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스마트시티 정책흐름과 향후 과제
Smart City Policy Trends and Future Agenda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6, 2018년, pp.507 - 518  

장환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미래융합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도기적 시기를 보내고 있는 국내 스마트시티 사업이 향후 더욱 발전하고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 스마트시티(U-City) 정책의 발단과 성장과정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스마트시티 구축과정 상에 나타난 기능적, 정책적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세 번째, 국내와는 다른 방식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해외 선진사례를 검토하였다. 네 번째, 확대된 스마트시티의 개념과 이에 대응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정책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섯 번째, 앞의 검토를 종합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발전을 위해 나아가야 할 추진방향 및 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과거 국내의 스마트시티 개발 초창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최근 급변하고 있는 환경변화 및 기술발전을 감안한 향후 과제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국내 스마트시티의 발전 및 고도화를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적 토대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pare measures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 in the global market by further developing the domestic smart city business, which is in a transition period. First, we examined the origin and growth process of domestic smart city (U-City) policy, Seco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U-City법의 지속적인 개정을 통해 U-City 정보 유통의 근거, 민간기술 및 서비스 테스트를 위한 U-City 기반시설의 활용, U-City 서비스 지원기관의 지정, U-City 사업협의회에 주민 포함 등에 관련한 사항을 새롭게 마련하여 지속적인 U-City 성장을 법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범정부적인 지원을 통해 우리나라의 U-City는 급격하게 성장하였으며 혁신도 시와 제2기 신도시 사업의 대부분에 적용이 되면서 빠르게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과도기적 시기에 직면한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추진방향을 거시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향후 세계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향후 국내 스마트시티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정책에 대한 흐름을 전반적으로 검토해보고 그 성과와 한계, 세계 시장의 흐름을 반영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 연구수행결과 본 연구에서는 도시수준 및 발전단계에 따른 맞춤형 스마트시티 정책, 기존에 구축된 인프라 위에 새로운 신기술이 적용, 개선되는 저비용·고효율 스마트시티 정책, 스마트시티 계획 수립시 의무적인 민간참여, 분야별로 단절되어 있는 정보의 적극적인 수집 및 활용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 다양한 기술의 실험 및 창의적 서비스 설계를 촉진하기 위한 테스트베드와 성과홍보를 위한 테마형 특화단지의 확대, 세계시장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위해 수출상품의 기능적 세분화 및 주력상품 개발 등을 향후 과제로 제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전국 163개 지자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스마트시티의 최소품질 보장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각각의 스마트시티가 수준이 다르고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도 상이함을 지적하면서 스마트시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교통, 방범 등 필수적인 14개 서비스가 보장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Lee et al[13]의 연구에서는 기존도시형 스마트시티 도입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기존도시에 스마트시티를 도입하기 위해 도시기능 활성화형, 서비스 제공 및 도시관 리형, 기반시설 확충형, 도시재생형 등 스마트시티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적용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그 동안 신도시에 집중되어 있던 스마트시티 사업을 기존도시로 전환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그리고 정책적 관점에서 스마트시티를 바라본 연구는 스마트시티의 성과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국내 스마트시티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Jang(2017)의연구가 대표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외 사례분석, 스마트시티 관련 트렌드 및 이슈분석, 전문가 심층인터뷰 등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스마트시티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4]. 이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 사업관리 체계의 고도화, 민간주도형 해외진출 지원, 관련 법제도 개선이 국내 스마트시티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사안으로 주장하였는데 분석의 범위가 이론적인 부분에 상대적으로 집중되어 있고 세부적인 실행방안에 대해서는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다소 아쉬움이 남는다.
  • 먼저 스마트시티 법제도에 관한 연구는 Lee(2017)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의 개념, 스마트시티 산업, 스마트시티 인증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U-City법과 개정된 스마트시티법의 차이에 관해 검토해보고 현재 스마트시티법이 가지는 한계에 대해 제시하였다[3]. 이 연구에서는 개정된 스마트시티법이 여전히 과거 U-City 법의 연장선이라는 논점 하에 향후 개선되어야 할 법제 도적 쟁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스마트시티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로는 Hwang et al[14]의 연구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국 163개 지자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스마트시티의 최소품질 보장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각각의 스마트시티가 수준이 다르고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도 상이함을 지적하면서 스마트시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교통, 방범 등 필수적인 14개 서비스가 보장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보면 향후 스마트시티 연구는 급변하는 제반여건을 반영하여 앞으로도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나 스마트시티의 태동에서부터 발전양상, 사업추진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해외선진국의 스마트시티 추진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들은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의 흐름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해외 스마트시티 선진사례를 검토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사회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만큼, 미래를 시계열적으로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지금까지의 스마트시티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추진과정 상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소하고, 변화하는 도시환경과 시민수요에 대해 유기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은 사업적·정책적으로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제3차 국가지리정보체계 기본계획에서는 계획의 비전을 “유비쿼터스 국토 실현을 위한 기반조성”으로 설정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GIS기반 전자정부 구현”, “GIS를 통한 삶의 질 향상”, “GIS를 이용한 뉴비즈니스 창출” 등 3대 목표와 그에 따른 세부 추진전략, 세부과제를 수행하여 보다 체계적인 U-City 구축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시점에서 과도기적 시기를 보내고 있는 국내 스마트시티 사업이 향후 더욱 발전하고 세계시장에서의 선도적 지위를 재탈환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스마트시티 개발 초창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최근 급변하고 있는 환경변화 및 기술발전을 감안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의 발단과 정책추진과정,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 및 쟁점사안들을 해결하기 위한 향후 과제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장에서는 과거 U-City사업의 문제점, 해외 우수사례 검토 및 시장전망, 최근의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향후 한국형 스마트시티의 성공을 위한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시티가 빠르게 확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흐름은 개발도상국, 선진국 구분없이 확산되고 있으며, 교통, 방범, 방재 등 다양한 도시문제 해결의 필요성 증대에 따라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편승하여, 도시문제의 효율적 해결과 함께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신성장동력을 창출하고자 스마트시티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글로벌 저성장 추세, 첨단 ICT의 급격한 발전, 저개발국가의 도시개발수요 등을 바탕으로 전 세계 각 국에서 경쟁적으로 추진 중에 있다 [1].
스마트시티 관련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무슨 노력을 하고 있는가? 또한 중국, 인도 등 개발도상국에서는 급격한 도시화에 대한 문제해결 수단으로서 스마트시티를 구축하고자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구글, Cisco, IBM 등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등 관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4]. 이러한 세계적 시장 확대추세와 국내에서 발생한 스마트시티 관련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문재인 정부에서는 2017년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부 등 정부부처 장관과 민간전문가들을 위원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특별 위원회’를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 산하에 설립하여 국내 스마트시티 사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등 국가적 차원에서 스마트시티를 확산하고 고도화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3]. 이러한 시점에서 과도기적 시기를 보내고 있는 국내 스마트시티 사업이 향후 더욱 발전하고 세계시장에서의 선도적 지위를 재탈환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스마트시티 개발 초창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최근 급변하고 있는 환경변화 및 기술발전을 감안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럽 등 유력 시장 조사기관 등에서 발표하는 스마트시티 순위 및 선정결과에 우리나라의 도시가 한 곳도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에서는 우수한 정보통신 기술과 신도시 개발사업을 접목한 U-City 사업을 통해 한때 스마트시티 선도 국가로 각광받았으나, 그 이후 후발국의 기술추격, 선진국과의 핵심기술 개발 격차 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그 선도적 지위를 상실하고 있어 해외시장에서의 영향력이 점차 감소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우수한 ICT를 신도시 개발과 접목하여 공공인프라를 확대한 성과는 있으나, 주민수요를 고려하지 않은 중앙정부 주도의 Top-Down 사업추진으로 시민체감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시켰으며, 구시가지는 스마트시티 사업의 추진이 미흡하여 신도시와의 수준격차가 확대되고 있다[2]. 또한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민간기업들은 대부분 규모가 영세하여 관련 산업에 파급효과를 일으키기에는 한계가 존재하며, 일부 대기업 역시 통신 등 일부서비스에만 제한적으로 참여하여 스마트시티 산업을 확장시키기에는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유럽 등 유력 시장 조사기관 등에서 발표하는 스마트시티 순위 및 선정결과에서는 싱가포르, 런던, 바르셀로나 등 정부, 지자체, 민간기업, 시민 등을 아우르는 종합적 추진체계와 일관성 있는 국가전략을 수립한 도시가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의 도시는 한 곳도 포함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ssion, Smart city promotion strategy for city innovation and growth engin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ssion Publishing, 2018. 

