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and Social-Support on Medication Adherence in Eldery with Chronic Disease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419 - 428  

정현주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  배정희 (광주보건대학교 병원전산관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 및 약물복용이행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 H군에 소재한 2곳의 중소병원을 내원한 만성질환노인 100명이며,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14일부터 2017년 8월 1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일대일 면접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약물복용이행은 건강정보이해능력(r=.398, p<.001)과 사회적지지(r=.453, p<.001)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사회적지지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731, p<.001)를 나타냈다.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약물부작용경험 유무였으며 약물복용이행을 25.9%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3.91, p<.001).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만성질환노인에게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약물부작용경험이 없을수록 약물복용이행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만성질환노인의 약물복용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인의 사회적 지지와 정확한 약물복용방법 등이 포함된 맞춤형 의료정보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health literacy, social support and medication adherence in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Method: Participants were 100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in two small hospitals in J do H. A structured questionnaires was used to measur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 대상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 및 약물복용이행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가. 대상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 및 약물복용이행을 파악한다.
  • 라. 대상자의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 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약물복용 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 및 약물복용이행의 차이를 파악한다.
  • 이와 더불어 만성질환노인의 약물치료의 효과는 약물의 효능과 복약이행으로 결정되므로, 약물복용이행과 관련된 요인인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사회적지지의 관계와 약물복용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만성질환자의 건강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 및 약물복용이행 정도를 파악하고 약물복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성질환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 및 약물복용이행 간의 관계와 약물복용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만성질환노인은 여러 가지 질환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고 증상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완화시키지 위해서는 지속적인 약물복용이행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만성질환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 및 약물복용이행의 관계를 파악하여 약물복용이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만성질환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력, 사회적지지, 약물복용이행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력이 클수록 사회적지지가 높고, 약물복용이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정보이해력이 높고 약물복용이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사회적지지 및 약물복용이행 정도를 파악하고 약물복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만성질환노인의 약물복용이행을 증진하기 위한 객관적 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의 건간정보이해능력을 파악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복합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대상자가 자신의 질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의료정보를 이해하는 능력이 우선적으로 필요한데[2,3] 노인의 경우 자신이 앓고 있는 질병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은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부족하여 의료정보를 오해하기 쉽고, 의료지시를 이행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된다[4,5]. 또한 약물에 대한 지식이 낮고 약물 오남용 행위가 많으며[6], 검사 설명서나 동의서와 같은 의료기관이용에 필요한 내용을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7]. 이처럼 건강정보이해능력은 지속적이고 올바른 약물복용이행이 이루어져야 하는 만성질환노인에게 매우 중요한 요인이므로 높은 질환 유병률과 다제복용이 흔한 만성질환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만성질환 관리의 궁극적 목표는 무엇인가? 만성질환 관리의 궁극적 목표는 질병의 완치보다는 증상 완화와 질병 악화를 지연시켜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있으며[12], 만성질환 관리는 적절한 생활습관의 준수하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올바른 약물복용을 이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13]. 약물복용을 잘 이행하게 되면, 증상이 완화되며 재입원이나 사망률이 감소하므로 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자존감 회복과 우울증상 감소 등 심리적인 안정에도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14] 만성질환자의 50.
약물복용을 잘 이행하게 될 경우의 효과는 무엇인가? 만성질환 관리의 궁극적 목표는 질병의 완치보다는 증상 완화와 질병 악화를 지연시켜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있으며[12], 만성질환 관리는 적절한 생활습관의 준수하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올바른 약물복용을 이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13]. 약물복용을 잘 이행하게 되면, 증상이 완화되며 재입원이나 사망률이 감소하므로 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자존감 회복과 우울증상 감소 등 심리적인 안정에도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14] 만성질환자의 50.2% 이상이 약물복용을 잘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보고되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2014 National survey results on the elderly life conditions and welfare need.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2. D. Schillinger et al. (2002). Association of health literacy with diabetes outcome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8(4), 475-482. DOI:10.1001/jama.288.4.475 

  3. D. W. Baker et al. (2003). Health literacy and risk use of out patient physician services by medicare managed care enrollee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9, 215-220. DOI:10.1111/j.1525-1497.2004.21130.x 

  4. T. C. Davis et al. (2006). Literacy and misunderstanding prescription drug label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45(12), 887-894. DOI:10.7326/0003-4819-145-12-200612190-00144 

  5. D. B. Friedman, L. Hoffman-Goetz & J. F. Arocho. (2006). Health literacy and the World Wide Web: Comparing the readability of leading incident cancer on the Internet. Medical Informatics and the Internet in Medicine, 31(1), 67-87. DOI: 10.1080/14639230600628427 

  6. S. A. Lee & M. H. Park. (2010). A study on health literacy, medication knowledge, and medication misuse of rural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2), 485-497. DOI:KINX2010082293 

  7. S. H. Kim & E. J. Lee. (2008). The influence of functional literacy on perceived health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195-203. http://uci.or.kr/G704-000229.2008.38.2.003 

