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일만 해상 포항분지 소규모 CO2 지중저장 실증을 위한 부지 탐사 결과
Result of CO2 Geological Storage Site Survey for Small-scale Demonstration in Pohang Basin, Yeongil Bay, SE Korea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8 no.2, 2018년, pp.161 - 174  

신영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권이균 (국립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윤종렬 ((주)테라이지) ,  김병엽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정순홍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규모 이산화탄소 주입 실증 부지를 탐색하기 위해 포항분지 영일만 연안에서 취득한 탄성파 탐사와 시추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에서 기반암은 해수면 기준 심도 650~950 m에 분포하며, 상부에 사암역암이 우세한 퇴적층이 발달한다. 이 퇴적층은 대부분 포항분지에서 이산화탄소가 초임계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심도(약 740 m)보다 깊은 곳에 분포한다. 또한 평균 두께가 123 m로 저장능력이 양호할 것으로 여겨진다. 상부에 올라오는 이암층은 대개 600 m 이상 두껍고 육상과 해상의 포항분지에 광역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덮개 능력이 양호할 것이다. 연구지역에 발달하는 북북동 방향의 단층들은 기반암 심도에서 주로 발달하는 퇴적동시성 단층으로 수직 연장성이 불량할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를 통해 영일만에 위치한 포항분지 심부에서 소규모 실증에 적합한 저장층과 덮개층이 분포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_2$ storage site for small-scale demonstration has been investigated in Yeongil Bay, Pohang, SE Korea, using seismic survey and exploration well data. We found a potential storage formation consisting mainly of conglomerate and sandstone. The storage formation unconformably overlies v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일만 해상에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부지를 조사하기 위해 2차원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였고, 탐사공(PHEW-1)을 시추하여 전 구간 코어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일만 해상 포항분지에서 소규모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이 가능한 부지를 선정하기 위한 탄성파 탐사 및 시추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탄성파 자료처리는 지하 구조를 시각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단면 또는 입체부피로 가공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의 2D 탄성파 자료처리는 천해 환경에서 비롯하는 다중반사파(multiple reflection)의 제거와 짧은 스트리머로 기록하여 야기된 낮은 신호-대-잡음비 기록의 품질 향상에 주안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자료처리 공정은 연차별로 취득한 탄성파 자료에 대해반복적으로 시험하여 최적의 조합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 연구지역에서 소규모의 이산화탄소 주입 부지 특성화를 위해 탐사 시추 및 탄성파 자료를 취득하였다. 이들 자료에 근거하여 소규모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을 위한 부지로서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에 적합한 지층은 1) 초임계 이산화탄소 주입이 가능한 온도와 압력을 만족하는 심도 보다 깊은 곳에 위치해야 하고, 2) 주입 및 저장에 용이한 사암층을 포함해야하며, 3) 광역적인 이암층에 의한 상부 밀폐가 가능하고, 4) 단층에 의한 교란이 미약한 지층이어야 한다.

가설 설정

  • 이들 자료에 근거하여 소규모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을 위한 부지로서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에 적합한 지층은 1) 초임계 이산화탄소 주입이 가능한 온도와 압력을 만족하는 심도 보다 깊은 곳에 위치해야 하고, 2) 주입 및 저장에 용이한 사암층을 포함해야하며, 3) 광역적인 이암층에 의한 상부 밀폐가 가능하고, 4) 단층에 의한 교란이 미약한 지층이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성파 자료처리는 무엇인가? 탄성파 자료처리는 지하 구조를 시각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단면 또는 입체부피로 가공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의 2D 탄성파 자료처리는 천해 환경에서 비롯하는 다중반사파(multiple reflection)의 제거와 짧은 스트리머로 기록하여 야기된 낮은 신호-대-잡음비 기록의 품질 향상에 주안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기술의 시작 배경은 무엇인가? , 2005).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기술은 석유가스 자원의 회수증 진을 위해 저류층에 이산화탄소의 주입 및 저장이 이용되면서 시작되었다(Orr and Taber, 1984). 이후 지중저장 기술은 탄화수소 저류층 외에 대수층에 대규모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모니터링하는 영역으로 확대되었다(Kongsjorden et al.
응향기반암 위에 올라오는 탄성파 단위층의 각각의 특성은? 9). 단위층-1은 음향기반암 상부에 올라오며 배열이 다소 불량하고 진폭이 강한 반사파들이 부분적으로 관찰된다. 이들 반사파 조합은 횡적 변화가 심하고, 연속성이 대체로 불량한 것이 특징이다. 두 단위층의 경계면(Top SU-1)은 강한 진폭의 반사파 특성과 부분적으로 아래걸침하는 반사파 형태의 변화로 인지된다. 단위층-2는 전반적으로진폭이 약하고 연속성이 양호한 반사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서로 평행하거나 준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해저면과 왕복주시 0.2초 사이 구간은 잡음신호가 두드러져 탄성파 특성을 파악하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erner, R.A., 1980, Early Diagenesis: A Theoretical Approach,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1p. 

  2. Byun, H., Yun, H., 1992, Miocene dinoflagellate cysts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Pohang basin, Kore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8(2), 164-235. 

