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울장애 환자에서 육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 시 심박변이도의 변화
Change of Heart Rate Variability in Depressive Disorder after Physical or Psychological Stress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5 no.1, 2018년, pp.15 - 20  

이종화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유재학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유승호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하지현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전홍준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두흠 (건국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본 연구는 우울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안정 시와 기립 시기, 정신적 스트레스 시기에 심박변이도 지수(heart rate variability index, HRV index) 검사를 시행하여 자율신경계 불균형이 육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에서 어떻게 변화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우울장애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안정 시기, 기립 시기, 정신적 스트레스 자극을 준 시기동 안 각각 심박변이도 지수를 측정하였다. 긴장 정도와 스트레스 정도에 대해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로 측정하였고,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I, II (STAI-I, II)를 사용하여 불안증상과 우울증상 의 심각도를 평가하였다. 통계적 검증은 안정 시기와 기립 시기, 안정 시기와 정신적 스트레스 시기 간의 각각의 자율신경계 관련 지수 변화를 보기 위해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성별 차이를 보기 위해 ANCOVA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안정 시기와 비교하여 기립 시기에서 SDNN, LF/ HF의 유의한 증가(p < 0.01) 및 NN50(p < 0.05), pNN50(p < 0.01)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안정 시기와 비교하여 스트레스 시기에서 SDNN (p < 0.01), RMSSD (p < 0.05)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기립 시기와 비교하여 스트레스 시기에 SDNN, NN50, pNN50 지수가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 론: 기립 시기만 안정 시기와 비교하여 자율신경계 불균형과 관련된 LF/HF ratio의 유의한 상승을 보였으나, 정신적 스트레스와 안정 시기, 두 스트레스 간 LF/HF ratio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정신적 스트레스에 비해서 기립시기에서 SDNN, NN50 및 pNN50의 유의 한 증가하였다는 것은 우울증 환자들이 정신적 스트레스에 비해 신체적 스트레스에 보다 좀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제시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change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at resting, upright, and psychological stress states in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Methods: HRV was measured at resting, upright, and psychological stress states in 62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We used 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울장애 환자에서 육체적 스트레스와 정신적 스트레스 시 심박변이도 지수의 변화를 동시에 비교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로 두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정도를 비교하는 것은 우울장애 환자에서 향후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 예측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울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안정 시기, 기립 시기와 정신적 스트레스 시기 각각의 심박변이도 지수와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를 비교하여 육체적 스트레스와 정신적 스트레스 시기의 자율신경계 변화와 VAS score가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흔히 사용되는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심박변이도 지수(heart rate variability index, HRV index)가 있다. 심박수가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라 특정 범주 내외로 지속적으로 변동하는데, 이러한 시간에 따른 심박동의 주기적인 변화를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라고 한다.
심박변이도란?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심박변이도 지수(heart rate variability index, HRV index)가 있다. 심박수가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라 특정 범주 내외로 지속적으로 변동하는데, 이러한 시간에 따른 심박동의 주기적인 변화를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라고 한다. 심박변이는 일반적으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에 의해 조절 되므로 심박변이도는 전반적인 자율신경계의 활동과 연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Camm 등 1996).
심박변이도의 분석방법 중 시간 영역 분석법의 주의점은 무엇인가? NN50은 연속된 NN 간격들의 변이가 50 ms보다 큰 경우의 수이며, pNN50은 모든 NN 간격 중의 NN50의 비율로 두 지표 모두 RMSSD와 함께 부교감 신경의 활성도를 반영한다(Camm 등 1996 ; Kleiger 등 1992). 시간 영역 분석법에서는 심박변이도를 측정하는 시간의 길이가 매우 중요한데, 측정 시간이 길어질수록 SDNN 등의 주요 변수들의 수치가 커지므로 서로 측정치를 비교할 때에는 같은 시간 길이만큼 측정한 자료를 비교해야 한다(Saul 등 198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telmi I, de Paula RS, Shinzato AR, Peres CA, Mansur AJ, Grupi CJ. Influence of age, gender, body mass index, and functional capacity on heart rate variability in a cohort of subjects without heart disease. Am J Cardiol 2004;93:381-385. 

