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중·일 농산물 경쟁력과 한·중 FTA 농산물 교역량증가 효과
The Competitiveness of Korea-China-Japan agricultural products and Korea-China FTA Agricultural Trade impacts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5 no.2, 2018년, pp.71 - 83  

남국현 (부산대학교 경제학부) ,  이천국 (중국사회과학원 아시아태평양글로벌전략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imports from Korea and China. and then we discussed how to cooperate in the agricultural trade field between the three countr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역특화지수란 무엇인가? 무역특화지수(Trade Specialization Index)는 한 상품의 총수출액과 총수입액, 그리고 전체 무역액을 이용하여 상품의 비교우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한⋅중⋅일 3국의 농산물 교역의 상호 보완성은 어떠한가? 반대로 농산물 수입비중은 한⋅중과 일⋅중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중국이 일본과 한국으로의 수입비중은 1%이하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일 3국의 농산물 교역의 상호 보완성은 대부분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한⋅일 간이 가장 높은 반면 일⋅중 간은 무역결합도 지수가 1보다 작아 상호보완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산물의 산업내무역은 한⋅중간이 가장 활발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한⋅일간의 산업내무역지수가 높고.
한⋅중⋅일 3국간의 농산물 분야의 교역 특징은 무엇인가? 지금까지의 농산물 교역 추세를 볼 때, 앞으로도 한⋅중⋅일 3국간의 농산물 분야의 교역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은 한국과 일본의 농산물 주요 수입국이고, 한국과 일본은 가공농산물을 상대국에게 수출하는 교역의 특징이 나타나기도 한다. 최근 한⋅중 FTA의 체결은 관세로 인한 중국의 수입농산물이 더욱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강정일, 김정호, & 정정길. (2001). 한.중.일 농업발전 전망과 협력방안. 서울: 농촌경제연구원. 

  2. 김우경, 박지훈, & 강형덕. (2014). 한.중 FTA 수입증가 효과 분석. 서울: 수산경제연구원. 

  3. 문한필, 최세균, 정대희, & 이동필. (2011). 한.중 농산물 경쟁력 및 교역장벽 분석. 서울: 농촌경제연구원. 

  4. 안병일. (2009). 한.중.일 농산물 교역동향과 시사점. 한국국제통상학회 정기학술대회. 

  5. 어명근, 최세균, 정정길, 김태곤, & 허주녕. (2003). 동북아농업구조와 역내 농산물 교역구조. 서울: 농촌경제연구원. 

  6. 어명근, & 정정길. (2005). 동북아경제협력체 출범과 농업부문의 대응방안. 서울: 농촌경제연구원. 

  7. 이주량, 어명근, & 문한필. (2014). 한.중 FTA에 대응하는 농업 R&D 정책방향. 서울: 농촌경제연구원. 

  8. 이병기. (2003). WTO/DDA 농업협상에 대응하는 국영무역 발전방안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10(2), 211-227. 

  9. 이창수, 박지현, & 김용택. (2005). 한.중.일 FTA: 농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0. 임형백, & 이종만. (2007). 한.미 자유무역협정에 대비한 한국농업정책의 방향전환: 공적자금투입에서 경쟁력 강화로. 농촌지도와 개발, 14(1), 29-57. 

  11. 양양. (2015). 한.중.일 FTA에 관한 연구: 농수산업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전형진, 어명근, & 남민지. (2011). 중국 농업의 구조변화와 한.중 농산물 교역 전망. 서울: 농촌경제연구원. 

  13. 정정길. (2015). 중국 농산물 수급구조 변화와 대한국 수출 확대 가능성 분석. 세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4. 최세균, & 신유선. (2008). 동아시아 FTA 대비 농업부문 연구. 서울: 농촌경제연구원. 

  15. 최찬호. (1996). 한국, 대만, 일본의 감귤 생산비 비교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3(1), 43-54. 

  16. 하서현, & 고종태. (2009). 한국 농산물 수출입에 관한 사례분석. 경영과학연구, 29, 283-300. 

  17. 한은수, & 이용기. (2010). 한?중?일 농산물 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35(1), 305-334. 

  18. Balassa, B. A. (1965). Trade liberalization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The Manchester Scool of Economic and Social Studies, 33, 99-123. 

  19. Bhagwati, J. N., Panagariya, A., & Srinivasan, T. J. (1998). Lectures on international trade. Cambridge, UK: The MIT Press. 

  20. Bufisher, M. E., Robert, M. H., & Langley, S. V. (1992). Free trade impacts on U.S. and southern agricultur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Applied Economics, 24(1), 61-78. 

  21. Cesar, R., & Renwick, A. (2012). Consumer demand for meat in canada. Agribusiness, 28(4), 451-468. 

  22. Elobeid, A., & Behin, J. (2006). Multilateral trade and agricultural policy reforms in sugar markets. Journal of Agiricultural Economics, 57(1), 23-48. 

  23. Hertel, T. H., Walusley, T., & Itakura, K. (2001). Dynamic effects of the new age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Japan and Singapore. Journal of Economic Integration, 16(4), 446-484. 

  24. Korinek, J., & Melates, M. (2009). Trade impacts of selected regional trade agreements in agriculture. OECD Trade Policy Working Papers, 87, 1-59. 

  25. Lutkepohl, H. (2005). New introduction to multiple time series analysis. New York, NY: Springer. 

  26. Miljkovic, D., John, M. M., & Brester, G. U. (2002). Japanese import demand for U.S. beef and pork: Effects on US red meat exports and livestock price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Applied Economics, 34(3), 501-512. 

  27. Qiu, H., Jun, Y., Jikun, H., & Chen, R. (2002). Impact of China-ASEAN free trade area on China's international agricultural trade and its regional development. China & World Economy, 15(4), 77-90. 

  28. Tayyebi, S. K., & Arbabian, S. (2012). Impact of implementing economic integration between Iran and Korea on their intra-industry trade. Korea and The World Economy, 7(1), 155-178. 

  29. Wakasugi, R. (1997). Missing factors of intra-industry trade: some empirical evidence based on Japan. Japan and The World Economy, 9(3), 353-3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