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중트랩으로 채집된 논 수서생물 군집의 지역 및 시기별 특성

Region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Aquatic Organism Communities in Rice Paddy Fields, using Submerged Funnel Trap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6 no.2, 2018년, pp.99 - 106  

윤성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김명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어진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권순익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남형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송영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에 주로 논 수서생물의 채집을 위해 사용된 방형구법과 뜰채법은 높은 노동력을 요구했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모니터링이 어려웠다. 이 연구는 논 수서생물을 보다 신속하게 채집할 수 있는 수중트랩을 사용하여 지역 및 시기별 논 수서생물의 군집 조성을 확인하였다. 수중트랩은 논을 대표하는 수서생물 중 환경 변화를 지표하거나 수조류의 먹이가 되는 이동성이 높은 종이 포함된 분류군을 채집하는 데 유용했다. 사과우렁이과 (Ampullariidae), 미꾸라지과 (Cobitidae), 물벌레과 (Corixidae), 물방개과 (Dytiscidae), 물땡땡이과 (Hydrophilidae), 물달팽이과 (Lymnaeidae) 등 15개 분류군은 논 수서생물 군집 조성을 결정했다. 주요 분류군 중 환경 교란에 강한 깔다구과 만이 논 수서생물 군집의 시기 변화를 대표했다. 인위적인 영향에 민감한 사과우렁이과, 물땡땡이과 그리고 물방개과는 지역별로 분포가 상이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ensive monitoring of aquatic organisms in rice paddy fields has been difficult due to laborious sampling methods such as quadrat sampling using a hand ne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emporal and regional community compositions of aquatic organisms collected with a less time-consuming sampling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짧은 수행 시간과 적은 노동력으로 수서생물을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는 수중트랩(Yoon et al. 2017)을 사용하여 채집한 논 수서생물의 군집 조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시기별, 지역별 논 수서 생물 군집의 조성을 결정하는 분류군을 확인하고자 한다.
  • 기존에 주로 논 수서생물의 채집을 위해 사용된 방형구법과 뜰채법은 높은 노동력을 요구했기 때문에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모니터링이 어려웠다. 이 연구는 논 수서생물을 보다 신속하게 채집할 수 있는 수중트랩을 사용하여 지역 및 시기별 논 수서생물의 군집 조성을 확인하였다. 수중트랩은 논을 대표하는 수서생물 중 환경 변화를 지표하거나 수조류의 먹이가 되는 이동성이 높은 종이 포함된 분류군을 채집하는 데 유용했다.
  • 2017)을 사용하여 채집한 논 수서생물의 군집 조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시기별, 지역별 논 수서 생물 군집의 조성을 결정하는 분류군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derson MJ, KE Ellingsen and BH McArdle. 2006. Multivariate dispersion as a measure of beta diversity. Ecol. Lett. 9:683-693. 

  2. Bambaradeniya CN, JP Edirisinghe, DN De Silva, CV Gunatilleke, KB Ranawana and S Wijekoon. 2004. Biodiversity associated with an irrigated rice agro-ecosystem in Sri Lanka. Biodivers. Conserv. 13:1715-1753. 

  3. Burghelea CI, DG Zaharescu, PS Hooda and A Palanca-Soler. 2011. Predatory aquatic beetles, suitable trace elements bioindicators. J. Environ. Monit. 13:1308-1315. 

  4. Choe LJ, MS Han, M Kim, KJ Cho, KK Kang, YE Na and MH Kim. 2013. Characteristics communities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irrigation ponds, within paddy field. Korean J. Environ. Agric. 32:304-314. 

  5. Choe LJ, KJ Cho, MS Han, MK Kim, SK Choi, HS Bang, J Eo, YE Na and MH Kim. 2016. Benthic macroinvertebrate biodiversity improved with irrigation ponds linked to a rice paddy field. Entomol. Res. 46:70-79. 

  6. Dalzochio MS, R Baldin, C Stenert and L Maltchik. 2016. Can organic and conventional agricultural systems affect wetland macroinvertebrate taxa in rice fields? Basic Appl. Ecol. 17:220-229. 

  7. Fujioka M, SD Lee, M Kurechi and H Yoshida. 2010. Bird use of rice fields in Korea and Japan. Waterbirds 33:8-29. 

  8. Han MS, HK Nam, KK Kang, M Kim, YE Na, HR Kim and MH Kim. 2013. Characteristics of benthic invertebrat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addy field. Korean J. Environ. Agric. 32:17-23. 

  9. Han MS, HS Bang, MH Kim, KK Kang, MP Jung and DB Lee. 2010.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scavenger beetles (Hydrophilidae) in Korean paddy field. Korean J. Environ. Agric. 29:427-433. 

