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AV 공간정보 기반의 태양광발전소 부지의 일사량 분석
The analysis of solar radiation to solar plant area based on UAV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8 no.1, 2018년, pp.5 - 14  

이근상 (전주비전대학교 지적토목학과) ,  이종조 ((주)금강이엔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영향으로 태양광발전소 건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고효율 태양광발전소 사업을 위해서는 태양광발전소 부지에 대한 일사량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에 대한 최적의 위치와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UAV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취득한 DEM 자료를 이용하여 태양광발전소 부지에 대한 일사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017년 평균 일사량은 $1,474,466W/m^2$ 로 계산되었으며 대상면적을 고려한 전체 일사량은 $33,639MW/m^2$를 보였다. 월별 일사량을 분석하는 것은 태양광발전소 유지보수 업무 측면에서 중요하다. 월별 태양광발전소 부지의 평균일사량 분석에서는 5~7월의 평균 일사량이 $160,000W/m^2$ 이상으로 계산되었으며 1~2월 및 11~12월의 평균 일사량은 $80,000W/m^2$ 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UAV 공간정보로부터 계산된 일사량과 국립기상과학원에서 제시한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대상지역의 93.7%가 남향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상지의 평균 일사량이 국립기상과학원의 전국 자료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UAV를 이용하여 새로 개발된 태양광발전소 부지에 대한 일사량을 신속하게 계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solar plant showed a steady growth in influence of renewable energy policy.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optimal location and aspect of solar panel using analyzed data of solar radiation to solar plant area beforehand. This study analyzed solar radiation in so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발전소 인허가 완료 후 1차 토공작업이 완료된 태양광발전소 부지에 대해 태양광발전 패널의 위치와 방향 등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UAV를 이용하여 최신의 지형자료 구축 및 일사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형모델링 자료의 정확도 확보를 위해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측량장비를 활용하여 지상기준점(GCP; Ground Control Point) 측량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전지에 의해 직접적으로 전기를 생산 할 수 있는 장치이다. 태양광의 특징은 전력생산이 지역별 일사량에 의존하고 에너지 밀도가 낮아 큰 설치면적이 필요하며, 초기 투자비용이 많다는 단점도 있지만, 에너지원이 청정․무제한적이고, 유지보수가 비교적 용이하며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태양광 발전이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신재생에너지 중 하나인 태양광 발전은 태양전지를 활용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직접 변환함으로써 전력을 생산하기 때문에 다른 신재생에너지 활용에 비해 발전효율이 비교적 낮고, 초기 높은 설치비 때문에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설비 기술이 발달하고 설치 규모가 증대됨에 따라 다른 신재생에너지에 비해 태양광발전시설의 원가가 뚜렷하게 감소하고 있고, 무한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다(황광일, 2013).
태양광의 장점은 무엇인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전지에 의해 직접적으로 전기를 생산 할 수 있는 장치이다. 태양광의 특징은 전력생산이 지역별 일사량에 의존하고 에너지 밀도가 낮아 큰 설치면적이 필요하며, 초기 투자비용이 많다는 단점도 있지만, 에너지원이 청정․무제한적이고, 유지보수가 비교적 용이하며 수명이 긴 장점이 있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발전설비 대비 전력 생산량인 효율성을 고려하여야 한다(이기림과 이원희,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08. Analysis of Meteorological Resource for Optimal Application Solar Energy. 

  2. Kim HY.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Accuracy of Photovoltaic Facility Location Using the Geo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2):146-156. 

  3. Doh JH, Kim DS, Koo HD. 2014. High Utilization of Photovoltaic Power System in Rural Green Village Loc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1):51-62. 

  4. Park JI, Park MH, Lim RT. 2010. A Study on the New Renewable Energy Suitable Position Using GIS, Proceeding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29-141. 

  5. Lee KR, Lee WH. 2015. Solar Power Plant Location Analysis Using G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4):1-13. 

  6. Lee JY, Kang IJ. 2010. A Study of PV System Facilities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8(2):99-105. 

  7. Jeong JC. 2012. The Analysis of a Potential Solar Energy Resource Map.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4):573-579. 

  8. Han GS, Kim JS. 2016. Technology Trends and Future Prospects of Satellite-Based Photovoltaic Electricity Potential.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6):579-587. 

  9. Hwang GI. 2013. A feasibility study on the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considering of electricity needs' fluctuation of coastal area's hou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37(8):977-983. 

  10. Escobar, R.A., C. Cortes, A. Pino, M. Salgado, E.B. Pereira, F.R. Martins, J. Boland, and J.M. Cardemil. 2015. Estimating the potential for solar energy utilization in Chile by satellite derived data and ground station measurements. Solar Energy. 121: 139-151. 

  11. Fu, Pinde. 2000. A Geometric Solar Radiation Model with Applications in Landscape Ecology. Ph.D. Thesis.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Kansas. Lawrence. Kansas. 

  12. Fu, Pinde, and Paul M. Rich. 2002. A Geometric Solar Radiation Model with Applications in Agriculture and Forestry.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37: 25-35. 

  13. Huang, Shengli, Paul M. Rich, Robert Crabtree, Christopher Potter, and Pinde Fu. 2008. Modeling Near-Surface Air Temperature from Solar Radiation and Lapse Rate: Application over Complex Terrain in Yellowstone National Park, USA. Physical Geography. 29(2):158-178. 

  14. Polo, J., S. Wilbert, J.A. Ruiz-Arias, R. Meyer, C. Gueymard, M. Suri, L. Martin, T. Mieslinger, P. Blanc, I. Grant, J. Boland, P. Ineichen, J. Remund, R. Escobar, A. Troccoli, M. Sengupta, K.P. Nielsen, D. Renne, N. Geuder, and T. Cebecauer. 2016. Preliminary survey on site adaptation techniques for satellite-derived and reanalysis solar radiation datasets. Solar Energy. 132:25-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