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통합을 위한 도시 집합주택의 주거동 내 공유공간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 MVRDV의 집합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Communal Spaces in Urban Collective Housing for Social integration - Focused on Case Studies on MVRDV's Collective Housing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7 no.3 = no.128, 2018년, pp.100 - 107  

임해원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이현수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overcome social exclusion and to integrate social housing, it is necessary to plan a communal space in urban collective housing so that residents can have belonging sense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inkage between social integration and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시 고밀화에 따른 공유공간의 부재와 사회통합을 위한 주거 환경으로의 전환이 절실히 요구됨에 따라 이에 적합한 사례인 MVRDV의 집합주택의 주거동 내 공유공간 계획특성을 분석하고 계획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것이 본 논문이 갖는 차별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공유 공간의 계획특성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현재 우리나라의 환경적, 도시적, 주거 정책적으로 차이가 있어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과 실제 거주자들의 관점에서 느껴지는 공유공간의 계획특성이 아닐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 본 연구에서 MVRDV의 집합주택 사례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한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 다. 본 논문에서는 MVRDV의 집합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수직적 커뮤니티 형성을 위해 적용된 공유공간의 계획 특성을 분석하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통합을 위한 도시 집합주택 주거동 내 공유공간의 계획방법을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둘째, 분석의 틀을 도출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기존의 집합주택에서 공유공간의 개념과 공간범위를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고밀화로 인한 주거문제에 직면하여 수직적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공유공간의 계획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즉, 집합주택의 주거동 내 공유 공간(단위세대 현관입구,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홀 등)에 집중하여 분석한다.
  • 사회통합을 위한 도시 집합주택은 거주자들이 소속감과 공동체 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공유공간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통합과 주거공간의 연계를 이론적 고찰하고 사회통합을 고려한 공동주택의 계획 특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집합주택의 주거동 내 공유공간의 범위를 한정하고 MVRDV의 집합주택 사례를 조사하고 공유공간의 계획 특성을 분석하였다.
  • 그러나 주로 하나의 주거동으로 계획된 도시 집합주택은 이러한 모든 차원을 동시에 다룰 수는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적 커뮤니티 형성을 위해 적용된 공유공간의 계획 특성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기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주거동 내 공유공간, 주거동 주변 공유 공간을 중심으로 하는 사례분석 연구를 진행하기로 한다. 주거동 내 공용시설 및 설비 영역은 단위세대의 생활공간과 거리가 떨어져 있어 거주자들의 활용측면에서 공간적인 연계가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외하기로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주거 복지적 관점에서 사회통합에 대한 물리적 접근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도시 집합 주택의 주거동 내 공유공간 계획특성을 살펴보는 의도를 갖고 있다. 이를 통해 사회통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 밀도화는 MVRDV의 설계 방법론에 중요한 도구이자 배경이 된다.
  • 6) 따라서 사회통합을 위한 도시 집합주택은 주거동 내 거주자들의 자연스러운 교류와 소통을 증진시켜주는 수직적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공유공간의 계획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 복지적 관점에서 사회통합에 대한 물리적 접근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도시 집합 주택의 주거동 내 공유공간 계획특성을 살펴보는 의도를 갖고 있다. 이를 통해 사회통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집합주택의 주거동 내 공유공간의 범위를 한정하고 MVRDV의 집합주택 사례를 조사하고 공유공간의 계획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사회통합을 위한 공유공간의 계획에 초점을 맞춰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공유공간의 계획방법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가설 설정

  • 2)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적 배제 현상을 해결하고 사회통합을 실현하기 위하여 추진된 국민임대주택은 저소득가구의 집단주거지라는 기존 인식을 극복하고 자연스럽게 계층 간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양주택을 단지 내에 유사한 비율로 공급하는 사회혼합(social mix)의 개념을 반영한 것이다.3) 이러한 주거단지의 사회혼합은 사회통합을 위한 하나의 대안이다. 그러나 도시의 주거 고밀도화로 인해 주거단지의 사회혼합은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도 한계를 지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통합형 공동주택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사회통합형 공동주택4)은 다양한 거주자간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거주자들이 이러한 공간을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거주자가 공동체성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하고 많은 공유공간을 제공하고, 이러한 공유공간이 자연스럽고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노인, 장애인 등의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하는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에서 사회통합의 중요성이 강조된 이유는 무엇인가? 1) 현대사회의 대규모 도시에서 공동체 형성은 집합주택이라는 주거유형으로 집단화를 이루어 살고 있지만 이웃 간의 생동감 있는 교류와 의사소통은 상실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사회통합의 주요 영역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은 노인, 청년 등 소득이 낮거나 가용자원이 부족한 사람들일수록 도시에서 적절한 주거를 획득하기 어렵고, 상대적 박탈감과 소외감을 유발하여 사회적 배제를 창출하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2)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적 배제 현상을 해결하고 사회통합을 실현하기 위하여 추진된 국민임대주택은 저소득가구의 집단주거지라는 기존 인식을 극복하고 자연스럽게 계층 간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양주택을 단지 내에 유사한 비율로 공급하는 사회혼합(social mix)의 개념을 반영한 것이다.
사회통합이란 무엇인가? 그러나 최근 주거공간의 사회혼합과 더 나아가 사회통합이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사회통합은 사회구성원들로 하여금 합리적 토론을 통해 갈등을 해소하여 공동체에 대한 귀속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다.1) 현대사회의 대규모 도시에서 공동체 형성은 집합주택이라는 주거유형으로 집단화를 이루어 살고 있지만 이웃 간의 생동감 있는 교류와 의사소통은 상실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Veronique Patteeuw, MVRDV 건축읽기, 시공문화사, 서울, 2004 

  2. Michele Costanzo, Mvrdv : Works and Projects 1991-2006, Milano : Skira, 2006 

  3. Ilka and Andreas Ruby, MVRDV buildings, Rotterdam : Nai010 Publishers, 2013 

  4. Schwartz, Taibakhsh, Mixed-income housing as social policy: The case for diminished expectations, New York: New School University, 2001 

  5. 김영석, 주거형태가 정신지체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0 

  6. 장경인, MVRDV 공동주택에 나타난 메타모포시스적 공간디자인 표현 특성, 상명대 석사논문, 2014 

  7. 박경수, 스페인 마드리드 MVRDV 공동주택의 건축계획특성 연구, 대진대 석사논문, 2018 

  8. Priemus, H., How to abolish social housing? The Dutch case,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19(1), 1995 

  9. 김위정, 공공임대주택 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배제 연구 -주거지격리를 통한 사회적 배제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연구소, 도시연구, 제9권, 2004.4 

  10. 김주진, 서수정, 정경일, 사회통합을 고려한 임주택정책 개발사례의 특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0권, 제6호, 2005.11 

  11. 신운경, 김은미, 우현혜, 박철수, 주거 단지의 사회통합을 위한 해외 건축계획 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08 

  12. 정지향, 이옥순, 주상복합아트 공적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제1호, 2008.2 

  13. 박정은, 이효원, 사회통합형 공동주택 개발을 위한 공유공간의 디자인 요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6호, 2010.6 

  14. 조민정, 수직적 도시 공동주거 커뮤니티에 적용된 공유공간의 계획특성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2011.10 

  15. 이민석, 해외 집합주택의 공유공간 계획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2권, 3호, 2013.6 

  16. 이재열, 조병희, 장덕진, 유명순, 우명숙, 서형준, 사회통합: 개념과 측정, 국제비교, 한국사회정책,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