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토계획과 환경계획 통합관리 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Indicators for Integrated Management on Korea National Planning and Environmental Planning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1 no.3, 2018년, pp.27 - 45  

허한결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성현찬 (Environmental GIS) ,  이동근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허민주 (Department Ecosystem Science and Management) ,  박진한 (Texas A&M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th the national land plan and the environmental plan reflect the need for sustainable land use and management. However, the linkage between the plans is reduced due to the lack of integrated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indicators to achieve integrated management. A total of 59 en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합적이고 공간적 계획을 제시하는 국토교통부의 계획이 부문적이고 정량적인 지표를 제시하고 있는 환경부의 계획내용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이하 ‘국토계획과 환경계획 통합관리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 이러한 측면에서 국토기본법 제5조(환경친화적 국토관리)와 환경정책기본법 제4조(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에 국토계획과 환경계획연계에 대한 조항을 신설함으로써 국토교통부와 환경부의 계획내용을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항은 선언적인 규정으로 실질적 계획의 연계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의 개발과 적용이 미흡하였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7).
  •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해 환경부의 계획 목표가 국토교통부의 계획에 반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의 계획이 환경부의 계획내용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환경부의 계획내의 목표는 국토교통부의 공간적 계획내용에 반영되지 않을 경우 목표의 달성이 어려운 계획이 많으며, 이와 같은 환경계획의 목표달성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들이 도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계획 중 국토교통부와 환경부는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토교통부의 계획은 종합계획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며, 환경부의 계획은 부문계획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세부 계획내용에서 국토교통부의 계획은 공간적 계획을 주로 다루고 있으며, 환경부의 계획은 환경개선을 위한 정량적 수치가 포함된 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속가능한 국토의 발전을 위해 국토교통부의 공간적 계획내용에는 환경개선을 위한 환경부의 계획내용이 반영되어야 한다.
국토교통부 계획에서 환경부 계획의 고려 필요성이 높은 분야는? 이는 환경부의 계획이 특정 분야에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분야의 경우 공간적 계획 내용에 반영 필요성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즉, 자연․생태, 대기 분야는 국토교통부 계획의 환경부 계획 고려 필요성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다.
지속가능한 국토이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국가에서 시행한 것은 무엇인가? 1992년 리우회의, 2002년 요하네스버그의 지속가능발전 세계정상회의 이후 지속가능한 국토이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속가능기본법을 제정하였으며, 국토교통부와 환경부에서는 지속가능한 국토의 관리와 이용을 목표로 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제4차 국토종합계획에서 지속가능한 친환경국토를 국토형성의 기본목표 중 하나로 제시하고 있으며(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 환경부는 제4차 국가환경종합계획에서는 국격에 걸맞는 지속가능환경을 계획의 목표 중 하나로 제시하고(Ministry of Environment, 2016e),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Ministry of Environment, 2016c)을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 D.H. and Bae, M.K. 2004. A Study on the Decision of Priority Ranking of Environmental Policy Implementation Based on Importance-Achievement Analysi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9(4): 129-145.(In Korean) 

  2. Choi, S.Y.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and indicators for green growth city. Ph.D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153-177.(In Korean) 

  3. Kang, S.M. and Kim, M. S. 2000. Environmental Indices and Development of Index System.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30: 21-49.(In Korean) 

  4. Kim, M.J.?Choi, D.I.?Chang, C.K. and Lee, J.W. 1993. Public environment index develop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 : 31-38.(In Korean) 

  5. Lee, D.K. and Youn, S.W. 1998. A study on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Sustainable City Development -The case of Coexistent Indicators between Men and Na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7(1) : 93-107.(In Korean) 

  6.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Comprehensive measures for water quality maintenance of groundwater.(In Korean) 

  7.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Urban Environmental Indicators.(In Korean) 

  8.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Urban Renewal Business Landscape Guidelines.(In Korean) 

  9.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Basic Plan for Soil Conservation.(In Korean)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11a. Basic Plans for Water Reuse.(In Korean)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1b. Master Plan for Protection of Wildlife.(In Korean)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1c. Resource Circulation Basic Plan.(In Korean)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3a. Master Plan for Wetland Conservation.(In Korean)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13b. Mid-Term Comprehensive Plan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In Korean)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management and improvement plan.(In Korean)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Basic Plan for Improvement of Air Quality in Seoul Metropolitan Area.(In Korean)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6a. Basic Plan for Management of Water Environment.(In Korean)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6b. Basic Plan for Natural Environment.(In Korean) 

  19. Ministry of Environment. 2016c. Basic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In Korean) 

  20. Ministry of Environment. 2016d. Comprehensive Plan for Environmental Health.(In Korean)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16e. Comprehensive Plan for National Environment.(In Korean)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16f. Comprehensive Plans for Clean Air Conservation.(In Korean)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16g.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In Korean) 

  24.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A study on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development-environmental plan linkage system.(In Korean) 

  2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1. Comprehensive Plan for National Land.(In Korean) 

  2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A Study on Strengthen Linkage Between Korea National Planning and Environmental Planning.(In Korean) 

  2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3.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reen city index for urban environmental management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35. (In Korean) 

  28. OECD. 2001. OECD environmental indicators. 

  29. UNCSD. 2001. United Nations, Indica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Guidelines and Methodologies, Second Edition, UN Sales Publication No. E.01.II.A.6. New York 

  30. Yun, H.D..Park, J.Y..Choi, T.B. Choi.I.T., Noh T.H..Han, B.H. and Kim, M.J.2015. A Review on Applicability of Sustainable City Index - Focusing on GCI, EPI and CBI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4(6) : 593-606.(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