  2. Akselrod S, Gordon D, Ubel FA, Shannon DC, Berger AC, Cohen RJ.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fluctuation: a quantitative probe of beat-to-beat cardiovascular control. Science 1981;213:220-222. 

  3. Burke HM, Davis MC, Otte C, Mohr DC. Depression and cortisol responses to psychological stress: a meta-analysis. Psychoneuroendocrinology 2005;30:846-856. 

  4. Camm AJ, Malik M, Bigger JT, Kleiger RE, Malliani A, Moss AJ, et al. Heart rate variability. Standards of measurement, physiological interpretation, and clinical use. Task Forc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and the North American Society of Pacing and Electrophysiology. Eur Heart J 1996;17:354-381. 

  5. Carney RM, Freedland KE, Veith RC. Depressi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coronary heart disease. Psychosom Med 2005;67(suppl 1):S29-S33 

  6. Carnethon MR, Liao D, Evans GW, Cascio WE, Chambless LE, Heiss G. Correlates of the shift in heart rate variability with an active postural change in a healthy population sample: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Am Heart J 2002;143:808-813. 

  7. Cho MK, Park DH, Yu JH, Ryu SH, Ha JH. The change of heart rate variability in anxiety disorder after given physical or psychological stress. Sleep Med and Psychophysiol 2014;21:69-73. 

  8. Ewing DJ, Martin CN, Young RJ, Clarke BF. The value of cardiovascular autonomic function tests: 10 years experience in diabetes. Diabetic Care 1985;8:491-498. 

  9. Young FL, Leicht AS. Short-term stability of resting heart rate variability: influence of position and gender. Appl Physiol Nutr Metab 2011;36:210-218. 

  10. Frasure-Smith N, Lesperance F, Talajic M. Depression and 18-month prognosi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determine predictive variables. JAMA 1993;279:1819-1861. 

  11. Kleiger RE, Miller JP, Bigger JT Jr, Moss AJ. Decreased heart rate variability and its association with increased mortality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 J Cardiol 1987;59:256-262. 

  12. Kleiger RE, Stein PK, Bosner MS, Rottman JN. Time domain measurements of heart rate variability. Cardiology Clinics 1992;10:487. 

  13. Krittayaphong R, Cascio WE, Light KC, Sheffield D, Golden RN, Finkel JB, et al. Heart rate variability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differences in patients with higher and lower depression scores. Psychosom Med 1997; 59231-59235. 

  14. Malliani A, Pagani M, Lombardi F, Cerutti S. Cardiovascular neural regulation explored in the frequency domain. Circulation 1991;84:482-492. 

  15. Montano N, Ruscone TG, Porta A, Lombardi F, Pagani M, Malliani A.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to assess the changes in sympathovagal balance during graded orthostatic tilt. Circulation 1994;90:1826-1831. 

  16. Nahshoni E, Aravot D, Aizenberg D, Sigler M, Zalsman G, Strasberg B, et al. Heart rate variability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Psychosomatics 2004;45:129-134. 

  17. Wolf MM, Varigos GA, Hunt D, Sloman JG. Sinus arrhythmia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Med J Australia 1978;2:52-53 

  18. Saul JP, Albrecht P, Berger RD, Cohen RJ. Analysis of long term heart rate variability: methods, 1/f scaling and implications. Comput Cardiol 1988;419-422. 

  19. Rechlin T. Decreased parameters of HR variation in amitriptyline treated patients: Low parameters in melancholic depression than in neurotic depression-a biological marker? Biol Psychiatry 1994;36:705-707. 

  20. Yeragani VK, Pohl R, Balon R, Ramesh C, Clitz D, Jung I, et al. Heart rate variability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Psychiatry Res 1991;37:35-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