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정보탐색 유형별 인지된 정보유용성 분석: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 관련 정보탐색을 중심으로
The Association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earch and eHealth Literacy with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Analysi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8 no.2, 2018년, pp.119 - 127  

심민선 (인하대학교 언론정보학과) ,  조희숙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료관리학교실) ,  정수미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료관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1) the pattern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earch with respect to seeking and scanning, and (2) how online search, along with eHealth literacy, predicts perceived information usefulness in the context of diet and weight control. Methods: Online survey was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에 대한 온라인 건강정보탐색 행위를 추구와 노출로 구분하여 각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 관련 온라인 건강정보추구 및 노출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들을 살펴보고, 특히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능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셋째, 소비자들이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 및 노출의 결과로 획득한 정보의 유용성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인지된 정보유용성에 정보탐색 정도와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에 대한 온라인 건강정보탐색행태를 이해하고 탐색유형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에 대한 온라인 건강정보탐색 행태를 이해하고 탐색 유형별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발견내용을 요악하고 그 함의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두 번째 목표는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 관련 온라인 건강정보추구 및 노출의 선행요인들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온라인 정보추구와 노출의 평균값이 개별 인구통계학적 속성 및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능력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확인하였다(Table 1)1).
  • 본 연구의 마지막 목표는 소비자들이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 관련 온라인 건강정보탐색의 결과로 획득한 정보의 유용성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인지된 정보유용성에 정보탐색 정도와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응답자들이 인지하는 온라인 정보추구의 유용성(0.
  • 둘째,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 관련 온라인 건강정보추구 및 노출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들을 살펴보고, 특히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능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셋째, 소비자들이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 및 노출의 결과로 획득한 정보의 유용성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인지된 정보유용성에 정보탐색 정도와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에 대한 온라인 건강정보탐색 행위를 추구와 노출로 구분하여 각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다이어트 및 체중조절 관련 온라인 건강정보추구 및 노출에 영향을 주는 선행요인들을 살펴보고, 특히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능력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추구는 무엇인가? 온라인 건강정보탐색을 연구함에 있어서 더 정교한 개념정리를 위하여 ‘정보추구(seeking)’와 ‘정보노출(scanning)’ 행위를 구분할 수 있다[15,16]. ‘정보추구’는 정보원을 선택하여 본인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의도적·능동적으로 얻고자 하는 행위를 의미하며[17], comprehensive model of information seeking [17]을 포함한 여러 이론 및 모델을 통해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18]. 이와 구분해서 ‘정보노출’은 일상생활에서 의도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미디어와 대인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정보를 얻는 행위를 지칭한다[19].
정보노출 관련 연구가 점차 활발해지는 이유는? 이와 구분해서 ‘정보노출’은 일상생활에서 의도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미디어와 대인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정보를 얻는 행위를 지칭한다[19]. 정보노출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제기된 개념이나 일반시민이 정보에 노출되는 빈도나 그로 인한 영향이 증가하고 있어 점차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20], 정보추구와는 별개로 구분될 수 있는 행동임이 여러 선행연구에서 입증되었다[15,16,19,21].
정보추구와 노출의 구분법이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건강정보탐색 양상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이유는? 정보추구와 노출의 구분법은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건강정보탐색 양상을 연구함에 있어서도 유용하다[22].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에서 능동적·적극적으로 본인이 필요로 하는 건강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으나, 온라인에 다른 용도로 접속한 도중에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특정 건강정보를 보거나 읽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건강정보를 제대로 찾거나 보는지, 얻은 정보를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지, 또한 얻은 정보를 실생활의 건강문제에 적용해서 해결할 수 있는지, 즉 개인이 인지하는 인터넷 건강정보이해능력 혹은 eHealth 리터러시(eHealth literacy)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23,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Yang J. In the age of smart media, news/information content is preferred [Internet]. Seoul: Center for media research at Korea Press Foundation; 2015 [cited 2017 Dec 10]. Available from: https://www.kpf.or.kr/synap/skin/doc.html?fn1432186150.pdf&rs/synap/result/uploadDir/C002. 

  2. Park S, Lee S. Exploring categories of health information users on the basis of illness attitude and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the Internet. Korean J Journal Commun Stud 2011;55(4):105-133. 

  3.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2015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Internet]. Seoul: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2015 [cited 2017 Dec 27]. Available from: https://isis.kisa.or.kr/board/index.jsp?pageId060100&bbsId7&itemId813&pageIndex1Ko. 

  4. Fox S, Duggan M. Health online 2013 [Internet]. Washington (DC): Pew Internet and American Life Project; 2013 [cited 2017 Dec 1]. Available from: http://www.pewinternet.org/files/old-media//Files/Reports/PIP_HealthOnline.pdf. 

  5. Park JH, Lee JS, Jang H, Kim Y. Factors affecting consumer's [corrected] usage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4):241-248. DOI: https://doi.org/10.3961/jpmph.2008.41.4.241. 

  6. Lee JC. Emerging currents in health and medicine: a socio-cultural critique of their discourses and practices.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0;10(4):1-19. 

  7. Cline RJ, Haynes KM.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eking on the Internet: the state of the art. Health Educ Res 2001;16(6):671-692. DOI: https://doi.org/10.1093/her/16.6.671. 

  8. Shim JL, Son YJ. Factors influencing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in middle-aged community-dwelling. Korean J Health Promot 2017;17(1):38-46. DOI: https://doi.org/10.15384/kjhp.2017.17.1.38. 

  9. Bhuyan SS, Lu N, Chandak A, Kim H, Wyant D, Bhatt J, et al. Use of mobile health applications for health-seeking behavior among US adults. J Med Syst 2016;40(6):153. DOI: https://doi.org/10.1007/s10916-016-0492-7. 