  3. Chang, C., Jo, Y., Quach, N., Shinn, Y.J., Song, I., Kwon, Y.K., 2016, Geomechanical Characterization for the $CO_2$ Injection Test Site, Offshore Pohang Basin, SE Korea, 50th US Rock Mechanics/Geomechanics Symposium, American Rock Mechanics Association, Houston, ARMA-2016-541. 

  4. Cheon, Y., Son, M., Song, C.W., Kim, J.S., Sohn, Y.K., 2012, Geometry and kinematics of the Ocheon Fault System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Miocene Pohang and Janggi basins, SE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Geosciences Journal, 16(3), 253-273. 

  5. Choi, J., Lee, K., Shinn, Y.J., Yasuhara, H., Lee, D.S., 2017, Direction Hydraulic Properties Characteristics of Reservoir Rocks for $CO_2$ Geological Storage, 4th ISRM Young Scholars Symposium on Rock Mechanics, International Society for Rock Mechanics and Rock Engineering, Jeju. 

  6. Chough, S.K., Hwang, I.G., Choe, M.Y., 1990, The miocene doumsan fan-delta, South Korea: A composite fan-delta system in back-arc margin.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67, 130-141. 

  7. Han, J.H., Kwak, Y.H., Son, J.D., Son, B.K., 1987, Tectonic evolution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Tertiary sedimentary basin, southeastern part of Korea, Report KR-86-2-(B)-4,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Seoul, 109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an, R., Kim, C.-M., Song, C.W., Cho, H., Ghim, Y.-S., Son, M., Sohn, Y.K., 2012, Geological storage of $CO_2$ in the Pohang Basin: Preliminary discussion based on geological structures and hydraulic properties of sedimentary deposits, Fall joint annual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ocieties in Korea (Abstracts), Jeongseon, October 24-27, 102 (in Korean). 

  9. Holloway, S., 1997, An overview of the underground disposal of carbon dioxide.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38, 193-198. 

  10. Hwang, I.G., 1993, Fan-delta systems in the Pohang basin (Miocene), SE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973p. 

  11. Hwang, I.G., Chough, S.K., Hong, S.W., Choe, M.Y., 1995, Controls and evolution of fan delta systems in the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Sedimentary Geology, 98(1-4), 147-179. 

  12. KIGAM, 2014, Characterization of storage strata and development of basis design technology for demonstration of $CO_2$ geological storag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GP2012-030-2014(2), 441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hm, J.H. Kim, J.M., 2013, Prediction and analysis of behavior of carbon dioxide injected into target geologic formations in the Bukpyeong Basi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9(3), 389-4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H., Song, I., Chang, C., Lee, H., Kim, T., 2013, Relations betwee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re samples from the Bukpyeong and Pohang basin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3(4), 329-3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ongsjorden, H., Karstad, O. and Torp, T.A., 1998. Saline aquifer storage of carbon dioxide in the Sleipner project. Waste management, 17(5-6), 303-308. 

  16. Kwon, Y.K., 2017, Achievements and plans of small-scale $CO_2$ injection demonstration project, 2017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of Korea (Abstracts), Gyeongju, April 19-21, 42 (in Korean). 

  17. Lee, C.B., Kim, T.K., Park, D.W., 2009, Geology and geochemistry of volcanic and sedimentary rocks from deep borehole in the Heunghae area, North Kyungsang Province.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9(4), 459-4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H., Shinn, Y.J., Ong, S.H., Woo, S.W., Park, K.G., Lee, T.J., Moon, S. W., 2017, Fault reactivation potential of an offshore $CO_2$ storage site, Pohang Basin, South Korea. Journal of Petroleum Science and Engineering, 152, 427-442. 

  19. Metz, B., Davison, O., de Coninck, H., Loos, M., Mayer, L.A. (Eds.), 200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pecial Report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431p. 

  20. Noh, J.H., 1994, Stratigraphy, lithology and diagenetic mineral facies of the tertiary Yeonil Group.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2), 9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Orr, J.F., Taber, J.J., 1984, Use of carbon dioxide in enhanced oil recovery, Science, 224(4649), 563-569. 

  22. Sohn, Y.K. Son, M., 2004, Synrift stratigraphic geometry in a transfer zone coarse-grained delta complex,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Sedimentology, 51(6), 1387-1408. 

  23. Sohn, Y.K., Rhee, C.W., Shon, H., 2001, Revised stratigraphy and reinterpretation of the Miocene Pohang basinfill, SE Korea: sequence development in response to tectonism and eustasy in a back-arc basin margin, Sedimentary Geology, 143(3-4), 265-285. 

  24. Son, M., Song, C.W., Kim, M.C., Cheon, Y., Jung, S., Cho, H., Kim, H.-G., Kim, J.S., Sohn, Y.K., 2013, Miocene crustal deformation, basin development,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9(1), 93-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Song, C.W., Son, M., Sohn, Y.K., Han, R., Shinn, Y.J., and Kim, J.-C., 2015, A study on potential geologic facility sites for carbon dioxide storage in the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1(1), 53-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Yoon, S.H. Chough, S.K., 1995, Regional strike slip in the eastern continental margin of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07(1), 83-97. 

  27. Yoon, S., 1975,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Tertiary Pohang Basin, Pohang district, Korea, Part I, Geology.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1(4), 187-2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