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덕과학문화의 거리 조성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ster Plan of Street Creation in Daedeok Science Cultur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7, 2018년, pp.262 - 271  

안세윤 (국립한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전진배 (국립한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김소연 (국립한밭대학교 UCRC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자연과 과학, 문화의 도시로 변모하고자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미래형 도시를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시 도룡동의 과학 공원 네거리부터 (구)대덕과학문화센터에 이르는 1.5km 거리를 특성별로 구획하고 특색에 맞는 IT기술을 접목한 공간디자인 컨셉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대덕과학문화의 거리 조성 추진 과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 현황을 분석, 사용자 중심의 계획을 위한 체험 중심의 공간디자인 컨셉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통해 개선이 필요한 인프라를 중심으로 IT기술을 접목하고, 스마트스트리트(Smart Street)로써 대덕과학문화의 거리를 탈바꿈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시사점으로 (1)쾌적성과 안전성 문제의 지속성, (2)통일성 및 효율성 문제, (3)아이덴티티 결여 문제의 경험성과 연계하여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시티의 방향성을 활용하여 해결 목표를 설정하였다. 사용자 중심의 거리 조성을 위해 인프라만을 기준으로 하는 획일적인 조닝을 지양하고 사용자 행위를 중심으로 하는 조닝을 시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Daejeon Metropolitan City is planning a futuristic city with Daedeok Special District at the center of its transformation into a city of nature, science and culture alo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divide the 1.5 km distance from the in Doryong-d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덕과학문화의 거리를 IT기술을 접목한 스마트스트리트(Smart Street)로 개발 하고자 하는 만큼 공간디자인의 방향성을 스마트시티(Smart City)에 두고 진행하였다. 스마트시티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어떤 기기를 통해서도 정보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미래형 첨단도시로서 정보화도시-유시티-스마트시티로 진화하고 있다.
  • 5km 구간의 거리를 IT기술을 접목한 스마트스트리트(Smart Street)로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상지의 1.5km 구간을 특성별로 구획하고 특색에 맞는 IT기술을 접목한 공간디자인 컨셉을 제안함으로써 거리조성계획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사업의 방향 및 목적에 따라 향후 대덕과학문화의 거리 조성 추진 과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 현황을 분석, 사용자 중심의 계획을 위한 체험 중심의 공간디자인 컨셉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대전시 도룡동의 과학 공원 네거리부터 (구)대덕과학문화센터에 이르는 1.5km 거리를 특성별로 구획하고 특색에 맞는 IT기술을 접목한 공간디자인 컨셉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대덕과학문화의 거리 조성 추진 과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 현황을 분석, 사용자 중심의 계획을 위한 체험 중심의 공간디자인 컨셉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로 도출된 문제점을 통해 개선이 필요한 인프라를 중심으로 IT기술을 접목, 스마트스트리트(Smart Street)로써 대덕과학문화의 거리를 탈바꿈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 5km 거리를 특성별로 구획하고 특색에 맞는 IT기술을 접목한 공간디자인 컨셉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대덕과학문화의 거리 조성 추진 과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 현황을 분석, 사용자 중심의 계획을 위한 체험 중심의 공간디자인 컨셉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로 도출된 문제점을 통해 개선이 필요한 인프라를 중심으로 IT기술을 접목, 스마트스트리트(Smart Street)로써 대덕과학문화의 거리를 탈바꿈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사용자 체험중심의 디자인 컨셉으로, 기술 환경 및 경제 타당성에 따라 실제 적용여부는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한계점이 있다.
  • 도시공간의 아이덴티티는 단순히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한 공간정비가 아닌, 사용자와 공간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대덕컨벤션센터나 대덕사이언스콤플렉스와 같이 향후 복합문화공간 등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높은 인프라와 기존 인프라와의 유기적인 연계 및 상호작용을 통해 대전 산업기반인 과학 도시로써 근 미래의 거리라는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현장조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통해 개선이 필요한 인프라를 중심으로 IT기술을 접목, 스마트스트리트로써 대덕과학문화의 거리를 탈바꿈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 사업대상지가 차량 및 보행자 통행이 있는 도로를 중앙으로 하는 대로변을 중심으로 하는 만큼 이 동과 관련된 내용을 주로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건축물 및 기반시설의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IT기술을 접목할 수 있는 디자인 방향을 성립하였다.
  •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공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디자인 목표와 컨셉을 수립하고자 한다. 첫째, 쾌적성과 안전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 거주민 및 방문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인구학적 조사, 지역의 아이덴티티와 지역만의 독특한 콘텐츠 발굴을 위한 역사적, 문화적 사실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어 도시녹화 등 자연 환경과 지역 편의 및 개선을 위한 개발사업 등 사업대상지 내의 미시 거시적 이슈를 파악하였다. 실증적 분석은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대상지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 스마트시티는 스마트(Smart)와 도시(City)의 합성 의미라기보다 도시를 스마트하게 만드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4]. 특히 단순 IT기술이 집약된 기능중심의 거리조성이 아닌 사용자 중심의 스마트시티(User Centered Smart City)로 스마트시티 체험형 테스트베드의 비전에 근본을 둔 디자인을 목표로 하였다. 스마트시티 체험형 테스트베드의 비전은 ‘효율·지속성·경험‘으로 설정하였고, 효율이 바탕이 되는 도시공간의 창출, 순간과 순간이 연결되어 지속가능한 시간의 도시, 사람이 중심이 되는 도시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비전에 따른 목표로 설정하였다[5].
  • 최근 대전시는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자연과 과학, 문화의 도시로 변모하고자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미래형 도시를 계획하고 있다. 해당 목표에 따라 과학 공원 네거리부터 (구)대덕과학문화센터에 이르는 1.5km 구간의 거리를 IT기술을 접목한 스마트스트리트(Smart Street)로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상지의 1.