  10. Koo S, Cho J, Ahn E, Cho S, Park HY. Use of health information among older adults: trust and source of health information by gender and region. Health Soc Welf Rev 2016;36(2):454-479. 

  11. Li J, Theng YL, Foo S. Predictors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Changes between 2002 and 2012. Health Informatics J 2016;22(4):804-814. DOI: https://doi.org/10.1177/1460458215595851. 

  12. Lee AR, Yoo H, Chun MS, Cho EM.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mong persons with cancer disease.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4;31(5):1-11. DOI: http://dx.doi.org/10.14367/kjhep.2014.31.5.1. 

  13. Lee YJ, Boden-Albala B, Jia H, Wilcox A, Bakken S. The association between online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s and health behaviors among Hispanics in New York City: a community-based cross-sectional study. J Med Internet Res 2015;17(11):e261. DOI: https://doi.org/10.2196/jmir.4368. 

  14. Kim J, Jung M. Associations between media use and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n vaccinations in South Korea. BMC Public Health 2017;17(1):700. DOI: https://doi.org/10.1186/s12889-017-4721-x. 

  15. Shim M, Kelly B, Hornik R. Cancer information scanning and seeking behavior is associated with knowledge, lifestyle choices, and screening. J Health Commun 2006;11 Suppl 1:157-172. DOI: https://doi.org/10.1080/10810730600637475. 

  16. Hornik R, Parvanta S, Mello S, Freres D, Kelly B, Schwartz JS. Effects of scanning (routine health information exposure) on cancer screening and prevention behaviors in the general population. J Health Commun 2013;18(12):1422-1435. DOI: https://doi.org/10.1080/10810730.2013.798381. 

  17. Johnson JD. Cancer-related information seeking. Cresskill (NJ): Hampton Press; 1997. 

  18. Wang MP, Viswanath K, Lam TH, Wang X, Chan SS.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nformation seeking among Chinese adults in Hong Kong. PLoS One 2013;8(8):e73049. DOI: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73049. 

  19. Niederdeppe J, Hornik RC, Kelly BJ, Frosch DL, Romantan A, Stevens RS, et al. Examining the dimensions of cancer-related information seeking and scanning behavior. Health Commun 2007;22(2):153-167. DOI: https://doi.org/10.1080/10410230701454189. 

  20. Lewis N. Information seeking and scanning.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dia Effect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2017. DOI: htps://doi.org/10.1002/9781118783764.wbieme0156. 

  21. Jensen JD, Liu M, Carcioppolo N, John KK, Krakow M, Sun Y.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d scanning among US adults aged 50-75 years: testing a key postulate of the information overload model. Health Informatics J 2017;23(2):96-108. DOI: https://doi.org/10.1177/1460458215627290. 

  22. Park KH. Research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media and online cancer information quality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15 [cited 2017 Dec 2]. Available from: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TRKO201600000951. 

  23. Park DJ, Kwon MS, Choi JH. The influence of health information orientation, attitude of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nd e-Health literacy on personal health behaviors. J Public Relat Res 2013;17(3):379-413. DOI: https://doi.org/10.15814/jpr.2013.17.3.379. 

  24. Kim SH, Son YJ. Relationships between e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ults. Comput Inform Nurs 2017;35(2):84-90. DOI: https://doi.org/10.1097/CIN.0000000000000255. 

  25. Glenton C, Paulsen EJ, Oxman AD. Portals to Wonderland: health portals lead to confusing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health care. BMC Med Inform Decis Mak 2005;5:7. DOI: https://doi.org/10.1186/1472-6947-5-7. 

  26. Kim HJ, Lee SS. Relations of advertising regulations and consumer damages: focusing on weight-loss food advertisements on the Internet. Fam Environ Res 2016;54(1):27-43. DOI: https://doi.org/10.6115/fer.2016.003. 

  27. Norman CD, Skinner HA. eHealth literacy: essential skills for consumer health in a networked world. J Med Internet Res 2006;8(2):e9. DOI: https://doi.org/10.2196/jmir.8.2.e9. 

  28. Ruppel EK. Scanning health information sources: applying and extending the comprehensive model of information seeking. J Health Commun 2016;21(2):208-216. DOI: https://doi.org/10.1080/10810730.2015.1058438. 

  29. Diviani N, van den Putte B, Giani S, van Weert JC. Low health literacy and evaluation of online health informa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J Med Internet Res 2015;17(5):e112. DOI: https://doi.org/10.2196/jmir.4018. 

  30. Chae Y, Lee S.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and perceived risk on consumer satisfaction in medical service consumer.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10;20(3):138-156.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0.20.3.138. 

  31. Jung TY, Jung KT, Kim YM.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for medical institutions of spine patients and searching outcomes.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13;23(3):266-280.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3.23.3.266. 

  32. Jiang S, Street RL. Pathway linking Internet health information seeking to better health: a moderated mediation study. Health Commun 2017;32(8):1024-1031. DOI: https://doi.org/10.1080/10410236.2016.1196514. 

  33. Jackson DN, Chou WS, Coa KI, Oh A, Hesse B. Implications of social media use on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engagement: data from HINTS 4 cycle 3. Transl Behav Med 2016;6(4):566-576. DOI: https://doi.org/10.1007/s13142-016-0437-1. 

  34. Gibson L, Tan AS, Freres D, Lewis N, Martinez L, Hornik RC. Nonmedical information seeking amid conflicting health information: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on prostate cancer screening. Health Commun 2016;31(4):417-424. DOI: https://doi.org/10.1080/10410236.2014.963786. 

  35. Chung YC, Lee KJ. Self-regulation of a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2;12(2):92-114. DOI: https://doi.org/10.4332/kjhpa.2002.12.2.0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