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의 건강결정요인 비교분석
Determinants of Health in Korea: A Comparative Analysis among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untries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8 no.2, 2018년, pp.128 - 137  

박명배 (배재대학교 실버보건학과) ,  문지영 (강원대학교병원 예방의학과) ,  김진리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  남은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utiliz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data to identify macroscopic determinants of health at national level and to utilize it in health policy development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with Korea. Methods: The potential years of life 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개별 OECD 국가들의 특성을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어떠한 건강결정요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기여를 하였는지를 파악하고, 한국인 건강결정요인의 특성을 찾는 데 있다.
  • 이번 연구는 국내·외 연구들을 참고하여 국가를 단위로 하는 거시적 건강결정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 이번 연구는 이러한 제한점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특성을 반영한 건강결정요인을 찾는 데 주요한 목적을 두었다. 이전까지 이러한 모델을 통해 한국을 중심으로 하는 계량적 분석의 연구가 이루어진 적은 없었기 때문에 이번의 연구결과를 이전의 다른 연구들과 비교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론드 모델이란 무엇인가? 이를 규명하기 위한 노력은 꾸준히 계속되어 오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을 건강의 결정요인(determinants of health)이라고 부른다. 1974년 당시 캐나다의 보건장관 라론드(Lalonde)에 의해 보고된 건강의 장(health field report)에서는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생물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생활습관, 보건의료서비스의 4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이후 라론드 모델은 건강결정요인의 대표적인 모델로 전 세계적으로 알려지고 있다[4]. 이 중에서, 태어나면서 결정되는 생물학적 요인을 제외한 환경적 요인, 생활습관, 보건의료서비스 등 태어나 생활하는 동안의 모든 조건을 사회적 건강결정요인(social determinants of health)이라고 부른다[5].
전 세계적으로 시행하는 국가 보건정책의 국가별 특징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에서는 이러한 건강결정요인모형에 근거하여 국가 보건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미국의 Healthy People 2020에서는 사회적 요인, 보건서비스, 생활습관, 생물학적 요인과 더불어 정책(policy making)을 추가하여 5가지 영역에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으며[7], 일본의 Healthy Japan 21에서는 금연, 절주, 신체활동, 영양의 생활습관과 건강한 사회적 환경, 주요 질병별 접근에 정부의 역할(government steering)을 추가하였다[8,9]. 우리나라의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20)에서는 건강생활실천 확산(건강행동), 예방 중심 상병관리(보건의료서비스 제공체계), 안전환경보건(사회·물리적 환경), 인구집단 및 취약계층 건강관리(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의 4가지  영역으로 사업과제를 분류하여 보건정책을 수립하고 있다[10].
국민건강 향상을 위한 국가의 의무가 명시된 법률은 무엇이 있는가? 또한 MDGs 이후의 새로운 의제인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의 3번째 목표(SDGs 3)로 건강과 웰빙(health and well-being)을 통한 건강보호, 증진을 강조하고 있다[3]. 우리나라도 헌법 제34조, 제35조, 제36조에 국민의 건강해질 권리를 규정하고 있으며, 보건의료기본법, 건강증진법 등을 제정하여 국민건강 향상을 위한 국가의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health observatory data repository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cited 2018 Jan 8].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gho/data/view.main.690g?langen. 

  2. UNdata. Infant mortality rate, for both sexes combined [Internet]. New York (NY):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2017 [cited 2018 Jan 8]. Available from: http://data.un.org/Data.aspx?dPopDiv&fvariableID%3A77. 

  3. Nam EW. Health 2015: from MDGs to SDGs. Seoul: Gyechuk Munhwasa; 2016. 

  4. Hancock T. Lalonde and beyond: looking back at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Health Promot 1986;1(1):93-100. DOI: https://doi.org/10.1093/heapro/1.1.93. 

  5. Wilkinson RG, Marmot MG.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 solid facts. 2nd ed. Copenhagen: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03. 

  6.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cited 2018 Jan 8]. Available from: http://www.who.int/social_determinants/thecommission/en/. 

  7.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ealthy People 2020 Group. Healthy People 2020. Washington (DC): Office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0. 

  8. Sakurai H. Healthy Japan 21. Japan Med Assoc J 2003;46(2):47-49. 

  9. Nam EW, Cho EJ, Nam JJ. Comparative study on the health promotion policy in Korea and Japan.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04;21(3):19-33.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Plan 2020.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11. Park MB.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n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untries: implication for Korea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6. 

  12. Yang SA. Comparison of imputation methods for incomplete longitudinal data. J Korean Educ 2009;36(1):165-190. 

  13. Jung YH. Measuring years of life lost due to premature death in Korea: toward estimating the burden of diseases. Health Welf Policy Forum 2011;(181):66-75. 