  10. Han MS, MH Ki, HS Bang, YE Na, DB Lee and KK Kang. 2011.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diving beetles (Dytiscidae) in Korean paddy ecosystem. Korean J. Environ. Agric. 30:209-215. 

  11. Han MS, YE Na, HS Bang, MH Kim, KK Kang, HK Hong, JT Lee and BG Ko. 2008. Aquatic invertebrates in paddy ecosystem of Korea. pp. 1-416.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Suwon, Korea. 

  12. Han MS, YE Na, HS Bang, MH Kim, MK Kim, KA Roh and JT Lee. 2007. The fauna of aquatic invertebrates in paddy field. Korean J. Environ. Agric. 26:267-273. 

  13. Helgen JC. 2002. Methods for evaluating wetland condition: developing an invertebrat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for wetland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14. Kang HK and K Chung. 2010. A comparison of samplers for aquatic macroinvertebrate in rice paddies: aquatic net, quadrat and core. Korean J. Appl. Entomol. 49:313-324. 

  15. Kim JO, SH Lee and KS Jang. 2011. Efforts to Improve Biodiversity in Paddy Field Ecosystem of South Korea. Reintroduction 1:25-30. 

  16. Kim MH, MS Han, HK Na, KK Kang and M Kim. 2012. Geological distribution of aquatic invertebrates living in paddy fields of South Korea. Korean J. Soil Sci. Fertil. 45:1136-1142. 

  17. Kumar A, MB Colton, M Springer and FA Trama. 2013.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as bioindicators of water quality in conventional and organic irrigated rice fields in Guanacaste, Costa Rica. Ecol. Indic. 29:68-78. 

  18. Lee DK and YS Cho. 2004. Effect of organic rice farming on the seasonal occurrence of aquatic animals and predation efficacy of the muddy loach against mosquitoes in rice field. pp. 233-250. In Ecological Issues in a Changing World: Status, response and strategy (Hong SK, JA Lee, BS Ihm, A Arina, Y Son, ES Kim and JC Choe e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19. Legendre P and MJ Anderson. 1999. Distance-based redundancy analysis: testing multispecies responses in multifactorial ecological experiments. Ecol. Monogr. 69:1-24. 

  20. Leitao S, P Pinto, T Pereira and MF Brito. 2007.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wo farmed Mediterranean rice fields. Aquat. Ecol. 41:373-386. 

  21. Melo S, C Stenert, MS Dalzochio and L Maltchik. 2015. Development of a multimetric index based on aquat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to assess water quality of rice fields in southern Brazil. Hydrobiologia 742:1-4.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action plan 2017. p. 41, 247. 

  23. Murkin HR, PG Abbott and JA Kadlec. 1983. A comparison of activity traps and sweep nets for sampling nektonic invertebrates in wetlands. Freshw. Invertebr. Biol. 2:99-106. 

  24. Oksanen J, FG Blanchet, R Kindt, P Legendre, PR Minchin, RB O'Hara, GL Simpson, P Solymos, MHH Stevens and H Wagner. 2017. Vegan: Community Ecology Package. R package. version 2.4-4. 

  25. Pohlert T. 2017. The pairwise multiple comparison of mean tanks package (PMCMR). R package. version 4.1. 

  26. R Development Core Team. 2017.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http://r-project.org. 

  27. Roh G, A Borzee and Y Jang. 2014.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treefrog, Hyla suweonensis, in relation to sympatric H. Japonica. Ecol. Inform. 24:78-84. 

  28. Son JK, NC Kim, MH Kim and B Kang. 2012.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ccording to growth environment at rural palustrine wetland. J. Korea Soc. Environ. Restor. Technol. 15:129-144. 

  29. Statistics Korea. 2016. Agricultural area survey.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87. 

  30. Verberk WC and H Esselink. 2005. Aggregation of water beetles: mechanisms of dispersal. Proc. Exper. Appl. Entomol. 16:51-61. 

  31. Wilson AL, RJ Watts and MM Stevens. 2008. Effects of different management regimes on aquatic macroinvertebrate diversity in Australian rice fields. Ecol. Res. 23:565-572. 

  32. Yoon IB. 1995. Aquatic insects of Korea. Junghaengsa, Seoul, Korea. 

  33. Yoon S, MH Kim, SK Choi, J Eo, SI Kwon and YJ Song. 2017. The development of a sampling instrument for aquatic organisms in rice paddy fields: submerged funnel traps with attractants. Korean J. Environ. Biol. 35:640-6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