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청소년의 가당음료 섭취 관련 건강 행동 요인 분석

Health Behavior Factors Associated with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among Adolescents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3 no.3, 2018년, pp.193 - 201  

구혜민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박종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류소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intake rate of SSBs (sugar sweetened beverages)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 factors and SSBs intake by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6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hich included 65,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들의 가당음료 섭취와 관련된 건강행동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 참여한 800개교 중학생, 고등학생 총 65,5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표성 있는 표본자료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한국 청소년의 흡연, 음주, 수면시간, 좌식시간, 인터넷 사용시간 및 신체활동시간이 가당음료 섭취와 유의한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시기에 가당음료 섭취의 영향을 인식시켜 잘못된 가당음료 섭취습관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에서는 제 12차(2016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들의 가당음료 섭취와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행동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국내에서는 탄산음료, 에너지드링크등 개별적인 음료의 관련성을 본 연구가 대부분이며 가당음료로 통합한 연구는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사된 식생활 변수 중 탄산음료, 고 카페인 음료, 단맛 나는 음료를 모두 가당음료로 포함시켜 총 세 군으로 분류한 결과 가당음료를 한가지도 마시지 않는 군은 7.
  • 이처럼 국외에서는 초등학생이나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당음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본 연구는 다양하나 국내에서는 가공식품이나 탄산음료, 에너지드링크 등의 섭취와의 관련을 본 연구[20-22]만 일부 있으며,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당음료만을 구분하여 관련된 요인을 전반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들의 가당음료 섭취와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행동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당음료란 무엇인가? 가당음료(sugar-sweetened beverages, SSBs)란 다른 영양소들은 거의 없고 대부분 단순당류만 포함된 ‘빈 열량식품(empty calories food)’으로 탄산음료, 과일·채소음료, 에너지음료, 스포츠음료, 차 및 커피음료, 가공우유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1]. 가공우유의 경우 흰 우유에 당류를첨가한 것으로 단백질과 같은 필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지만 단순당류로 열량을 증가시켜 가당음료로 간주한다[2].
청소년의 흡연 및 음주에 따른 가당음료 섭취에 차이는 무엇인가? 건강행동특성에서는 현재흡연, 현재음주, 신체활동, 좌식시간, 수면시간,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라 가당음료 섭취에 차이를 보였다. 흡연의 경우, 최근 30일 이내 흡연을 한 적이있는 청소년이 비 흡연 청소년에 비해 가당음료를 2.4배 더섭취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음주의경우에도, 최근 30일 이내 음주를 한 적이 있는 청소년이 비음주 청소년에 비해 가당음료를 2.13배 더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국내 청소년의 에너지드링크 섭취 및 관련 요인을 본 선행연구[22]와 미국 중학생들의 에너지 드링크 및다이어트 청량음료 섭취가 현재흡연과 음주에 강한 상관성이 있다는 선행연구[28]와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알코올성 음료의 맛을 좋게 하기위해 술과 함께 에너지 음료나 탄산음료를 소비하는 경향이있다고 하여[29, 30], 청소년에서도 음주를 함으로써 가당음료 섭취가 자연스레 증가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과도한 가당음료의 섭취가 야기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특히 과도한 가당음료의 섭취는 어린이의 치아 침식 및 우식증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으며[5, 6], 비만[7-10], 당뇨병[7], 이상지질혈증[11, 12]과 심혈관계질환 사망률[7, 13], 대사증후군[14] 등 성인기 질병 발생에도 큰 영향을미친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면서 청소년기의 바람직한 가당음료 섭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CDC guide to strategies for reducing the consumption of sugar-sweetened beverages. Atlanta: CDC; 2010. 

  2. Ha KH, Joung HJ, Song YJ. Intake of dietary sugar and its influence on chronic disease in the Korean population. Food Sci Ind 2016; 49(3): 2-11. 

  3. Lee HS. Sugar database compilation for commonly consumed foods. Chungbuk: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5. 

  4. World Health Organization. Guideline: sugars intake for adults and children. Geneb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5. Moynihan P, Petersen PE.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dental diseases. Public Health Nutr 2004; 7(1a): 201-226. 

  6. Meyer BD, Lee JY. The confluence of sugar, dental caries, and health policy. J Dent Res 2015; 94(10): 1338-1340. 

  7. Malik VS, Popkin BM, Bray GA, Despres JP, Hu FB. Sugarsweetened beverages, obesity,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Circulation 2010; 121(11): 1356-1364. 

  8. Funtikova AN, Subirana I, Gomez SF, Fito M, Elosua R, Benitez-Arciniega AA et al. Soft drink consump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creased waist circumference and 10-year incidence of abdominal obesity in Spanish adults. J Nutr 2015; 145(2): 328-334. 

  9. Shearrer GE, Daniels MJ, Toledo-Corral CM, Weigensberg MJ, Spruijt-Metz D, Davis JN. Associations among sugar sweetened beverage intake, visceral fat, and cortisol awakening response in minority youth. Physiol Behav 2016; 167: 188-193. 

  10. Della Torre SB, Keller A, Depeyre JL, Kruseman M. Sugarsweetened beverages and obesity risk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analysis on how methodological quality may influence conclusions. J Acad Nutr Diet 2016; 116(4): 638-659. 

  11. Van Rompay MI, McKeown NM, Goodman E, Eliasziw M, Chomitz VR, Gordon CM et al.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aseline triglyceride concentrations, and changes in intake are inversely associated with changes in HDL cholesterol over 12 months in a multi-ethnic sample of children. J Nutr 2015; 145(10): 2389-2395. 

