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인지기능의 관계에 대한 일 연구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Korean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429 - 439  

김영범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 수준에 따라 인지기능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사회적 고립을 구성하는 개별 항목이 인지기능 수준과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을 배우자 혹은 자녀가 없는 구조적 고립상태와 가족, 친구, 공식적 사회단체 등과 접촉하지 않는 접촉 고립상태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 5차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3,971명을 대상으로 다변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을수록 인지기능 수준이 낮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고립의 여러 구성 요소 중 친구 이웃 고립, 사회활동 고립이 인지기능과 관련성이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노인의 인지기능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활동 참여를 위한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고립의 영향을 고려할 때 향후 사회적 고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도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social isolation level in elderly Korean. The author classified the social isolation into the structural isolation and contact isolation. Structural isolation corresponded to the no spouse or no children an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social isolation)의 부정적 영향에 주목하여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고립과 인지기능 과의 관계를 밝혀보는 것이 목적이다. 사회노년학의 경우 사회적 고립의 측면보다는 사회활동이 갖는 영향에 주목하여 왔는데, 새로운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그렇지 않는 경우에 비해 인지기능을 유지하는데 더 유리 하다는 연구 결과[7]가 제시된 바 있다.
  •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이 직면한 위험에 주목하여 고령화연구패널 5차 조사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고립과 인지기능과의 관계를 분석 하고, 사회적 고립의 다양한 요인 중 무엇이 인지기능과 관련되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고립에 따라 인지기능에 차이가 있는지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고립을 배우자 혹은 자녀가 없는 구조적 고립상태와 가족, 친구, 공식적 사회단체 등과 접촉하지 않는 접촉 고립상태로 구분 한 후 사회적 고립 수준에 따라 인지기 능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사회적 고립을 구성하는 개별 항목이 인지기능 수준과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노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고립에 따라 인지기능에 차이가 있는지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고립을 배우자 혹은 자녀가 없는 구조적 고립상태와 가족, 친구, 공식적 사회단체 등과 접촉하지 않는 접촉 고립상태로 구분 한 후 사회적 고립 수준에 따라 인지기 능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사회적 고립을 구성하는 개별 항목이 인지기능 수준과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신체건강이 열악할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낮고, 외로움도 더 크게 느낀다[3, 4].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은 고립되지 않은 노인에 비해 신체건강도 더 열악할 가능성이 큰데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의 경우 식사를 정기적으로 하기 어렵고 필요한 경우 의료서비스를 적절 하게 이용하지 못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5, 6].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은 최근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고독사의 위험도 매우 높다.
사회적 고립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이 그렇지 않는 사람에 비해 건강상태가 나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양한 사회관계를 맺고 있으면 흡연이나 음주 등 건강에 해로운 행동을 하지 않도록 감시(monitoring)받을 수있는 가능성도 높다. 이와는 달리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은 건강에 해로운 행위를 하더라도 사회관계로부터 감시를 받을 수 없다. 결과적으로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에 비해 고립되지 않은 사람은 건강에 해로운 행동을 할가능성이 적고 이로 인해 건강상태 역시 더 좋을 가능성이 많다. 둘째, 사회적으로 고립되지 않은 사람은 사회적 으로 고립된 사람에 비해 정보를 얻는데 유리하다.
인구 고령화는 무엇인가? 2018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후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다른 어느 국가보다도 빠른 속도이다. 인구 고령화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상대적, 절대적 증가를 의미하는데, 인구 고령화에 따라 노인 부양 부담의 증가, 경제 성장의 제약, 세대간 자원 배분에 대한 갈등 등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평균수 명의 증가에 따라 신체능력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에도 문제가 있는 노인도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inistry of Social Welfare. (2012). Press Release- in 2012 Prevalence of dementia 9.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Press Release), http://www.mohw.go.kr 

  2. G. C. Wenger &V. Burholt. (2004). Changes in Levels of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among Older people in a Rural Area: A Twenty-Year Longitudinal Study. Canadian Journal of Aging, 23(2), 115-127. DOI:10.1353/cja.2004.0028 

  3. M. J. Park. (2010). Social Isola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Low-income Older Adults: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0(3), 895-910. 

  4. M. S. Lee. (2012). Does the Social Activity of the Elder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Suicidal Ideation.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40(3), 231-259. 

  5. A. Hawton et al. (2011). The Impact of Social Isolation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lder People. Quality of Life Research, 20(1), 57-67. DOI: 10.1007/s11136-010-9717-2 

  6. C. E. Coyle & E. Dugan. (2012). Social Isolation, Loneliness and Health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4(8), 1346-1363. DOI: 10.1177/0898264312460275 

  7. S. H. Lee & Y. B. Kim. (2016). Which Type of Social Ativities May Rduce Cgnitive Dcline in the Elderly?: A Longitudinal Population-Based Study. BMC Geriatrics, 16, 165. 

