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행공동체로서의 과학교실이 가지는 구조적 요인 사이의 관계 탐색 -초등과학 실험수업의 모둠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tructural Elements of Science Classroom as Community of Practice: Focusing on the Case of Small-Group Activities in Practical Work of Elementary Sci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3, 2018년, pp.331 - 341  

박준형 (서울묘곡초등학교) ,  나지연 (춘천교육대학교) ,  정용재 (공주교육대학교) ,  송진웅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실행공동체로서의 과학교실(SCaCoP)'이 가지는 구조적 요인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 실험수업의 모둠활동을 5가지의 구조적 요인인, 학습책임감, 공동의 관심사, 개방적 참여, 호혜적 인간관계, 그리고 실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은 초등학교 과학교실의 5개의 모둠을 대상으로 5번의 수업관찰과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혜적 인간관계는 개방적 참여의 필요조건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공동의 관심사 요인에는 '구성원들의 흥미'와 '수업의 주제'의 두 가지 차원이 나타났으며, 두 차원은 각각 개방적 참여 요인과 학습책임감 요인의 영향을 주고받았다. 셋째, 실행요인은 다른 요인들과 역동적인 관계를 맺으며 다른 요인들의 특징을 강화시켜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행공동체로서의 과학교실이 가지는 구조적 요인 간의 관계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과학학습을 공동체에 참여로 보는 관점에서 가질 수 있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the structural elements of Science Classroom as Community of Practice (SCaCoP). For this, we investigated the case of small-group activities in practical work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in a qualitative way based on the five structural e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교실에서의 학습을 실행공동체의 관점에서 설명하면? 즉, 공동체 내에서 구성원 간의 유대나 결속의 원천을 실행(practice)에서 찾고자 한 것이다(Wenger, 1998). 따라서 실행공동체의 관점을 따른다면, ‘과학교실에서의 학습’은 학생들이 과학교실이라는 공동체의 ‘실행’에 참여하면서 교사를 포함하여 다른 학생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과학학습을 더 깊이 이해하는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실행공동체란 무엇인가? 이와 같은 관점을 배경으로 한 여러 가지 학습 관련 공동체들이 등장하였으며, 실행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CoP)도 이러한 접근 중의 하나로서(Seo, 2013), 공동체적 학습에서의 실행을 강조한다. 실행공동체란 “동일한 관심사와 일련의 문제, 어떤 주제에 대한 열정을 공유하면서,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 분야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을 좀 더 깊이 있는 것으로 만들어 가는 사람들의 집단”(Wenger, McDermott, & Snyder, 2002, p. 4)을 의미한다.
SCaCoP의 5가지 구조적 요인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2015)의 연구에 따르면 각 구조적 요인은 다음을 의미한다. 즉, ‘학습책임감’은 과학 교실 공동체가 추구하는 과학 학습 주제를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자신들의 역할에 책임감을 가지는 것을, ‘공동의 관심사’는 공동체가 몰두하는 과학 학습 주제가 공동체 구성원의 흥미와 관심사를 반영하며, 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공유하는 것을, ‘호혜적 인간관계’는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소속감과 친밀감을 느끼며 신뢰를 기반으로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것을, ‘개방적 참여’는 구성원들이 과학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개방적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고, 권력이 분산되어 있으면서, 교사는 다른 구성원들이 골고루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그리고 ‘실행’은 공동체 활동을 통해서 과학 지식과 결과물을 생성, 공유, 적용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 특유의 교실 분위기나 스타일, 규칙, 평가 원칙을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표로 나타내면 Table 1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kerson, V. L., Cullen, T. A., & Hanson, D. L. (2009). Fostering a community of practice through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and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10), 1090-1113. 

  2. Chang, J., Park, J., & Song, J. (2014). Features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Science Subject Teacher’s Experiment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the Sociocultural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2), 217-230. 

  3. Chun, E., Na, J., Joung, Y. J., & Song, J.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Measuring Instrument for the Analysis of Science Classroom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of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1), 131-142. 

  4. Jho, H., Hong, O., & Song, J. (2016). An analysis of STEM/STEAM teacher education in Korea with a case study of two schools from a community of practice perspective.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2(7), 1843-1862. 

  5. Joung, Y. J., & Chun, E. (2014). Analysis on the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Community of Practice’ in Korea: Focused on Implications for Stud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3), 464-478. 

  6. Kim, J., Na, J., & Song, J. (2017).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the Strategic Community of Practice for Science Education: A Case of Science Core School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1), 169-179. 

  7. Lave, J., &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Lee, M., & Kim, H-B. (2016).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hift in Scientific Practice and Perception Through the R&E Participation: on the Perspective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3), 371-387. 

  9. Lotter, C., Yow, J. A., & Peters, T. T. (2014). Building a community of practice around inquiry instruction through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2(1), 1-23. 

  10.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Revised and Expanded from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ERIC. 

  11. Park, J., Na, J., Joung, Y. J., & Song, J. (2015).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Science Class?: Developing a Framework for Cultural Analysis of Scienc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3), 499-508. 

  12. Park, J., Song, J., & Abrahams, I. (2016). Unintended learning in primary school practical science lessons from Polanyi’s perspective of intellectual passion. Science & Education, 25(1-2), 3-20. 

  13. Seo, K. (2013). A community approach to teacher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3), 161-191. 

  14. Stork, J., & Hill, P. A. (2000). Knowledge diffusion through strategic communities. Sloan Management Review, 42(1), 63-74. 

  15. Stroupe, D. (2014). Examining classroom science practice communities: How teachers and students negotiate epistemic agency and learn science­aspractice. Science Education, 98(3), 487-516. 

  16.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7.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Wenger, E., McDermott, R. A., & Snyder, W. (2002). Cultivating communities of practice: A guide to managing knowledge. Harvard Business Press. 

  19. Wenger, E., & Snyder, W. M. (2000). Communities of Practice: The Organizational Frontier. Harvard Business Review, 78(1), 139-1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