  8. S. Kim & S. I. Nam. (2017). Assessment of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self-rated health status, life satisfaction among chronic disease in Elderly: A comparison with healthy elderlies through multi-group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cal Society, 37(3), 783-801.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ExtDownload.laf 

  9. S. W. Gwon. (2014).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upport on the symptoms and mecdication adherence in psychiatric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0. Y. J. Choi et al. (2002). Family support and life quality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Diabetes, 3, 270-279. http://210.101.116.17/kiss8/viewer.asp 

  11. Statistics Korea. (2012). http://kostat.go.kr 

  12. W. F. Gellad, J. L. Gernard & Z. A. Marcum. (2011). A Systematic Review of Barriers to medication adherence in the Elderly: Looking Beyond Cost and Regimen Complexity.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harmacotherapy, 9(1), 11-23. DOI: 10.1016/j.amjopharm.2011.02.004 

  13. S. A. Doggrell. (2010). Adherence to medicines in the older aged with chronic conditions: Does intervention by an allied health prpfessional help?. Drugs and Aging, 27(3), 239-254. DOI: 10.2165/11532870-000000000-00000 

  14. J. Y. Hwang & H. M. Chen. (2014). Concept analysis of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The Journal of Nursing, 61(3), 112-118. DOI : 10.6224/JN.61.3.112 

  15. S. G. Bae, H. J. Jeon, H. S. Yang, B. K. Kim & G. S. Park. (2015). Medication adherence and its predictors in community elderly patients with hypertens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5(3), 121-128. https://doi.org/10.15384/kjhp.2015.15.3.121 

  16. M. S. Park. (2008). Drug Us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2), 195-205. http://viewer.nl.go.kr:8080/main.wviewer 

  17. I. Baral, F. Andreasen, & E.M. Damsgaard. (2001). Drug therapy in the elderly: what doctors believe and patients actually do.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51(6), 615-622. DOI:10.1046/j.0306-5251.2001.01401.x 

  18. S. M. Park & Y. H. Kang. (2017). Symptom experience, self-efficancy, depression, and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Korean Clinical Research, 23(2), 170-078. https://doi.org/10.22650/JKCNR.2017.23.2.170 

  19. J. Y. Park. (2010). Influencing factors o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the rural eld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20. G. D. Zimet, N. W. Dahlem, S. G. Zimet & G. K. Farley.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DOI:10.1207/s15327752jpa5201_2 

  21. J. S. Sin & Y. B. Lee. (1999).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37, 241-269.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article/articleSearchResultDetail.do?cnJAKO199903749521496 

  22. D. E. Morisky, M. Krousel­Wood & H. J. Ward. (2008). Predictive Validity of a medication adherence measure in an outpatient setting. Journal of Clinical Hypertension, 10(5), 348­354.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562622/ 

  23. S. H. Min & J. I. Kim. (2012). Construction of explanatory model for medication adherence in older people with chronic disease. J Korean Academy of Fundmenatals Nursing, 19(4), 463-472. http://dx.doi.org/10.7739/jkafn.2012.19.4.463 

  24. H. J. Park & S. K. Hwang. (2014). Longituistic and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community-dwelling old adult. Global Health and Nursing, 4(2), 49-58. http://uwcms.pusan.ac.kr/user/708600/download/4-2-49.pdf 

  25. S. J. Yoon. (2017). The relationships of health literacy, medication adherence and self-care performance of Diabetes Millitus patients. Health & Nursing, 29(1), 27-39. http://210.101.116.16/kiss6/v 

  26. T. H. Lee & S. J. Kang. (2008).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eldery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4), 847-863. http://ir.ymlib.yonsei.ac.kr/bitstream/22282913/108038/1/T200803115.pdf 

  27. M. A. Seo & S. K. Min. (2005).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compliance in persons with schizophrenia in community. Journal of Korean Psycho Mental Health Nursing, 14(1), 23-32. http://210.101.116.16/kiss61/viewer.asp 

  28. K. Makey, M. L. Parchman, L. K. Leykum, H. J. Lanham, P. H. Noel & J. E. Zeber. (2012). Impact of the Chronic Care Model on medication adherence when Patients perceive cost as a barrier. Primary core diabetes, 6(2), 137-142. DOI: 10.1016/j.pcd.2011.12.004 

  29. Y. S. Kim & E. A. Kang. (2017).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literac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or others. Health and Science, 46, 85-110. DOI :10.21489/hass.2017.12.46.85 

  30. K H. Ryu., & Y. J. Son. (2013). Impact of 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on Medication Adherence of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5(3), 107-114. DOI : http://dx.doi.org/10.7586/jkbns.2013.15.3.107 

  31. L. C. Hutchison, S. K. Jones , D. S. West & J. Y. Wei (2006). Assessment of medicaton management bycommunity living elderly persons with two standardizedassessment tools: A crosssectional study. The AmericanJournal of Geriatric Pharmacotherapy, 4(2), 144-153.DOI: 10.1016/j.amjopharm.2006.06.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