  8. J. T. Cacioppo & L. C. Hawkley. (2009). Perceived isolation and health. Trends in Cognitive Science, 13(10), 447-454. DOI: 10.1016/j.tics.2009.06.005 

  9. Uchino, B. N. (2006). Social Support and Health: A Review of Physiological Processes Potentially Underlying Links to Disease Outcome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9, 377-387. DOI: 10.1007/s10865-006-9056-5 

  10. J. Cervilla, M. Prince & A. Mann. (2000). Smoking, Drinking, and Incident Cognitive Impairment: A Cohort Community Based Study Included in the Gospel Oak Project.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68(5), 622-626. 

  11. G. C. Wenger, Davies, R. S. Shahtahmasebi & A. Scott. (1996).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in Old Age: Review and Model Refinement. Ageing and Society, 16, 333-358. DOI: 10.1017/S0144686X00003457 

  12. E. Y. Cornwell & L. J. Waite. (2009a). Measuring Social Isolation Among Older Adults Using Multiple Indicators from the NSHAP Study. Journal of Gerontology(B), 64(S1), i38-i46. DOI: 10.1093/geronb/gbp037 

  13. C. Victor, S. Scrambler, J. Bond & A. Bowling. (2000). Being Alone in Later Life: Loneliness, Social Isolation and Living Alone.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10(4), 407-417. DOI: 10.1017/S0959259800104101 

  14. J. Tomaka, S. Thompson & R. Palacios. (2006). The Relation of Social Isolation,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to Disease Outcomes Among the Elderly.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8(3), 359-384. DOI: 10.1177/0898264305280993 

  15. E. Y. Cornwell & L. J. Waite. (2009b). Social Disconnectedness, Perceived Isolation, and Health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50(1), 31-48. DOI: 10.1177/002214650905000103 

  16. L. Fratiglioni, S. Paillard-Borg & B. Winblad. (2004). An Active and Socially Integrated Life Style in Late Life Might Protect Against Dementia. Lancet Neurology, 3, 343-353. DOI: 10.1016/S1474-4422(04)00767-7 

  17. Y. K. Lee, M. R. Sung & D. Y. Lee. (2011). Comorbidity and Health Habits of Seoul City Elders with Dementia. J. Korean Acad Nurs. 41(3), 411-422. DOI: 10.4040/jkan.2011.41.3.411 

  18. Jedrziewski, M. K., Lee, V. M. Y. & Trojanowski, J. Q. (2007).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Health. Alzheimers Demnt, 3(2), 98-108. DOI: 10.1016/j.jalz.2007.01.009 

  19. M. I. Geerlings et al. (2000). Depression and Risk of Cognitive Decline and Alzheimer's Diseas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76, 568-575. 

  20. S. Y. Lee & Y. Y. Kim. (2017).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impairment ofthe seniors using senior cent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3), 393-403. DOI: 10.17079/jkgn.2015.17.3.121 

  21. Y. K. Kwon & K. S. Paek.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in commun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2), 587-594. DOI: 10.14400/JDC.2014.12.2.587 

  22. M. A. Vassilaki et al. (2015). Multimorbidity and Risk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the Geriatric Society, 63(1), 1783-1790. DOI: 10.1111/jgs.13612 

  23. E. A. DiNapoli, B. Wu & F. Scogin. (2012). Social Isola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Appalachian Older Adults. Research on Aging, 36(2), 161-179. DOI: 10.1177/0164027512470704 

  24. C. L. M. Lam, J. Yu & T. M. C. Lee. (2017). Perceived Loneliness and General Cognitive Status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The Moderating Influence of Depression. Neuro psychology, Development, and Cognition-Section B, Aging, Neuropsychology and Cognition, 24(5), 471-480. DOI: 10.1080/13825585.2016.1226246 

  25. J. T. Cacioppo & L. C. Hawkley. (2003). Social Isolation and Heath, with an Emphasis on Underlying Mechanisms. Perspectives in Biology andMedicine, 46(3 sup.), S39-S52. 

  26.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5). Notice on KLoSA Data(5wav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Notice) www://survey.keis.or.kr 

  27. H. J. Lee & S. K. Kahng. (2011).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ing among Elderly.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37, 255-278. 

  28. S. S. Bassuk, T. A. Glass & L. F. Berkman. (1999). Social disengagement and incident cognitive declin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rso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1, 165-173. 

  29. Z. Zhenmei. (2006). Gender Differentials in Cognitive Impairment and Decline of the Oldest Old in China.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61(2), S107-S115. 

  30. S. D. Alley, K. Suther & C. Eileen. (2007). Education and Cognitive Decline in Older Americans. Research on Aging, 29(1), 73-94. 

  31. R. S. Wilson, L. E. Hebert, P. A. Scherr, L. L. Barnes, C. F. Mendes de Leon & D. A. Evans. (2009). Educational attainment and cognitive decline in old age. Neurology, 72(5), 460-465. DOI: 10.1212/01.wnl.0000341782.71418.6c 

  32. A. Mani, S. Mullainathan, E. Shafir & J. Zhao. (2013). Poverty Impedes Cognitive Function. Science, 341, 976-980. DOI: 10.1126/science.12380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