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한국 여성의 인식 연구
The Study on Korea Women's Recognition on Cervical Cancer Screen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337 - 343  

김재우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강정규 (청주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김성호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1월부터 검진연령이 만 20세까지 확대된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한국 여성의 연령대별 인식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자료는 2017년 7월 26일부터 31일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총 332명의 설문응답을 수집하였다. 332부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행 자궁경부암 검진사업에 대해 116명(34.9%)만이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대다수의 응답자인 298명(89.8%)은 수검의도가 있었지만, 실제 검진경험이 있는 사람은 209명(63.0%)으로 낮았다. 따라서 검진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수검률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ystematical survey about the recognition by Korean women's age groups on the cervical cancer screening, of which screening age has expanded to include 20 years of age as of January 2016.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July 26th to 31st 2017, and 33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한국 여성의 인식을 조사하고, 연령대별 비교ㆍ분석하여 2016년 1월부터 검진 연령이 확대되어 실시되고 있는 현행 자궁경부암 검진사업에 대해 진단하고 향후 정부의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 중 관리 및 홍보 사업을 운영하는데 기초ㆍ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 여성의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현행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에 대해 과반의 여성이 만 20세로 확대 적용한 것을 정확히 인지를 하지 못 하고 있었으며, 수검 의도는 높았으나 실제 검진 경험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음을 밝혀냈다.
  • 본 연구에서는 단면 인터넷 설문을 수행하였다. 설문 참가자는 설문조사 기업인 마크로밀 엠브레인에 등록된 사람들로, 암 병력에 관계없이 무작위 표본으로 설문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여성의 연령대별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인식을 체계적으로 조사 및 제시하여 정부의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 중 관리 및 홍보 사업을 운영하는데 기초·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국가암관리를 위한 정부의 막대한 예산투자와 국가암 검진 수검률 자료에 근거하여 ‘정부의 투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한민국 여성 10명 중 약 4명은 자궁경부암 검진을 받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제기하게 된다. 연구진은 아직도 많은 한국의 여성들이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2016년 검진연령의 확대로 새롭게 검진대상에 포함된 20대의 인지율이 낮을 것으로 가정하고,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한국여성의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였다. 한국 여성의 자궁경부암 검진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20대 여성의 자궁경부암 지식, 태도에 대한 연구[14], 농촌지역 여성의 자궁경부암 검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15], 부산 일부지역 여성들의 자궁경부암 조기 검진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대한 연구[16]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관리법 제4조는 어떤 내용인가? 정부는 암관리법 제4조에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암의 발생을 예방하고, 암의 조기 발견 등 암 관리에 대한 범국민적인 관심을 높이기 위한 교육·홍보 사업을 시행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10], 국립암센터와 전국 12개 지역암센터에서 각각 국가암정보센터와 암교육·홍보팀 등을 설치하게 하였으며, 국가암관리를 위해 2017년 예산 약 290억 원에서 추경액 270억 원을 추가로 편성해 총 560억 원의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있다[11].
2011-2015년 사이 발생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어떤 수치로 나타났는가? 또한, 2015년 국가암등록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1-2015년 사이 발생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79.9%로 1993-1995년 보다 2.4% 증가하였으며, 이는 모든 암의 5년 상대생존율 78.4%에 비하여 다소 높은 편이며 갑상선암 5년 상대생존율 100.2% 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1]. 자궁경부암 5년 상대생존율의 향상은 우리나라의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의 효과로 볼 수 있으며.
자궁경부암의 새로운 검진 권고안은 어떤 목적이 있는가? 이러한 국내외적 변화에 대응하여 국립암센터를 중심으로 각 학계 전문가로 구성된 자궁경부암 검진 권고안 개정위원회는 자궁경부암에 대한 근거중심의 적절한 검진 권고안을 개발하여 의료인들에게 자궁경부암 검진의 표준지침을 제공하고, 국민들에게는 자궁경부암 검진의 이득과 위해에 관련된 적절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약 3년 간 자궁경부암 검진 권고안 개정 작업을 진행하였다. 기존의 만 3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2년 간격으로 자궁 경부세포검사를 실시하던 기존의 자궁경부암 검진 권고 안이 2016년 1월 1일부터 근거중심의 새로운 검진 권고 안을 바탕으로 검진연령이 만 20세 여성으로 확대 적용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ttp://www.ncc.re.kr/prBoardView1.ncc?nwsId3380&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2. V.A. Moyer;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2). Screening for cervical cancer: U.S. Prevne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Ann Intern Med, 156(12), 880-891. DOI : 10.7326/0003-4819-156-12-201206190-00424 

  3. J. Dickinson et.al. (2013). Recommendations on screening for cervical cancer. CMAJ, 185(1), 35-45. DOI : https://doi.org/10.1503/cmaj.121505 

  4. J. K. Lee et al. (2013). Practice guidelines for the early detection of cervical cancer in Korea: Korean Society of Gynecologic Oncology and the Korean Society for Cytopathology 2012 edition. J Gynecol Oncol, 24(2), 186-203. DOI : 10.3802/jgo.2013.24.2.186 

  5. D. Saslow et al. (2012). American Cancer Society, American Society for Colposcopy and Cervical Pathology, and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Pathology screening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cervical cancer. CA Cancer J Clin, 62(3), 147-172. DOI : 10.3322/caac.21139 

  6. Committee on Practice Bulletins-Gynecology. (2012) ACOG Practice Bulletin Number 131: screening for cervical cancer. Obstet Gynecol, 120(5), 1222-1238, DOI : http://10.1097/AOG.0b013e318277c92a. 

  7. J. Murphy et al. (2012). Cervical screening: a guideline for clinical practice in Ontario. J Obstet Gynaecol Can, 34(5), 453-458, DOI : https://doi.org/10.1016/S1701-2163(16)35242-2 

  8. E. E. Partridge et al. (2010). Cervical cancer screening. J Natl Compr Canc Netw, 8(12), 1358-1386, DOI : 10.6004/jnccn.2013.0043 

  9. C. Hamashima et al. (2010). The Japanese guideline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Jpn J Clin Oncol, 40(6), 485-502, DOI : 10.1093/jjco/hyq036. Epub 2010 Apr 30 

  10.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0766&efYd20160804#0000 

  11.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39934&pag e1 

  12. http://www.ncc.re.kr/prBoardView1.ncc?nwsId3372&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2 

  13. K. M. Decker, M. Harrison & R. B. Tate. (1999). Satisfaction of women attending the Manitoba breast screening program. Prev Med, 29(1), 22-27, DOI : 10.1006/pmed.1999.0497 

  14. K. H. Kim. (2017). A Study on Korean Female 20s' Knowledge, Attitude and Screening Behavior for Cervical Cancer. Master's dissertation. Shinhan University, Uijeongbu. 

  15. J. D. Park, P. S. Kang & K. S. Lee. (2004). Factors Related with Screening Behaviors of Breast and Cervical Cancers among Women in a Rural Area.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8(1), 49-64, DOI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0569519 

  16. K. W. Koh, D. H. Lee, Y. W. Lee & H. S. Sohn. (2002). A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Uterine Cervical Screening and its Utilization among Women in a District of Busan City.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6(1), 93-105, DOI : http://www.dbpia.co.kr/Article/NODE00569229 

  17. J. D. Kim. (2015). Differences of Cancer Screening Rates According to the public Relation Channel. Doctorial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Seongnam. 

  18. S. J. Baek. (2014). Effect of Public Relations on Colon Cancer Screening. Master's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Seongna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