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의 생산성과 육질 및 시판 품종과의 비교분석

Productivity and Meat Quality of the New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Compared with Commercial Breeds

한국가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v.45 no.2, 2018년, pp.125 - 135  

김현철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식품바이오융합연구원 및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최주희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식품바이오융합연구원 및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남기창 (순천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  정사무엘 (충남대학교 동물자원과학부) ,  조철훈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식품바이오융합연구원 및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용 토종닭과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3종을 같은 조건 아래 12주령까지 사육한 후 생산성을 비교하여 신품종 종계의 시장출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용 토종닭,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3종을 시판되는 브로일러와 육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생산성에서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2C가 기존의 상용토종닭과 비교하여 수컷에서는 생산성이 뛰어났고, 암컷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균일도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한 사료요구율 및 폐사율이 낮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우수하였다. 정강이의 길이는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2C가 가장 길었으나, 생체중과 정강이 길이의 비율로 환산하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계육의 일반성분에서는 상용토종닭 및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브로일러와 비교할 때 가슴육에서 수분이 높고, 다리육에서 조단백질 함량이 높았다. 또한 pH는 브로일러, 상용토종닭,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2C, 2D, 2A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슴육 내 핵산관련물질은 브로일러가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에 비해 가슴육 내 AMP, inosine, hypoxanthine이 높았고 IMP는 낮았다. 교배조합 간에서는 IMP 함량이 상용토종닭, 2A, 2C, 2D 순으로 높음을 보였다. 다리육의 핵산물질 함량도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2A 및 2C, 상용 토종닭, 2D의 순서로 IMP가 높게 나타났다. 가슴육의 지방산 조성은 상용토종닭과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이 브로일러에 비해 아라키돈산(C20:4)과 다가불포화지방산(PUFA)이 높게 나타났으며, 올레인산(C18:1)과 불포화지방산 조성이 낮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2C는 전체적으로 더 고소하고 쫄깃하며 기호도 평가 또한 뛰어났으며, 가슴육은 비린내가 덜 하고, 다리육은 기호도 평가에서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뿐 아니라, 상용토종닭과 브로일러보다도 우수하여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2C의 시장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ductivity and meat quality of three newly-developed crossbreds of Korean native chicken (2A, 2C, and 2D) as compared with commercial Korean native chicken (CKNC) and commercial broiler. Totally, 400 birds of different crossbreds were randomly allotted to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5).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정강이의 길이는 체구가 큰 닭의 경우 일반적으로 길어지기 때문에 정강이 길이와 체중 간 비율을 확인해 보았다. 정강이 길이와 체중간의 비율은 성별과 관계없이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2C가 상용토종닭과 2A 및 2D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
  • 본 연구는 상용 토종닭과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3종을 같은 사육조건 아래 12주령까지 기른 후 생산성을 비교하여 신품종 종계의 시장출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용 토종닭,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3종과 함께 시판되는 브로일러와의 육질특성을 비교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우리 고유의 신품종 종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상용 토종닭과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3종을 같은 사육조건 아래 12주령까지 기른 후 생산성을 비교하여 신품종 종계의 시장출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용 토종닭, 신품종 교배조합 토종닭 3종과 함께 시판되는 브로일러와의 육질특성을 비교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우리 고유의 신품종 종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종닭의 장점은? 토종닭은 우수한 풍미와 쫄깃한 식감을 가지는 닭으로써 브로일러에 비해 맛과 풍미에 중요한 정미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Choe et al., 2010).
닭고기품종의 해외의존도가 높아지는 이유는? 그 중에서도 닭고기는 다른 축종에 비해 빠른 속도로 소비량이 늘어나고 있는데(KOSTAT, 2017), 이러한 이유는 다른 축종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건강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들이 많아지면서 닭고기를 백색육으로써 단백질과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그리고 칼로리가 낮은 건강한 식품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소비되는 대부분의 닭고기는 해외 품종인 브로일러로써 산육량이 많고 성장이 빠르고 사료요구율이 낮아 우리나라 고유의 토종닭 품종들에 비해 경제성이 뛰어나다(Choe et al., 2010).
닭고기의 소비량이 빠른속도로 늘어나는 이유는? 현재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소비수준의 향상에 따라 축산물에 대한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닭고기는 다른 축종에 비해 빠른 속도로 소비량이 늘어나고 있는데(KOSTAT, 2017), 이러한 이유는 다른 축종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건강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들이 많아지면서 닭고기를 백색육으로써 단백질과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그리고 칼로리가 낮은 건강한 식품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소비되는 대부분의 닭고기는 해외 품종인 브로일러로써 산육량이 많고 성장이 빠르고 사료요구율이 낮아 우리나라 고유의 토종닭 품종들에 비해 경제성이 뛰어나다(Cho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hn DH, Park SY 2002 Studies on components related to taste such as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in Korean native chicken me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4):547-552. 

  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Choe JH, Nam KC, Jung S, Kim BN, Yun HJ, Jo C 2010 Differenc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commercial Korean native chickens and broilers. Korean J Food Sci An 30(1):13-19. 

  4. Jayasena DD, Ahn DU, Nam KC, Jo C 2013 Flavour chemistry of chicken meat: A review. Asian Australas J Anim Sci 26(5):732-742. 

  5. Jung S, Bae YS, Kim HJ, Jayasena DD, Lee JH, Park HB, Jo C 2013 Carnosine, anserine, creatine, and inosine 5'-monophosphate contents in breast and thigh meats from 5 lines of Korean native chicken. Poult Sci 92(12):3275-3282. 

  6. Jung S, Bae YS, Yong HI, Lee HJ, Seo DW, Park HB, Lee JH, Jo C 2015 Proximate composition, and l-carnitine and betaine contents in meat from Korean indigenous chicken. Asian Australas J Anim Sci 28(12):1760-1766. 

  7. Ki HB, Seung GL, Dicky U, Byoung KA, Sung KL 2017 Meat qualitie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broiler and spent layers slaughtered at different ages. Korean J Poult Sci 44:41-49. 

  8. KOSTAT (Korea statistics) 2017 http://kostat.go.kr/ 

  9. Lee KH, Jung YK, Jung S, Lee JH, Heo KN, Jo C 2011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at from Korean native chicken and broiler reared and slaughtered as the same conditions. Korean J Poult Sci 38(3):225-230. 

  10. Lee KH, Kim HJ, Lee HJ, Kang MG, Jo C 2012 A study on components related to flavor and taste in commercial broiler and Korean native chicken meat. Korean J Food Preserv 19(3):385-392. 

  11. Lee MJ, Heo KN, Choi HC, Hong EC, Kim CD 2014 The performance test in crossbreds of Korean native chickens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lines. Korean J Poult Sci 41(1):39-44. 

  12. O'fallon JV, Busboom JR, Nelson ML, Gaskins CT 2007 A direct method for fatty acid methyl ester synthesis: Application to wet meat tissues, oils, and feedstuffs. J Anim Sci 85(6):1511-1521. 

  13. Park MN, Hong EC, Kang BS, Kim HK, Kim JH, Na SH, Chae HS, Seo OS, Han JY, Jeong JH, HwangBo J 2010 Chemi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Korean J Poult Sci 37(4):415-421. 

  14. Shin TK, Wickramasuriya SS, Kim E, Cho HM, Heo JM, Yi YJ 2017 Comparative study of growth performances of six different Korean native chicken crossbreeds from hatch to twelve weeks of age. CNU J Agric Sci 44(2):244-253. 

  15. Yoo J, Koo B, Kim E, Heo JM 2015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between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for hatch to 28 days. CNU J Agric Sci 42(1):23-2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