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대학생의 미세먼지 관련 지각이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 귀인양식, 관여도, 건강상태지각 및 예방행동의도를 중심으로
Exploration into effect of perception on health behavior regarding particulate matter(PM) among Korean collegians: Centered on attribution styles, involvement,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reventive inten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7, 2018년, pp.269 - 276  

주지혁 (극동대학교 언론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세먼지는 국민건강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정부 당국은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통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가적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 미세먼지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위험회피행동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 연구는 미세먼지에 대한 관여도, 귀인양식, 및 건강상태지각이 예방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했다. 우선 우리나라 사람들이 인식하는 미세먼지 발생원인에 대해 '일상생활 귀인', '국내 산업 및 환경 귀인' 및 '중국 산업 및 환경귀인'의 세 가지 귀인양식을 요인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미세먼지 관련 지각 변인들의 영향력을 밝히기 위해 단계선택방식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최종 모형에서 '관여도(${\beta}=.465$, p<.001)', '중국산업 및 환경 귀인(${\beta}=.222$, p<.001)', '일상생활 귀인(${\beta}=.173$, p<.01)', 및 '국낸 산업 및 환경 귀인(${\beta}=.143$, p<.05)' 순으로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밝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particulate matter (PM) is fatal for human being, the government authorities try to lessen PM with a variety of policy instrument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olicy, we need to understand people's perception and risk avoidance on PM. Thus, the research explored what attribution styl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개인 건강의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는 미세먼지와 관련된 지각, 자신의 건강에 대한 지각과 위험 회피를 위한 예방행동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관여도, 미세먼지 발생원에 대한 귀인양식 및 건강상태지각이 예방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 상황에서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회피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따라서 예방행동의도를 예측하기 위한 독립변인을 건강상태지각, 관여도 및 미세먼지 발생원에 대한 귀인양식 등의 심리적 변인에 초점을 두고 있다.
  • 정부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 미세먼지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위험회피행동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미세먼지에 대한 관여도, 발생원에 대한 귀인양식 및 건강상태지각이 미세먼지 관련 예방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 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Pender 의 건강증진모형(Health Promotion Model)[19]에 따르면 건강상태지각은 건강증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 관련 상황에서도 건강상태 지각이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에 연구문제 4 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로 인한 국민건강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부 방안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중요한가? 미세먼지로 인한 국민건강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부 방안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적 차원의 정책 못지않게 개인적 차원의 위험 회피행동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미세먼지와 관련된 정부의 거시적 정책 대안 못지않게, 건강 위험을 회피하려는 미시적 차원의 개인 행태가 건강유지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미세먼지란 무엇인가?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가늘고 작은 입자의 먼지를 이르는 말이다[1]. 미세먼지 중 PM10은 대기 중에 떠다니는 분진 중 직경이 10μm(μm=0.
미세먼지 상황에서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회피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예방행동의도를 예측하기 위해 무엇에 초점을 두는가? 본 연구는 미세먼지 상황에서 건강을 유지하고 질병을 회피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따라서 예방행동의도를 예측하기 위한 독립변인을 건강상태지각, 관여도 및 미세먼지 발생원에 대한 귀인양식 등의 심리적 변인에 초점을 두고 있다. 대중들의 실제적인 미세먼지 관련 예방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메시지와 미디어 전략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 W. Kim, H. S. Lee, H. J. Lee, & Y. J. Jang. (2015). A Study of the Public's Perception and Opinion Formation On Particulate Matter Risk: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erceptions toward Promotional News and Involvemen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72), 52-91. 

  2. Y. P. Kim. (2006). Air Pollution in Seoul Caused by Aeros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2(5), 535-553. 

  3. Korean Social Trends 2014. (2014).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edu/sri_kor_new/5/6/index.board?bmoderead&bSeq&aSeq332659&pageNo2&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4. D. W. Kim. (2017, Sept. 27). More than 80% of high-density particulate matter occurred by the foreign factor, Domestic measure facing the limit. The Herald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from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70927000711#a 

  5. B. Weiner. (2006). Social motivation, justice, and the moral emotions: An attributional approach.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 H. H. Kelley. (1967). Attribution theory in social psychology.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7. K. Jang, & Y. M. Beak. (2016). How did MERS outbreak become a political matter? : How political ideology moderates the effect of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beliefs on citizens' attribution process of MERS outbreak.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0(3), 36-65. 

  8. S. Kim, & H. Cha. (2016). The effect of responsibility attribution message and emotion on the policy support and health behavior in obesity circumstance : An application of attribution theory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0(2), 369-398. 

  9. J. Niederdeppe, M. A. Shapiro, & N. Porticella. (2011). Attributions of responsibility for obesity: Narrative communication reduces reactive counterarguing among liberal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37(3), 295-323. 

  10. J. Niederdeppe, C. A. Bigman, A. L. Gonzales, & S. E. Gollust. (2013). Communication about health disparities in the mass media. Journal of communication, 63(1), 8-30. 

  11. S. Gollust, & J. Lynch. (2011). Who deserves health care? The effects of causal attributions and group cues on public attitudes about responsibility for health care costs. Journal of Health Politics, Policy and Law, 36(6), 1061-1095. 

  12. M. Mattson. (1999). Toward a reconceptualization of communication cues to action in the health belief model: HIV test counseling. Communications Monographs, 66(3), 240-265. 

  13. S. Hong. (2013). The Effects of Cancer-related Information Search From Media as Communication Cues on Health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1), 78-86. 

  14. Lee, H.-j. Oh, K.-A. Shin, & J. Ko. (2008). The effect of media campaign as a cue to action on influenza prevention behavior : Extending health belief model.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 10(4), 108-138. 

  15. Advertising Dictionary. (1996). Seoul: Nanam. 

  16. E. Krugman. (1977). Memory without recall, exposure without perception.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7(4), 7-12. 

  17. K.-Y. Kwahk, & S. Ji. (2008).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in the internet purchase decision process.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8(2), 15-40. 

  18. Y. Kang, M. Kim, G. Lee, D. Jung, & R.-w. Ma. (2012). A study of social support, loneliness, sleep qual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2), 303-313. 

  19. N. J. Pender.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2nd ed.). Norwalk, CT: Appleton & Lange. 

  20. J. Jung, & D. Lee. (2012). A Study on Frame Effect in Elaboration Likelihood Perspective: Focusing on the Cancer Related New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6(6), 278-309, 425. 

  21. Y. Kim, H. Lee, Y. Jang, & H. Lee. (2016). A Cluster Analysis on the Risk of Particulate Matter : Focusing on Differences of Risk Perceptions and Risk-Related Behaviors based on Public Segmentatio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20(3), 201-235. 

  22. J. Joo. (2012). Differences of purchasing luxury brand between female and male : Focusing o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Advertising Research, (94), 70-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