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ontent Structure of Healthy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the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0 no.4, 2018년, pp.113 - 126  

김정현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  이명희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화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을 체계화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을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 및 간식 행동에서는 거주환경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다문화가정 어머니 국가와 거주환경에 따라 손씻기 등의 위생 영역과 식사 예절 내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교육 목표 설정을 위한 영역 설정은 안전(위생)-영양-문화 영역으로 도출할 수 있었으며, 영역별 주제는 전체 12주제로 하여 유아는 안전과 위생을 2 주제, 아동의 경우는 안전으로 3 주제, 영양 영역은 유아는 5주제, 아동은 6주제로 설정하였으며, 문화 영역은 동일하게 3 주제로 도출되었다. 전체적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는 12개월을 기준으로 12 주제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주제를 설정하였고, 이에 따른 교육 목표 및 교육 활동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content structure of healthy dietary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y parents who guides their children to the correct and desirable applications at home.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intended to establish the contents of healthy dietary education for multic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을 분석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부모교육으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 다문화가정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화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행동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기반으로 하였다. 선행연구(Jeong, 2013)의 설문조사의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식생활 행동 및 식습관, 기호도 조사의 3개의 영역으로 식생활행동 부분에 있어서 본 연구와 유사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수행한 조사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부모교육을 위한 건강식생활 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건강한 식생활 행동 확립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근거가 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전체 과정 및 연구의 구체적 결과물인 다문화가정 자녀의 건강식생활을 위한 부모교육의 교육 주제 및 목표설정과 내용 체계 구성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올바른 건강식생활 행동 확립에 있어, 무엇보다 가정 내에서의 부모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선행연구(Jo, 2012; Kim, 2008)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부모교육이 자녀의 행동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모의 건강식생활 교육의 역할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 자료의 틀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건강식생활을 위한 부모교육 내용은 기본적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건강식생활 행동 확립에 대한 올바른 식생활 행동을 길러 주게 할 뿐 아니라, 미래의 인력으로 성장하는 인재의 건강한 성장 발달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아침식사는 지난 2일간 아침식사 빈도와 평균 간식 섭취 빈도를 조사하였다. 또, 다문화가정의 유아의 식사 태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두 번째로 다문화가정의 아동기 자녀의 식생활 행동은 평상시 식생활 관련 행동들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 각 주제에 따라 교육 목표를 제시하여, 학부모가 자녀를 지도하는 내용의 목표 의식을 분명히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실제로 교육프로그램이 이루어질 때도 구체적인 교육 목표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주제에 따른 교육 활동을 제시하여, 가정에서 구체적인 활동 내용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화를 위하여 다문화가정의 자녀의 식생활 행동을 조사하였다. 다문화가정 자녀는 초등학교 입학 전인 유아기와 초등학생인 아동기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기, 아동기 자녀를 위한 건강식생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 체계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부모를 위한 건강 식생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위하여 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 다문화가정 자녀의 건강식생활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을 위한 교육 영역 설정에 따라 교육 내용 구성 체계를 구성하였다. 이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설정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에 대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세부 목표와 내용을 설정하고 설계하였다.
  •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였다. 이는 실제 생활 속에서 의미 있고 현실성 있는 자녀의 건강 식생활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가 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수행한 조사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부모교육을 위한 건강식생활 교육의 목표와 내용체계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건강한 식생활 행동 확립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근거가 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다문화가정의 특수성이 반영된 가정과 연계한 영양 및 식생활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근간이 되는 내용 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자녀의 식생활 행동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국의 다문화가정의 비율은? 다문화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 사회는 현재, 전국의 다문화가정은 31만 가구로 전체 가구대비 1.6%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인과 외국인의 혼인 비율은 전체 혼인 중 10% 내외 규모로 증가하였으며, 혼인의 양상은 최근 다소 변화가 되었지만, 여전히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 사이의 혼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여 전체 한국인과 외국인 혼인 중 70.
다문화 가정 ‘아동의 건강관리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무엇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하는가? 다문화가정 결혼이민자 부모들이 자녀 양육 시 겪는 어려운 점으로는 교육, 보육, 부적응, 정체성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아동의 건강관리에 대한 어려움’ 역시 높게 호소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2012).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의 비율이 가장 많은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는 영양관리 및 식생활 지도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인과 외국인의 혼인 비율은? 6%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인과 외국인의 혼인 비율은 전체 혼인 중 10% 내외 규모로 증가하였으며, 혼인의 양상은 최근 다소 변화가 되었지만, 여전히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 사이의 혼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여 전체 한국인과 외국인 혼인 중 70.5%에 이른다(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kostat.go.kr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5).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kostat.go.kr 

  3. The Department of Education (2015). www.moe.go.kr 

  4. The Department of Education (2017). www.moe.go.kr 

  5.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2017). www.mois.go.kr 

  6. Asano, K., Yoon, J., Ryu, S. H. (2014).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fter immigration toKo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9(4), 317-327. 

