidi, Nadia. & Danielle Allard (2005). "Social inclusion of newcomers to Canada: An information problem?." Library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7(3): 302-324. 

  53. Ellison, N. B., Steinfield, C. & Lampe, C. (2007).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2(4): 1143-1168. 

  54. Gao, Ge & William B. Gudykunst (1990). "Uncertainty, anxiety, and adap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4(3): 301-317. 

  55. Gross, James J. (2002). "Emotion regulation: Affective, cognitive, and social consequences." Psychophysiology, 39(3): 281-291. 

  56. Haythornthwaite, C. (2005). "Social networks and Internet connectivity effects." Information, Community & Society, 8(2): 125-147. 

  57. Jeffres, Leo W., Jean Dobos & Mary Sweeney (1987). "Communication and commitment to community." Communication Research, 14(6): 619-643. 

  58. Joinson, A. N. (2004). "Self-esteem, interpersonal risk, and preference for e-mail to face-to-face communication." CyberPsychology &Behavior, 7(4): 472-478. 

  59. Kraut, R., Kiesler, S., Boneva, B., Cummings, J., Helgeson, V. & Crawford, A. (2002). Internet paradox revisited. Journal of social issues, 58(1), 49-74. 

  60. Moon, S., Kim, J. & McLeod, D. (2003). "The impact of mass media on the acculturation of Korean immigrants in Americ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61. Moon, S. & Park C. Y. (2007). "Media effects on acculturation and biculturalism: A case study of Korean immigrants in Los Angeles' Koreatown." Mass Communication & Society, 10(3): 319-343. 

  62. McCord, B., Rodebaugh, T. L. & Levinson, C. A. (2014). Facebook: Social uses and anxiet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4: 23-27. 

  63. Oh, H. J., Ozkaya, E. & LaRose, R. (2014). "How does online social networking enhance life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s among online supportive interaction, affect, perceived social support, sense of community, and life satisfac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0: 69-78. 

  64. O'leary, Ann (1990). "Stress, emotion, and human immune function." Psychological bulletin , 108(3): 363-382. 

  65. Rosenberg, Morris (1989).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Middletown, CT: Wesleyan University Press. 

  66. Rothenbuhler, E. W., Muller, L. J., DeLaurell, R. & Ryu, C. R. (1996). "Communication, community attachment, and involvement."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3: 445-466. 

  67. Shim, H. J. & Hwang, Y. S.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blogging service and social capital among the early adopters of Twitte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4(5): 327-347. 

  68. Steinfield, C., Ellison, N. B. & Lampe, C. (2008). "Social capital, self-esteem, and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9(6): 434-445. 

  69. Valkenburg, Patti M. & Jochen Peter (2009). "Social consequences of the Internet for adolescents: A decade of research."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8(1): 1-5. 

  70. Weidman, A. C., Fernandez, K. C., Levinson, C. A., Augustine, A. A., Larsen, R. J. & Rodebaugh, T. L. (2012). "Compensatory internet use among individuals higher in social anxiety and its implications for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3(3): 191-1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