  14. Hamer G. Solid waste treatment and disposal: effects on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safety. Biotechnol Adv 2003;22(1-2):71-79. DOI: https://doi.org/10.1016/j.biotechadv.2003.08.007. 

  15. Singh D, Kumar A, Kumar K, Singh B, Mina U, Singh BB, et al. Statistical modeling of O(3), NOx, CO, PM(2.5), VOCs and noise levels in commercial complex and associated health risk assessment in an academic institution. Sci Total Environ 2016;572:586-594. DOI: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16.08.086. 

  16. Siervo M, Montagnese C, Mathers JC, Soroka KR, Stephan BC, Wells JC. Sugar consumption and global prevalence of obesity and hypertension: an ecological analysis. Public Health Nutr 2014;17(3):587-596. DOI: https://doi.org/10.1017/S1368980013000141. 

  17. Or Z. Determinants of health outcomes in industrialised countries: a pooled, cross-country, time-series analysis. OECD Econ Stud 2000;(30):53-78. 

  18. Statistics Korea. Tobacco consumption per capita (OECD)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7 Sep 29].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C05_OECD#. 

  19. Jung YH, Go SJ, Kim EJ, Oh HI. Comparative studies for composite index of tobacco control policy.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2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ealth behavior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ited 2018 Jan 8].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1/sub01_05.do. 

  21. Choi YJ, Bae SI, Lee YH, Kang M. Analysis of health promotion determinants in major OECD countries: a pooled cross-sectional time series.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9;19(4):33-52. DOI: https://doi.org/10.4332/KJHPA.2009.19.4.033. 

  22. Jeong AS, Lee KS, Shin H. The determinants of health outcome between two health care financing systems.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7;17(4):31-53. DOI: https://doi.org/10.4332/kjhpa.2007.17.4.031. 

  2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ealth status [Internet].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ited 2017 Dec 26]. Available from: http://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HEALTH_STAT.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ited 2018 Jan 8].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1/sub01_05.jsp#s5_02_01. 

  26. Boseley S. Most countries get more calories from alcohol than soft drinks: study. The Guardian [Internet]. 2016 Oct 17 [cited 2017 Oct 16]. Available from: https://www.theguardian.com/society/2016/oct/17/brits-calories-alcohol-sugary-drinks. 

  27. Eckel RH, Jakicic JM, Ard JD, de Jesus JM, Houston Miller N, Hubbard VS, et al. 2013 AHA/ACC guideline on lifestyle management to reduce cardiovascular risk: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Circulation 2014;129(25 Suppl 2):S76-S99. DOI: https://doi.org/10.1161/01.cir.0000437740.48606.d1. 

  28. Kang JH, Kim KA, Han JS. Korean diet and obesity. J Korean Soc Study Obes 2004;13(1):34-41.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food and nutrition statistics I: based on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30. Hardy SC, Kleinman RE. Fat and cholesterol in the die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mplications for growth, development, and long-term health. J Pediatr 1994;125(5 Pt 2):S69-S77. DOI: https://doi.org/10.1016/s0022-3476(06)80739-0. 

  31. Hooper L, Summerbell CD, Higgins JP, Thompson RL, Capps NE, Smith GD, et al. Dietary fat intake and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systematic review. BMJ 2001;322(7289):757-763. DOI: https://doi.org/10.1136/bmj.322.7289.757. 

  32. Oh K, Hu FB, Manson JE, Stampfer MJ, Willett WC. Dietary fat intake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20 years of follow-up of the nurses' health study. Am J Epidemiol 2005;161(7):672-679. DOI: https://doi.org/10.1093/aje/kwi085. 

  33. Kontis V, Bennett JE, Mathers CD, Li G, Foreman K, Ezzati M. Future life expectancy in 35 industrialised countries: projections with a Bayesian model ensemble. Lancet 2017;389(10076):1323-1335.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16)32381-9. 

  34. Pocas A, Soukiazis E. Health status determinants in the OECD countries: a panel data approach with endogenous regressors. Estudos do GEMF [Internet]. 2010 [cited 2018 Jan 8];(4):1-34. Available from: http://hdl.handle.net/10316/13325. 

  35. Tchoe B, Nam S, Shin Y. Determinants of the national health expenditures: panel study. Korean J Health Policy Adm 2004;14(2):99-116. DOI: https://doi.org/10.4332/kjhpa.2004.14.2.099. 

  36. Lopez-Casasnovas G, Soley-Bori M.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health: economic growth and health in the OECD countries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4;11(1):815-829. DOI: https://doi.org/10.3390/ijerph110100815. 

  37.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ealth at a glance 2017 [Internet].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8 [cited 2018 Jan 8]. Available from: http://www.oecd.org/about/publishing/Corrigendum_Health_at_a_Glance_2017.pdf.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