  12. Zhang Z, Gillespie C, Welsh JA, Hu FB, Yang Q. Usual intake of added sugars and lipid profiles among the US adolescent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2010. J Adolesc Health 2015; 56(3): 352-359. 

  13. Welsh JA, Sharma A, Cunningham SA, Vos MB. Consumption of added sugars and indica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mong US adolescents. Circulation 2011: 123(3): 249-257. 

  14. Rodriguez LA, Madsen KA, Cotterman C, Lustig RH. Added sugar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in US adolescents: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2012. Public Health Nutr 2016; 19(13): 2424-2434. 

  15. Kenney EL, Gortmaker SL. United States adolescents' television, computer, videogame, smartphone, and tablet use: associations with sugary drinks, sleep,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J Pediatr 2017; 182: 144-149. 

  16. Ranjit N, Evans MH, Byrd-Williams C, Evans AE, Hoelscher DM. Dietary and activity correlates of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among adolescents. Pediatrics 2010; 126(4): e754-e761. 

  17. Scully M, Morley B, Niven P, Crawford D, Pratt IS, Wakefield M.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consumption of soft drinks among Australian secondary-school students. Public Health Nutr 2017; 20(13): 2340-2348. 

  18. Brug J, van Stralen MM, te Velde SJ, Chinapaw MJ, De Bourdeaudhuij I, Lien N et al. Differences in weight status and energy-balance related behaviors among schoolchildren across Europe: the ENERGY-project. PLoS One 2012; 7(4): e34742. 

  19. Vereecken CA, Inchley J, Subramanian S, Hublet A, Maes L. The relativ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contextual socio-economic status on consumption of fruit and soft drinks among adolescents in Europe. Eur J Public Health 2005; 15(3): 224-232. 

  20. Doo YT. Health behavior and status associated with junk food consumption in adolescents: Data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6; 33(2): 15-25. 

  21. Shin EK, Doo YT. The sugars intake through processed foods and its related factors in college student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6; 41(2): 85-97. 

  22. Yun HS. Factors affecting energy drinks consumption among adolescents. J Korean Soc Sch Health 2016; 29(3): 218-225. 

  23. Ko I. Survey on energy drink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cognition of the risk of high caffeine intake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2013. 

  24. Costa BM, Hayley A, Miller P. Adolescent energy drink consumption: an Australian perspective. Appetite 2016; 105: 638-642. 

  25. Park S, Blanck HM, Sherry B, Brener N, O'Toole T. Factors associated with sugar-sweetened beverage intake among United States high school students. J Nutr 2012; 142(2): 306-312. 

  26. Lee SJ, Kim HC, Kim MR. Analysis on intake of energy drinks of high school students in Gyeoungbuk region. East Asian Soc Diet Life 2014; 24(6): 924-932. 

  27. Oh JW, Jang JS. Associating factors on energy drinks intake of some middle school students in Incheon area. Korean J Food Nutr 2017; 30(3): 618-626. 

  28. Terry-McElrath YM, O'Malley PM, Johnston LD. Energy drinks, soft drinks, and substance use among US secondary school students. J Addict Med 2014; 8(1): 6. 

  29. Oteri A, Salvo F, Caputi AP, Calapai G. Intake of energy drinks in association with alcoholic beverages in a cohort of students of the School of Medicine of the University of Messina. Alcohol Clin Exp Res 2007; 31(10): 1677-1680. 

  30. Attila S, Cakir B. Energy-drink consumption in college students and associated factors. Nutrition 2011; 27(3): 316-322. 

  31. Shin KO, An CH, Hwang HJ, Choi KS, Chung KH. Effect of smoking and drinking habits on the nutrient intakes and health of middle and high school boy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6): 694-708 

  32. Kim YS.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POSIT PRS to measure peer relations of adolescents who drink alcohol or smoke cigarettes. Ment Health Soc Work 2015; 43(1): 198-224. 

  33. Ryu SH. Energy drink consumption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Deajon area. Korean Soc Food Nutr 2016; 29(6): 899-910. 

  34. Keast RS, Swinburn BA, Sayompark D, Whitelock S, Riddell LJ. Caffeine increases sugar-sweetened beverage consumption in a free-living populatio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r J Nutr 2015; 113(2): 366-371. 

  35. Kim HY, Pae MK. Lifestyle, dietary behavior and snack preference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eongju according to the usage time of smartphon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7; 22(1): 40-52. 

  36. Gebremariam MK, Chinapaw MJ, Bringolf-Isler B, Bere E, Kovacs E, Verloigne M et al. Screen-based sedentary time: Association with soft drink consump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education in European children: the ENERGY study. PLoS One 2017; 12(2): e0171537. 

  37. Jo AR, Khil JM. Relationship of TV watching, internet usage and dietary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wangju and Jeonnam area. Korean Soc Food Cult 2010; 25(2): 160-169. 

  38. Ahn SH, Lee EJ, Jeong KH. An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computer using habit and sleeping and eating habits in case of children. J Korean Assoc Comput Educ 2013; 16(6): 103-109. 

  39. Larson N, DeWolfe J, Story M, Neumark-Sztainer D. Adolescent consumption of sports and energy drinks: linkages to higher physical activity, unhealthy beverage patterns, cigarette smoking, and screen media use. J Nutr Educ Behav 2014; 46(3): 181-187. 

  40. Kumar G, Park S, Onufrak S. Perceptions about energy drinks are associated with energy drink intake among US youth. Am J Health Promot 2015; 29(4): 238-244. 

  41. Ra JS, Yun HK, Kim HS, Ryu JL. Associated factors on energy drink consumption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Sch Health 2017; 30(1): 48-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