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동아시아 항만간의 수출 컨테이너 물동량 추이 분석

A Trend Analysis on Export Container Volume Between Korea and East Asian Ports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4 no.2, 2018년, pp.97 - 114  

이충배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노진호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초록

우리나라 수출입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동아시아 지역은 지리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 문화적 상호보완성으로 인해 더욱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수출입 증대와 더불어 우리나라 항만과 대동아시아 국가간의 항만 물동량 역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국가의 경제 규모 및 성장율의 차이, 항만인프라 수준, 지리적 위치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이들 항만과의 물동량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항만 물동량의 변동성과 항만 네트워크의 변화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항만과 동아시아 항만과의 보다 세밀한 연구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가 이러한 갭을 보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동아시아 지역항만간 수출 컨테이너 화물의 유통경로의 추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무역업체, 선사, 물류업체, 항만당국의 정책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7~2015년간 우리나라의 주요항만과 대동아시아 개별항만간의 물동량의 변동성을 변이할당기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한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항만 전체적으로 Shanghai, Ningbo, Ho Chi Minh, Haiphong 등이 규모와 물동량 증가면에서 가장 중요한 항으로 나타났다. 항만단위로 볼 때 부산항에서는 중국항의 경우 Yantai, Weihai, Hakata, Kobe, Ho Chi Minh, Haiphong, 인천항은 Lianyungang, Tianjin, Osaka, Kobe, Ho Chi Minh, Haiphong, 광양항은 Tianjinxingang, Weihai, Yokohama, Ho Chi Mihn, Tanjong, 울산항은 Yantai, Lianyungang, Nagoya, Kobe, Ho Chi Minh, Portkelang항과의 항만네트워크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정부, 항만당국, 해운 물류업체들은 이들 항만과의 물류네트워크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이들 항만에 대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ast Asian region, an important part of Korea's imports and exports, is expected to grow further driven by the geographical,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mplementarity. With the recent increase in imports and exports, the port trade volume between Korea and East Asian countries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동아시아와 우리나라 주요 항만과 동아시아 항만간의 수출 컨테이너 물동량의 경로를 분석함으로써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동아시아 지역항만간 수출 컨테이너 화물의 유통경로의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무역업체, 선사, 물류업체, 항만당국의 정책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내륙의 특정지역에서 항만간의 경로 분석은 한국 교통개발연구원(2012, 2014)을 들 수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교통량의 경로를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해 권역별/항만별 여객과 화물의 경로 및 교통량의 기종점을 분석한 연구이다.
  • 또한 우리나라 항만에서 해외 지역항만으로의 컨테이너 화물의 O/D 분석은 제한적이며, 단기간의 변동 추이만을 분석하여 장기간의 수출입 물동량의 변동 추이를 분석하지 못한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장기간의 우리나라에서 동아시아 주요 항만들간의 수출입 컨테이너 물동량의 변동성을 분석함으로써 차별화하였다.
  • 절대 물동량 성장치(ABSRG)는 두 구성요소의 값의 합으로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지역 내에서 변이 할당 효과를 기반으로 전체 물동량 성장치를 의미한다. 즉 실질적으로 예상 물동량과 같은 정도로 경쟁항만으로부터 물동량을 획득하였는지 상실하였는지를 나타낸다. 절대 물동량 성장치는 전체 컨테이너항만 내에서 특정 항만의 성장과 경쟁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주2) 물동량 비중은 국가 전체의 물동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며, 물량의 증감율은 변이할당효과의 절대값을 활용함.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출입 화물의 유통경로를 분석하는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수출입 화물의 유통경로를 분석하는 주요 목적은 화주, 선사, 물류업체들이 어떤 특정 경로를 선택하는 가에 맞추어져 있다. 즉 화물 유통경로의 선택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고 있다. Leachman(2008)은 아시아에서 미국으로의 해상 컨테이너 수입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운송비용, 수입 물동량, 가격, 가정된 컨테이너 요금 등을 산정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화물의 수출입의 대부분을 어디에 의존하고 있는가? 우리나라 화물의 수출입의 대부분은 해상운송에 의존하고 있으며, 일부 대형항만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2015년 기준으로 해상운송의 비중은 99.
동아시아와 우리나라 주요 항만과 동아시아 항만간의 수출 컨테이너 물동량의 경로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2000년대 전반에서 후반으로 가면서 전반적으로 동아시아 각 항만으로의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다. 물동량의 자연 증가율을 나타내는 할당효과를 통해 볼 때 전체 물동량의 증가가 두드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분석기간(2007∼‘15)동안 시장 확대에 의한 증가율을 나타내는 할당효과면에서 물동량이 가장 크게 증가한 국가는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로 나타났다. 셋째, 경쟁관계를 나타내는 변이효과 면에서 가장 많은 물량을 빼앗아 온 국가군으로는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이며, 성장세가 둔화된 국가군으로는 일본, 중국, 필리핀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변이할당분석으로 통해 볼 때 우리나라 전체 항만에서 동아시아 항만으로의 물동량 변화를 살펴볼 때 물동량의 비중이 높은 항만이 대체적으로 절대 물동량 증가가 높은 반면 규모가 적은 항만의 경우 증감율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중이 높은 항만의 경우 증가율이 약간 높아져도 물동량의 큰 폭으로 반영된다는 측면과 더불어 수출항만의 집중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우리나라 항만 전체적으로 물동량 비중과 증가세가 높은 Shanhai, Ningbo, Ho Chi Minh, Haiphong 등이다. 상대적으로 물동량 비중이 낮은 항만으로는 Yantai, Shekou, Laem Chabang항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주요 항만들은 물동량의 비중과 증가율이 높은 중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의 항만들과의 협력과 마케팅 노력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강동준.방희석.우수한(2014), 세계 주요 정기선사의 항만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0(1), 73-96 