  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upport plan for U-City activatio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ublishing, 2014. 

  3. J. Y. Lee, "The Meanings and Future Agendas of the Act on Smart City Law Revision", Journal of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vol. 20, no. 3, pp. 91-101, 2017. DOI: https://doi.org/10.21189/JKUGS.20.3.7 

  4. H. Y. Jang, "Policy Direction for Securing Smart City Competitiveness", SH Urban Research & Insight, vol. 7, no. 3, pp. 69-84, 2017. DOI: https://doi.org/10.26700/shuri.2017.12.7.3.69 

  5. Presidential commission on architecture policy, "A Study on Policy Plan for Strengthening Smart City Competitiveness", 2016.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 Study on U-City Development Strategy and U-City Demonstration Plan in Connection with Government 3.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ublishing, 2014.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2nd Ubiquitous City Comprehensive Pl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ublishing, 2013. 

  8. H. Y. Jang, "Development Direction of Smart City Service Supporting Institution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7, no. 7, pp. 397-407, 2017.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7.397 

  9. S. H. Lee, Smart City, pp. 7-8, Communication books, 2017. 

  10. H. Y. Jang, "A Study on Priority Analysis for Activating the Convergence Smart City Servic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7, no. 8, pp. 152-161, 2017.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7.17.08.152 

  11. KRIHS, Implementation directions of smart land connected with reality and virtual, National Policy Brief, 2017. 

  12. KRIHS, A Study on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Approaches of Smart City Maturity and Potential Diagnostic Models, KRIHS Publishing, 2016. 

  13. J. Y. Lee, H. Y. Jang, S. Y. Kim, Y. M. Lim, "Research on Classification and Application Strategies of Ubiquitous City Constructions Targeting Old Towns", Journal of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vol. 15, no. 3, pp. 117-132, 2012. 

  14. B. J. Hwang, B. S. Kim, J. Y. Lee, "Proposes on Essential Ubiquitous City Service to Guarantee Minimum Quality of Ubiquitous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1, no. 1, pp. 53-64, 2013. DOI: https://doi.org/10.7319/kogsis.2013.21.1.0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