가설 설정

  • 방치되거나 공사 중인 건물 등으로 인해 보행상의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다. 둘째, 통일성 및 효율성의 문제가 야기된다. 최근 준공된 건축물과 이전 건축물들이 입면 상으로 이질성을 지니고 있으며, 단순 정보제공이나 기능 중심의 설치물로, 디자인적으로 심미성, 통일성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스트리트란 무엇인가? 스마트 스트리트란 공공장소나 상업공간과 같은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과 첨단 IT 인프라로 구성되어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특정 구역을 말한다[2]. 스트리트의 각 구성요소들이 보행자를 인식하고 보행자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트를 말하는 것으로, 스마트스트리트에 서 보행자들은 더이상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정보에만 의존하지 않으며, 스트리트의 구성요소들이 제공하는 보행자에 특화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보행의 재미, 쇼핑의 재미, 디지털 콘텐츠의 재미를 누릴 수 있게 된다.
스마트 스트리트 관련 산업이 보행자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는 이유는? 스트리트의 각 구성요소들이 보행자를 인식하고 보행자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트를 말하는 것으로, 스마트스트리트에 서 보행자들은 더이상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정보에만 의존하지 않으며, 스트리트의 구성요소들이 제공하는 보행자에 특화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보행의 재미, 쇼핑의 재미, 디지털 콘텐츠의 재미를 누릴 수 있게 된다. 현재 스마트 스트리트 관련 산업은 스마트시티 관점에서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으나, 스트리트의 특성이나 보 행자의 관심사 등을 고려하지 않은채 공급자 중심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 보행자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3].
Opportunity Zone의 실행전략은? 상대적으로 광범위한 구역에 해당하기 때문에 연속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이나 보도블록의 활용이 가능하다. 실행전략은 첫째, 영국 옥스퍼드 거리의 AR기술 을 이용한 버스정류장 옥외광고 서비스, 영국 런던의 옥외 광고판에 도입된 AI광고 서비스, 독일의 바닥 석 재에 인쇄된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해 위치에 관련해 관심정보가 포함된 웹으로 연결되는 서비스와 같은 이동을 위한 수단이 아닌 문화와 정보의 공간으로 탈바꿈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시한다. 둘째, 앰비언트 IR라이트와 저해상도 센서를 활용, 프로젝션 하는 범위에 한해 사람이나 사물의 동작을 감지하고 알고리즘을 통해 투사된 이미지와 감지된 동작 간에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런던의 Pavegen이 개발한 사람이 발로 밟을 때 생성되는 운동에너지를 통해 전력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플로어타일이 있다. 이를 통해 지역 내 통행량에 대한 정보를 창출하여 소비자 동향을 예측하는 서비스, 듀라셀(duracell)의 사람과의 연결성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버스정류장 서비스 등 사소한 움직임을 통한 즐거움과 보상을 제시한다[7][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안세윤, 이현수, "논문:서울 특화거리 조성사업 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성산대로 대상으로," 디자인융복합학회, Vol.9, No.4, pp.59-70, 2010. 

  2. 남태우, 차민재, 이동우, 염근혁, "스마트 스트리트의 자원관리 및 상호운용성 지원을 위한 참조아키텍처,"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3, No.1, pp.497-499, 2016. 

  3. 실감 체험형 콘텐츠 기반 스마트 스트리트 구현기술개발 최종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2017. 

  4. www.science.go.kr/home.bs 

  5. www.yonhapnews.co.kr 

  6. 이상호, 임윤택,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특성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9, No.2, pp.86-97, 2016. 

  7. U-City 고도화를 위한 핵심기반기술개발 3세부 한밭대학교 5차년도 연구결과보고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2017. 

  8. www.trendhunter.com 

  9. www.designdb.com 

  10. www.ioglo.com/press/sheet.php?pfumo 

  11. https://support.pokemongo.nianticlabs.com/hc/en-us 

  12. https://creators.vice.com/en_us/article/vvyve9/cathedral-installation-turns-text-messages-into-shooting-stars 

  13. http://qrcobble.com/en/ 

  14. www.dezeen.com/2017/10/27/movie-mini-living-pavegen-flooring-system-power-future-smart-cities-video/ 

  15. www.lumoplay.com 

  16. www.bloter.net/archives/260982 

  17. https://dutchreview.com/news/dutch/smart-crossing-dutch-invention-smart-phone-traffic-deaths/ 

  18. http://umbrellium.co.uk/initiatives/starling-crossing/ 

  19. www.livingmap.com/smart-city/smart-citiesfor-the-blind/ 

  20. 안세윤, 김소연, 조문가, "상업공간 디지털미디어 적용방안에 관한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26, No.1, pp.33-42, 2017. 

  21. Smart City concept model-Guidance for establishing a model for data interoperability, ISO/IEC 30182,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