  2. 강효원(2016), 공간정보를 활용한 한-미 교역액의 기종점 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8권 제3호, 47-72 

  3. 경남발전연구원(2009), 남해안 항만물류 활성화 방안 

  4. 관세청.한국관세무역개발원, 수출입물류통계연보, 각년도 

  5. 김수엽.이호춘.반영길.길광수(2015), 수도권 컨테이너화물의 대중국 수출입 경로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34 

  6. 김은미.박동주.고영승(2008), 철도의 수송경쟁력 분석 : 컨테이너, 양회, 철강을 중심으로,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323-2338 

  7. 김은수.이수영(2016),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와 변이효과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집 제1호, 135-149 

  8. 모수원.정홍영.이광배(2015), 변이할당분석을 이용한 광양항과 인천항의 수출구조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1권 제3호(통권 87호), 649-567 

  9. 문광석.유홍성.김연성.이동원(2011), 국제여객터미널의 컨테이너화물 기종점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2호, 195-215 

  10. 박형창(2008), 군산항 유치가능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추정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집 제2호, 71-90 

  11. 백범진(2005), 인천항 컨테이너 화물의 국내 기종점 분석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백종실.황진회(2003), 동아시아 물류구조 변화와 국제 물류네트워크의 구축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2009), 부산.일본 서안지역 컨테이너 화물 최적 물류 네트워크 구축방안 

  14. 신승식(2002), 우리나라 해상 수출입 컨테이너의 내륙 기종점과 환경비용 비교 분석, 국토연구, 81-96 

  15. 신승식(2005), 수도권 항만이 중장기 곡물수송 기종점 변화 추이 비교 연구, 물류학회지, 제15권 제3호, 81-105 

  16. 이경순.조동오.김정인.심동희.함경희(1986), 내륙 화물의 해송전환 가능성에 관한 연구 

  17. 이정욱.김형근(1997), 수출입 항만물동량 기.종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8. 이충배(2002), 경기권역 기업의 수출입 기종점(O/D) 분석 및 평택항의 활성화 방안, 국제상학, 제17권 제1호, 135-158 

  19. 이호춘(2013), 우리나라 수출입컨테이너화물의 내륙기종점(O/D)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44-145 

  20. 장준청.이자연.우수한(2015), 중국 컨테이너 항만의 집중화와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집 제4호, 169-187 

  21. 전북발전연구원(2005), 군산항 물류 기종점(O/D) 분석에 관한 연구 

  22. 정태원(2013), 인천항과 북중국 항만간의 물동량 구조변화 분석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29권 특집호(통권 79호), 783-801 

  23. 정태원.최세경(2006), 인천항 컨테이너화물 유치방안에 대한 연구-컨테이너 OD분석올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제30권 제1호, 289-299 