  7. Baek, E. Y. (2008). Study on the Dietary living of Multicultural You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8. Cha, S. M., Bu, S. Y., Kim, E. J., Kim, M. H., Choi, M. K. (2012). Study of dietary attitudes and dietmanage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according to residence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8(4), 297-307. 

  9. Choi, J. Y. (2015).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for the female immigrants of multicultural marriage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Vol. 12-1, pp.167-189. 

  10. Han, K. H. & Kim, G. H. (2011). A Study on the Program of Cultura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for The Korean JoumaI of MuIticutural Education, Vol. 2-2, pp. 83-104. 

  11. Han, S. Y (2011). A child rearing experience in women of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2. Han, Y. H. (2010).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3. Han, Y. H., Shin, W. S., Kim, J. N. (2011).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ur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Comparative Korean Studies, 19(1), 115-159. 

  14. Huang, H. Y. & Lee, Y. S. (2015). A Review of Parents'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Vol.21-6, pp.287-320. 

  15. Im, J. h. (2012). Nutrition status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mong elementary stud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 in Dong-gu, Ulsan-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s, Korea. 

  16. Jeong, S. Y. (2013).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Textbooks for Adolescents' Healthy Die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17. Jo, S. J. (2010). Study on the effect of parent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J. E. (2012).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from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of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J. M., Lee, N. H. (2009).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5(4), 405-418. 

  20. Kim, Y. S. (2008).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Adaptability of the Resilient Parenting Program to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Vol. 24, pp.189-222. 

  21. Lee, B. S. (2004). Effects of self-esteem emphasized and communication skill emphasized Active Parenting Train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2. Lee, E. K. (2015). A study with regard to the meanings of change aspects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out a parental competence program,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0-2, pp.55-86 

  23. Lee, J. S. (2012).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1(6), 807-815. 

  24. Lee, J. S. (2016). Development of a Korean Food Culture Education Textbook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 21, No. 5, pp. 415-425. 

  25. Lee, S. Y. (2005).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eat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nutrition education in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6. Lee, Y. J. (2007).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Protective Factors on Psychosocial Adjustments of International Couples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2(2),pp.83-105 

  27. Lesser, I. A., Gasevic, D., Lear, S. A. (2014). The association between acculturation and dietary patterns of South Asian immigrants, Public Library of Science One, 9(2), e88495. 

  28. Lv, N., Cason, K. L. (2004). Dietary pattern change and acculturation of Chinese Americans in Pennsylvania,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4(5), 771-778. 

  29. Oh, G. S. Jeong, H. C. (2012). Relationship of marital conflict with acculturation stres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7(3), 153-171. 

  30. Oh, M. S. (2011). Realities and Challenges of Educa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Preliminary Results from Interviews of Six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vol.4, no.1, pp. 43-77 

  31. Park, I. Y. (2016). Development and pilot implement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2. Park, J. Y. (2009). The Study on multi-culture support service 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Vol. 7, pp.31-62. 

  33. Satia-Abouta, J., Patterson, R. E., Neuhouser, M. L., Elder, J. (2002). Dietary acculturation: applications to nutrition research and dietetic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2(8), 1105-1118. 

  34. Satia-Abouta, J. (2003). Dietary acculturation: definition, process, assessment, and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4(1), 71-86. 

  35. Shin, M. J. & Lee, B. M. (2015). The Relationship of the Children's Elementary School Adaptation and the Participation in Parenting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Vol. 12-1, pp.1-24. 

  36. So, J., Han, S. N. (2012). Diet-related behaviors,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Vietnamese wive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7(5), 589-602. 

  37. Tseng, M., Wright, D. J., Fang, C. Y. (2014). Acculturation and dietary change among Chinese immigrant women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Immigrant and Minority Health, 17(2), 400-407. 

  38. Wandel, M., Raberg, M., Kumar, B., Holmboe-Ottesen, G. (2008). Changes in food habits after migration amongSouth Asians settled in Oslo, Appetite, 50(2), 376-3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