  24. 정필수 외(1992), 대량화물유통체제 개선에 관한 연구, 해운산업연구원 

  25. 조삼현(2006), 북중국 주요 항만과의 서해안 항만간의 교역 컨테이너 유통경로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2집 제3호, 161-188 

  26. 조수원.장우준.김태원.곽규석.남기찬(2007), 군장항 일반화물 O/D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4호, 115-137 

  27. 중앙대학교 경기항만물류연구센터(2005), 평택항 배후권역 수출입 화물 기종점(O/D) 분석 

  28. 중앙대학교 경기항만물류연구센터(2010), 평택항 수출입화물 물류실태 및 화물유통체계 분석연구 

  29. 최승묵(2016), 동태적 변이할당분석을 이용한 동북아 지역 국가들의 관광 성장 특성 분석, 관광연구논총, 제28권 제4호, 109-129 

  30. 한국교통개발연구원(2005), 동북아지역의 해상수출입화물교통망분석 

  31. 한국교통연구원(2012), 전국 해상화물 기종점통행량(O/D) 조사 

  32.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2005), 2004년도 컨테이너화물 유통추이 및 분석 

  33.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2002), 컨테이너화물 유통추이 및 분석 

  34. 한국해양대학교(2002), 중국 및 일본서안 컨테이너 유통실태 분석 

  35. 홍승용.이정욱.김형근(1997), 수출입 항만물동량 기종점(O/D)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6. Black, W.R.(1972). Interregional commodity flows: Some experiments with the gravity model. Journal of Regional Science, 12(1), 107-118. 

  37. Chiang, S.H.(2012). Shift-Share Analysis and International Trade. Annals of Regional Science, 49(3), 571-588. 

  38. Chin, A.T. and Low, J.M.(2010). Port performance in Asia: Does production efficiency imply environmental efficienc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5, 483-488. 

  39. Dang, V.L. and Yeo, G.T.(2017). A Competitive Strategic Position Analysis of Major Container Ports in Southeast Asia.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33(1), 19-25. 

  40. Haezendonck, E. and Winkelmans, W. (2002). Strategic positioning as an instrument for competition analysis in Huybrechts, M. et al. (Ed.) Port competitiveness: an economic and legal analysis of the factors determining the competitiveness of seaports. Antwerp: De Boeck, 17-33. 

  41. Hirun, W. and Sirisoponsilp, S.(2010). Analysis of Interregional Commodity Flows. American J.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 3(4), 728-733. 

  42. Hu, Y. and Zhu, D.(2009). Empirical analysis of the worldwide maritime transportation network. Physica A, 388(10), 2061-2071. 

  43. Lam, J.S.L. and, Yap, W.Y.(2008). Competition for transhipment containers by major ports in Southeast Asia: slot capacity analysis.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35(1), 89-101. 

  44. Leachman, R.C.(2005). Final Report: Port and Modal Elasticity Study, prepared for Southern California Association of Governments. 

  45. Leachman, R.C.(2008). Port and modal allocation of waterborne containerized import from Asia to the United Stat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44, 313-331. 

  46. Levine, B., Nozick, L. and Jones, D.(2009). Estimating an origin-destination table for US imports of waterborne containerized freight.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E: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Review, 45(4), 611-626. 

  47. Marti, B.E.(1982). Shift-share analysis and port geography: a New England example. Maritime Policy & Management, 9(4), 241-250. 

  48. Marti, B.E.(1991). The Competitive Environment of Southeast Florida's Ports. The Florida Geograph, 20. 

  49. Notteboom, T.E.(1997). Concentration and Load Centre Development in the European Container Port System. Geography, 5(2), 99-115. 

  50. Park, R.K.(2006). Trend analysis of competition positioning in Korean seaport by using BCG matrix. The 2006 summer international conference, August 8-9,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Inha University, Korea. 

  51. Robinson, R.(1998). Asian hub/feeder nets: the dynamics of restructuring.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25, 21-40. 

  52. Shi, C.Y., and Yang, Y.(2008). A Review of Shift-Share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in Tourism.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Perspectives, 1(1), 21-30. 

  53. Sihag, B.S. and McDonough C.C.(1989). Shift-share analysis: the international dimension. Growth Change, 20(3), 80-88. 

  54. Yap, W.Y. and Lam J.S.(2006). Competition dynamics between container ports in East Asia. Transport Reviews, 26(2), 167-1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